12월 넷째 주 카드 이용액 1.5% 감소
숙박 서비스업, 오락·스포츠 가장 타격
‘줄일 수 있는 소비’ 확 줄었다
지난 연말 극심한 소비침체 속에 대다수 온라인쇼핑 플랫폼이 부진한 거래 실적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계엄과 탄핵소추, 항공기 참사 등 연이은 대형 사건·사고가 연말 내수 경기 특수를 집어삼킨 모습이다.
지상파 3사, 네이버에 저작권 침해·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소송
AI 시대의 고질적 문제로 부상한 '저작권 분쟁'
현존 판례 AI 기업에 유리, 관련 논란은 지속 전망
지상파 방송사 3사(KBS·MBC·SBS)가 네이버에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네이버가 지상파 3사의 기사를 자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학습에 무단으로 활용했다는 이유에서다.
지난해 글로벌 반도체 매출 두 자릿수 성장
데이터센터 확대로 AI 반도체 칩 수요 급증
GPU·HBM 등 품귀 현상, 당분간 지속될 듯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2022년 오픈AI의 챗GPT 등 생성형 AI 출현 이후, AI 데이터센터의 확장 흐름 속에 AI 반도체 칩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다.
메타, 팩트체크 중단 이어 정치 콘텐츠 추천 허용
애플·오픈AI·아마존 등, 대통령 취임식 거액 기부
트럼트 2기 행정부는 실리콘밸리 인사 대거 영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이 다가오면서 글로벌 빅테크의 수장들이 잇달아 친(親)트럼프 행보에 나서고 있다.
美 상무부, 커넥티드카 중국산 부품 규제 확정
사실상 중국산 자동차 美 시장 진출 원천 봉쇄
현대차 등 韓 기업에는 위기보다는 기회 될 것
미 정부가 미국에 수입·판매되는 커넥티드 차량에 중국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새로운 규제를 발표할 예정이다. 글로벌 자동차업계와 주요국 정부가 유예 기간 연장을 요청했지만, 당초 예고한 2027년(소프트웨어), 2029년(하드웨어) 규제 시행이 확정될 전망이다.
카모 매각 거듭 난항, VIG파트너스 지분 인수 불확실
6,000억 투자한 美 TPG, 치솟는 달러에 난감
7조원 기업가치 2조원대로, 투자금 회수 먹구름
카카오모빌리티가 ‘콜 몰아주기’ 혐의 등으로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오랜 난제인 투자자들의 엑시트(투자금 회수) 또한 오리무중에 빠졌다.
中, 범용 D램 넘어 고성능 칩까지 지배력 확대
창신메모리, 공격적 설비투자로 공급 과잉 주도
기술 격차 여전하지만 시장 위협하기에 '충분'
중국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가 개발한 LPDDR5 제품/사진=CXMT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업체들이 D램 생산능력을 대폭 확대하며 D램 시장 패권 경쟁에 돌입한다.
샤오미, 국내 전자기기 시장 본격 공략 착수
BYD도 승용차 브랜드 국내 출시 공식화
알리익스프레스, G마켓 손잡고 쿠팡 추격
샤오미 14T/사진 = 샤오미코리아
중국 정보기술(IT) 기업 샤오미가 한국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현지 맞춤형 제품을 적극적으로 판매하며 스마트폰을 비롯한 국내 전자제품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구상이다.
로직 다이 4나노 공정, 시제품 생산에 돌입
1c D램·하이브리드 본딩 등 첨단 공정 활용
기술 주도권 되찾기 위해 양산 일정 앞당겨
삼성전자가 4㎚(나노미터, 10억분의 1m)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정을 통해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4) '로직 다이' 시험 생산에 돌입했다. 이와 함께 적층되는 일반 D램에도 기존 모델보다 한 세대 앞선 10㎚급 6세대 D램을 적용하기로 했다.
지난해 출시한 애플 '비전프로', 판매량 50만대 미만
높은 가격에 킬러 콘텐츠 부족하고 편의성도 떨어져
삼성전자, 구글과 손잡고 XR 기기 '무한' 출시 예정
애플에 이어 삼성전자, 비보 등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확장현실(XR) 기기를 선보임에 따라 디바이스·폼팩터의 전장이 XR 시장으로 확장되고 있다.
스베르방크에 中과 AI R&D 협력 확대 주문
지난해 브릭스 중심의 'AI 얼라이언스' 출범
우크라 전쟁 이후 AI 반도체 수급 제한 받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정부에 중국과의 인공지능(AI )협력 확대를 주문했다. 앞서 지난달에는 AI 기술 강화를 위해 중국을 포함해 브릭스 국가가 중심이 되는 AI 동맹도 출범했다.
대규모 훈련에 필요한 고품질 데이터 부족
데이터 직접 생성 방식 채택했지만 한계
올해 중순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일정 지연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차세대 인공지능(AI) 모델 GPT-5 개발이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다. 당초 올해 8월 GPT-5가 출시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지만, 기대했던 만큼의 성능 향상이 이뤄지지 못하면서 일정이 무기한 연기됐다.
삼성전자, 美에서 6조9,000억원 규모 보조금 받는다
투자 규모 줄어들며 보조금 지급액도 축소
가동 지연되던 테일러 공장, 2나노 생산 기지 도약할까
미국 정부와 삼성전자가 반도체 보조금 관련 계약을 최종적으로 체결했지만, 삼성전자에 지급될 보조금 규모가 예비거래각서(PMT) 체결 당시 발표된 수준을 밑도는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