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애플 차세대 이미지 센서 수주
美 텍사스주 오스틴 공장서 양산 예정
'적자 허덕' 시스템LSI·파운드리 분위기 전환
삼성전자가 애플과 수주 계약을 체결하면서 반도체 사업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삼성전자 시스템LSI 사업부가 애플의 아이폰 신제품에 탑재되는 차세대 이미지센서를 설계하고,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가 이를 양산해 애플에 공급할 예정이다.
1위 자율주행 스타트업 일본行
유상운송 금지 등 국내 규제 탓
10년새 해외 이전한 스타트업 6배↑
4일 한지형 오토노머스에이투지 대표(사진 왼쪽)가 일본 도쿄에서 오카모토 코이치로 가네마쯔 부장과 자율주행 기술 공동 사업화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오토노머
유전자 검사로 난임 유발 요인 해소
아이의 유전성 질환 가능성도 낮춰
"부자들만 건강한 아이 선택" 비판도
아이의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질병 발병 확률을 수치화하고, 스프레드시트처럼 배아를 선택하는 시대가 실리콘밸리에서 현실이 되고 있다. 일부 스타트업은 더 나아가 유전자를 직접 편집해 원하는 특질을 가진 아이를 설계하려는 시도까지 나서고 있다.
2040년까지 천연 자원 의존도 50% 감축
니켈·코발트 회수율 99% 이상, 기술로 증명
회수 자원 80% 신규 배터리에 재투입
중국 CATL 본사 전경/사진=CATL
세계 1위 배터리 기업 닝더스다이(寧德時代·CATL)가 국제 비영리단체인 엘렌 맥아더 재단(Ellen MacArthur Foundation, EMF)과 손잡고 배터리 순환 경제를 위
AI 랠리서 나 홀로 실적 쇼크
올해 2분기 미래 손실 털어
하반기 실적 개선 여지 확대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에서 방진복을 입은 직원들이 웨이퍼를 들어 보이고 있다/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올 2분기(4~6월) 시장의 기대치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실적 쇼크’를 기록했다.
1998년 엑손모빌 이후 최대 거래
BP, 멕시코만 원유 유출사고 후 고전
친환경 에너지 개발 확대도 악수로 작용
영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에너지 기업 쉘이 경쟁사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를 인수하기 위한 초기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까지 각종 사건과 실적 저하를 겪고 있는 BP가 경쟁사로부터 인수 제안서를 받아든 상황까지 직면한 것이다.
교촌치킨, 배달의민족 독점 입점 임박
쿠팡이츠 입점 안 하면 배민 수수료 혜택
플랫폼 간 대형 브랜드 유치 경쟁 가속화 전망
사진=우아한형제들
치킨업계 3위인 교촌치킨이 이르면 다음 달부터는 배달앱 쿠팡이츠에서 빠지게 된다. 배달앱 1위인 배달의민족이 수수료 감면을 조건으로 교촌치킨과 '배민온리' 판매 협약을 맺으면서다.
AI 도입 후 인력 낭비 줄여
美 업계 감원 칼바람 가속
기업들 AI 초점 맞춰 고용 전략 재편
미국 전역의 대기업들이 인력 감축에 나서고 있다. 인공지능(AI) 발달로 인간의 역할을 AI가 대체할 수 있는 데다, 거대한 조직 규모가 기업 성장의 ‘걸림돌’이 된다는 인식이 확산한 데 따른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中 정부 핵심 광물 통제 조치에
저온 솔더 페이스트 가격 460% 급등
엔비디아·아마존 공급업체 냉가슴
중국의 핵심 광물 수출 제한 조치로 인해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공급망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엔비디아, 아마존, 구글 등 주요 기술기업들의 공급업체들은 핵심 소재 부족으로 생산 차질을 겪고 있어 AI 시대의 핵심 인프라인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확충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韓 스마트폰에 쏟아지는 '제미나이'
SK 에이닷 '멀티 LLM 에이전트'에도 제미나이 포함
웨어 OS·구글TV·안드로이드 XR에도 접목
구글 제미나이 라이브/사진=구글
구글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Gemini)’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 중이지만, 한국에서는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삼성 협업 시제품 공개에
애플, 출시 일정 내년으로 당겨
메타는 올 하반기 차세대 제품
구글이 삼성전자·젠틀몬스터와 협업해 스마트 안경을 만들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애플도 차세대 스마트 안경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 안경 시장 1위인 메타 역시 안경 브랜드 레이밴과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어 글로벌 빅테크들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獨 해운사, 中 조선사와 선박 발주 논의
LNG 컨선 6척, 한화오션 건조의향서 ‘무산’ 수순
미국 대중 규제 완화에 中 발주 재개
하파그로이드 컨테이너선/사진=하파그로이드
독일 해운사 하파그로이드(Hapag-Lloyd)가 중국 조선사와 선박 발주에 대한 논의를 다시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관세 악몽에 주가 급락
올해 대규모 수익 감소 예상
현지 생산 확대로 타격 최소화 노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던진 ‘관세 폭탄’에 일본 자동차업계가 휘청이고 있다. 일본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실적 전망치를 대폭 낮추는 한편 구조조정에도 칼을 빼들었다.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본격적인 ‘생존 모드’에 돌입한 것이다.
사우디 벤처펀드 출자 잠정 중단
올해 초 VC 접촉 5개월만
국제유가 하락 및 실적 악화 영향
사진=아람코
한국 유망 스타트업으로의 간접 투자를 예정했던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기업 아람코(ARAMCO)가 벤처펀드 출자를 잠정 중단했다. 저유가로 인한 실적 부진 속 사우디 정부의 재정 압박이 심해지면서다.
사우디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서 착공식
사우디 국부펀드 합작, 2026년 4분기 가동 목표
연 5만 대 생산 체계 구축, ‘300만 대 시장’ 공략 속도
14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에 위치한 현대차 사우디 생산법인 부지에서 현대차와 사우디 정부, 국부펀드 관계자들이 착공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