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업무 현장에 화려하게 등장할 때 모두의 기대는 한결같았다. 인간의 일을 빠르고 스마트하고 가볍게 만드는 ‘업무 혁명’을 이끌리라는 것. 하지만 기대 및 예상과 다르게 AI가 인간을 더 바쁘게 만들고 있다는 증거가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한국에서는 ‘서머타임’으로 더 많이 알려진 ‘일광절약시간’(Daylight Saving Time, 이하 서머타임)은 수십 년 동안 뜨거운 찬반 토론의 대상이 되고 있다. 찬성론자들은 저녁 레저 활성화와 에너지 절약 효과를 주장하지만 국민 건강과 생산성 등 전반적 복지에 부정적 효과가 더 크다는 증거들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 폐지를 촉구하는 연구들도 부지기수지만 단순히 ‘없애면 그만’이라고 하기에는 문제가 복잡해 보인다.

금융 시장 분석을 위한 주요 도구는 기본 지표(fundamental Indicator, 금융 자산의 공정 가치를 분석하기 위한 지표)와 기술 지표(technical indicator, 시장 동향 예측을 위한 과거 가격, 거래량 등의 지표)였다. 하지만 트위터(구 X)를 비롯한 소셜 미디어상의 투자자 정서가 주식 시장 변동을 예측하는데 못지않게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백만 개의 주식 관련 트윗을 분석한 해당 연구에 따르면 트윗에 표출되는 정서가 장중 시장 움직임과 강한 상관관계를 갖는다고 한다. 이는 선진국 시장과 개발도상국(이하 개도국) 시장 모두에 적용된다.

기후 변화가 심해지며 폭염은 이례적인 현상이 아니라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일상이 되고 있다. 이상 고온이 열사병과 신장 손상, 심혈관계 질환 확률을 높인다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폭염이 의료 시스템 자체에 부담을 줘 예방 가능한 사망을 늘리고 치료 결과를 악화시킨다는 사실은 간과돼 왔다.

금융 안정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은행 감독 강화를 위해 발전한 기술을 활용하려는 노력도 증가하고 있다 실제 ‘금융 감독 기술’(Supervisory Technology, SubTec)은 은행 산업 내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차단하는 강력한 수단으로 떠올랐다. 최근 브라질 중앙은행(Central Bank of Brazil) 데이터에 근거한 연구는 ‘금융 감독 기술’이 은행들의 위험 평가와 공개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꿔 금융 취약성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밝히고 있다.

인공지능(AI)은 전 세계 산업 지형을 급속히 바꾸고 있으며 통번역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기계 번역(machine translation, MT) 기술의 발전이 통번역 업무는 물론 다양한 분야의 외국어 능력 수요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날로 커지고 있다. 기계 번역의 활용으로 통번역 산업의 고용 및 임금과, 다양한 직업 분야에서 외국어 능력 수요가 어떻게 영향을 받을지 분석한 연구가 나왔다.

사이버 공격 위험이 글로벌 경제를 위협하는 수준으로 성장했는데 아직도 사이버 보안을 IT 부서의 업무쯤으로 생각하는 기업들이 많다. 하지만 사이버 보안 역량이 낮은 기업들의 주식 가치는 그렇지 않은 기업과 비교해 지속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 보안상의 취약성이 기업 가치와 직접 연결된다는 얘기다. 이러한 사이버 취약성은 전문 인력 부족과 경영진의 부주의 때문이라고 한다.

인공지능(AI)의 확산이 유럽 전역의 노동 시장 양상을 바꾸고 있다. 2011~2019년 기간 유럽 16개국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AI 활용 기술이 확대될수록 여성 고용률이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활용도가 높은 분야에서, 조사 시점에 이미 여성의 노동 참여 의사와 학력 수준이 높은 나라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지난 40년간 미국 경제는 소수 기업의 시장 지배력 집중과 생산성의 정체, 빈부 격차의 확대를 목격해 왔다. 세 가지 현상의 배후에는 공통적으로 시장 경쟁의 쇠퇴가 자리 잡고 있다. 시장 지배적 사업자가 시장 가격을 올리고 임금은 낮추면서 혁신과 경제 성장을 가로막고 있는 것이다. 늘어난 기업 이윤은 높은 자산수익률로 연결되고 부자들에게 더 큰 부를 안겨준다. 하지만 대부분 임금 노동자들의 수입은 제자리에 머물러 소득 불평등이 확대된다. 기업들의 폭리와 불평등 심화를 바로잡기 위한 강력한 경쟁 정책이 절실하고 시급하다.

중국의 딥시크(DeepSeek) R1 생성형 AI 모델은 대한민국과 일본, 대만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이 인공지능(AI) 관리 방식을 재검토하도록 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정보 보호 및 국가 안보, 산업 정책에 관련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각국은 신중한 규제와 적극적인 조치를 섞어 자국의 AI 생태계를 지키려 하고 있다. 이는 지정학적 갈등과 글로벌 경쟁 속 AI 관리의 어려움과 복잡성을 보여 주는 동시에, 투명성이 AI 산업에서도 핵심 경쟁력임을 말해 주고 있다.

인공지능(AI)이 투자와 생산성 향상의 기폭제가 되면서 각국 정책 당국은 경제 환경을 최적화해 돌아올 혜택을 극대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투자금을 축적하고 공공 서비스 효율을 개선하며 해외 투자를 끌어오는 한편, 노동 인력 이동성과 기술 개발에 힘쓰는 것이 AI 경제를 꽃피우는 최우선 순위 정책으로 보인다.

인공지능(AI)의 부상은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가능성과 함께 현존하는 경제 구조를 뒤흔들 위험도 함께 키운다. AI가 야기할 거시경제적 변화는 특히 혁신과 직업 안정성을 조화시켜야 하는 중요한 과제를 제시한다. 국가적 투자 역량을 키우고, 금융 시장 기능을 개선하며,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 인력의 숙련도 및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정치·경제적 불안정을 최소화하며 AI의 장점을 경제 분야에 활용하는 최선의 방법이다.

유럽은 지구 온난화 방지 노력의 일환으로 탈(脫)탄소 전기 생산을 위한 대규모 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 중이다. 유럽연합(EU)도 ‘규정(Regulation) 2024/1747’(전력 시장 안정성, 소비자 보호 및 재생 에너지 통합을 목표로 한 EU 전력 시장 개선 계획) 도입으로 전력 생산 관련 장기 계약을 유도해 투자를 촉진하고, 에너지 생산을 효율화하며, 시장 가격을 안정화하려 한다. 하지만 지나치게 경직된 계약 구조가 오히려 시장을 왜곡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다양한 산업에 속한 미국 기업들이 신속하게 원격 근무를 도입하며 재택근무(work from home, WFH)의 양상은 획기적인 변화를 겪었다. 팬데믹 기간과 이전, 이후에 실시된 설문 조사에 대한 분석은 원격 근무의 도입이 인구 집단 및 기업 규모, 산업에 따라 상당히 다른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증명한다. 장기적인 재택근무 관련 전망도 마찬가지다.

인공지능(AI)은 학문 분야에 대변혁을 일으키고 있다. 재무학(academic finance) 분야에서도 전체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는 AI의 능력은 연구 속도를 급격히 높여 주고 있지만 동시에 학문적 양심(academic integrity)에 대한 우려도 키우고 있다. AI는 경험적 발견들에 타당해 보이는 이론을 덧입혀 연구 효율을 향상시키지만 엄격한 연구 성과와 대량 생산된 보고서를 구분하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AI가 발전할수록 학계는 양이 질을 희생시키는 결과를 막기 위한 기준과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소득 개발도상국에서 전자화폐가 금융 평등을 이끌며 통화 정책에도 이바지하고 있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Sub-Saharan Africa) 국가들에 대한 최근 연구는 전자화폐와 전통 은행들이 공생 관계를 형성하며 통화 정책 효과를 강화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기존 은행의 예금과 대출을 늘리며, 금융 기관 간 경쟁까지 촉진한다. 전자화폐 접근성을 유지하고 금융기관 간 협력을 강화한다면 디지털 금융을 금융 평등(financial inclusion)의 도구로까지 활용할 수 있다.

인공지능(AI)이 세계 산업 지형을 바꾸는 가운데 AI 집약적 산업에서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는 일은 각국 정부와 산업계의 현안이 되고 있다. 1999~2019년 기간 대미 수출 자료를 분석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높은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졸업생 수, 탄탄한 디지털 인프라, 대규모 시장, 디지털 거래 관련 최소한의 규제를 갖춘 국가들이 경쟁 우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AI 혜택의 공정한 배분과 파괴적 경쟁의 방지도 중대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선구매 후결제 대출’(Buy Now, Pay Later, 무이자 할부 상환 방식의 신규 대출 상품, 이하 BNPL)이 소비자 금융의 양상을 바꾸고 있다. BNPL이 과소비와 금융 불안정을 부추긴다는 비판도 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신용 시장의 효율성을 높여 소비자는 물론 기존 금융기관들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 대출 문턱을 낮추고, 대출 심사 정확도를 높이며, 절도 있는 금융 습관을 키우는 데까지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중요성이 커진 원격 근무가 이제는 임금 협상 자리에서도 주인공이 되고 있다. 최근 미국 조사에 따르면 정규직 근로자의 41%가 부분적 또는 완전한 원격 근무 형태로 일하고 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미국 기술 산업 전문 직종의 경우 원격 근무를 할 수 있다면 동일 조건의 대면 근무에 비해 25%까지 임금 삭감을 감수할 용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작 기술 대기업들은 동급의 대면 업무보다 원격 근무에 연봉을 더 할애하고 있다.

중국이 과학 출판 분야의 최대 공급자로 떠오르며 서구를 중심으로 중국의 기술 패권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는 중국의 과학 분야 영향력이 ‘자국 편향’(home bias) 때문에 부풀려진 것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연구자들이 타국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자국 논문을 인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당연히 중국 연구 결과물들의 글로벌 영향력에 대한 의문이 불거질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