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하는 국내 컴퓨터공학과의 위상
AI 발전, 채용 축소, 교육 질 저하 등이 원인
美·中에서는 여전히 '인기 만점'
최근 국내 대학 입시에서 컴퓨터공학과 경쟁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인한 입지 축소 △IT업계 채용 감소 △교육의 질 악화 등 악재가 누적되며 인재들이 줄줄이 관련 분야에서 이탈하는 양상이다.
AI, 인간보다 저렴하고 효율적 활동
주방장-재봉사 100% 자동화 가능
화이트칼라 전문직도 안전지대 아냐
자율주행차가 도로를 달리고 AI(인공지능)가 법률 문서를 분석하는 시대가 왔다. 그러나 이는 시작에 불과하며 AI와 로봇이 대부분의 인간 일자리를 대체하는 속도가 예상보다 훨씬 빠를 것이라는 경고가 나온다.
중국산 SW 적절성 검토 진행
中 EDA 사용 전면 중단할 듯
반도체 설계 비용 증가 불가피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중 반도체 제재 강화 가능성이 한국 반도체 산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초부터 중국산 전자설계자동화(EDA) 소프트웨어 사용 중단을 검토 중이며, 삼성전자도 곧 이를 따를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SK하이닉스와 삼성의 선택을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의 축소판으로 보고 있다.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개인 기부액만 1,010억원 달해
경영진 먹튀, 시세 조종, 쪼개기 상장 등 카카오 둘러싼 논란 누적
기업 이미지 훼손된 카카오, 사회 환원이 '전환점' 될까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장/사진=카카오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의 개인 누적 기부액이 1,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데이터센터 임대 계약 일부분 철회한 MS
협력사 오픈AI의 '독립' 시도가 영향 미쳤나
MS, 클라우드 플랫폼 독점 제공 권한도 잃어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내 일부 데이터센터 임대 계약을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격적으로 인공지능(AI) 분야 투자를 단행해 오던 MS가 돌연 투자 규모를 축소한 것이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MS의 결정에 협력사인 오픈AI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주민 반발에 부딪힌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
전자파 피해 등 허위 정보로 공포 심리 확산
정부, '전자파 신호등' 설치 등 인식 개선 방안 마련
국내 인공지능(AI)업계가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데이터센터 확보에 차질을 빚고 있다. 데이터센터 설립 부지 인근 지역 주민들이 전자파 피해 등 근거가 부족한 낭설에 휩쓸려 반기를 들고 있어서다.
주요 반도체 장비 업체, 대중국 수출 실적 줄줄이 악화
반도체 장비 확보에 열 올리던 中, 향후 수입 축소 전망
中 현지 반도체 장비 제조사, 정부 지원 발판 삼아 '급성장'
글로벌 반도체 장비 업체들의 대중국 매출 비중이 급감하고 있다.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가 본격화하며 거래가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거거익선' 트렌드, 韓 전유물 아닌 中 장점으로
中 물량 공세에 삼성·LG 시장 점유율 하락세
OLED 등 프리미엄 제품으로 차별화 전략 강화
세계 TV 시장에서 ‘45%’의 벽이 깨졌다. 2018년 합산 41.1%를 기록한 이후 6년 만이다. 중저가 제품을 넘어 75인치 이상 초대형 TV까지 중국 기업의 침투가 가속화하면서 찾아온 위기다.
AI 생산성 개선, 고령화 충격파 상쇄
의료 등 전문직 대체 가능성 낮지만
사무직은 소득 줄고 직장 잃을 수도
인공지능(AI) 도입으로 우리나라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큰 영향을 받을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전체 근로자의 27%는 AI에 의해 대체되거나 소득이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는 진단이다. 직업군별로 보면 통신 관련 판매직, 비서 및 사무 보조원 등의 사무직 관련 일자리가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오픈AI, 방한 계기로 카카오와 AI 협력 본격화 전망
'대형 호재'에 치솟는 카카오 주가, 증권가 반응도 낙관적
'AI 주권' 중시하는 네이버와 상반된 전략, 승기는 누구 손에
카카오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와 인공지능(AI) 분야 협력에 나선다. AI 시장 후발 주자로 꼽히는 카카오가 외부 협력을 등에 업고 경쟁력 확보에 속도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가상화폐 실무그릅, 6개월 내 트럼프에 보고서 제출
트럼프 대통령, 과거 입장 바꿔 '親가상화폐'로 전환
발표 직후 시장 반응 미지근, '실망스럽다'는 여론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새 행정부의 가상화폐 정책을 검토할 실무그룹(워킹그룹) 신설을 골자로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친(親) 가상화폐 기조를 본격화했다.
배달플랫폼 상생방안 이행 현황 및 향후 추진계획
배민 오는 2월부터 중개수수료 인하, 쿠팡 3월부터
어긋난 배달앱-입점업체, 부담은 소비자에게
국내 배달 플랫폼 1·2위인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가 각각 2월 말과 3월 말부터 중개수수료를 현행 9.8%에서 2.0~7.8%으로 차등 인하한다. 지난해 11월 반쪽 합의 비판 속 가까스로 상생안을 마련한 지 넉 달 만에 본격 시행하는 것이다.
“한국 현지화 주력, 소비자 접점 확대”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 바짝 추격생활가전 라인업 확장도 중심은 ‘가성비’
샤오미 스마트폰 '14T'/사진 = 샤오미코리아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전자제품의 대명사로 불리는 중국 샤오미(小米·Xiaomi)가 한국 시장 공식 진출을 선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