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일본 최대 완성차 업체 도요타가 중국 상하이에 프리미엄 브랜드 렉서스의 전기차 전용 공장을 설립하기 위해 나섰다. 현지 합작 파트너사 없이 100% 단독 출자 형태로 공장을 설립하겠다는 계획이다. 도요타의 이번 렉서스 상하이 공장 건설 계획이 인가되면, 중국에 진출한 외국 완성차 업체 가운데 테슬라에 이은 두 번째 단독 출자 공장이 된다.
미국의 모빌리티 기업 우버(Uber)를 모회사로 둔 음식 배달 서비스 플랫폼 우버이츠(Uber Eats)의 대만 배달앱 푸드판다(foodpanda) 인수 계획이 무산됐다. 대만 반독점 당국이 시장 경쟁 저하를 우려해 인수 거래를 중단하고 나서면서다. 시장에서는 유독 아시아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우버와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리는 모양새다.
미국 주요 기술기업들이 국가안보를 전면에 내세우며 중국을 비롯한 적성국 자본과의 결별을 선언하고 나섰다. 정부의 행정명령만으로는 외국 자본의 자국 시장 잠식을 막을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글로벌 기술 산업이 신냉전 체제에 돌입했다는 평가가 줄을 잇는 가운데 미국은 일본과, 중국은 러시아와 손을 맞잡으며 경쟁 구도를 선명히 했다.
비용 절감을 위해 ‘본국 공장 폐쇄’ 카드를 꺼냈다가 노조 파업에 부딪힌 독일 자동차 업체 폭스바겐그룹이 노사 협의에 극적으로 성공했다. 노사는 독일 공장을 폐쇄하지 않는 대신 간부급 사원의 임원을 삭감하고 인력의 30%를 줄여나가는 등 고강도 긴축에 돌입하기로 했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휴대폰 제조업체 모토로라의 특허 기술 침해 사실을 인정했다. 내년 4월까지 소니에릭슨 측과 합의를 도출하지 못할 경우, 모토로라는 ICT 제재에 따라 미국 역내에서 일부 제품을 판매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가운데 시장은 모토로라가 중국 레노버 산하 기업이라는 점을 고려, 이번 ICT의 판정이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산물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중국의 인공지능(AI) 시장이 인재 부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생성형 AI 붐' 이후 중국 기업들의 AI 인재 수요가 폭증하는 가운데, 중국 내 AI 인재 다수가 해외로 이탈하며 고용 시장 불균형이 본격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핵융합 발전 전문 스타트업 코먼웰스퓨전시스템이 최초의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자체 소형 핵융합 장치 '스파크(SPARC)'를 활용, 2030년 완공을 목표로 상업용 핵융합 발전소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BYD가 로봇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자체 설립한 로봇공학 연구소에 배치할 전문 인력 영입에 팔을 걷어붙이면서다. 이는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 테슬라와 비슷한 행보로, BYD는 관련 분야에서 이미 상당한 진전을 이룬 것으로 파악됐다. 전기차에 이어 로봇까지 중국 기업들이 산업을 선도할지에 시장의 이목이 쏠리는 모습이다.
범용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중국발 저가 공세가 심상치 않은 가운데, 첨단 제품 개발에도 중국이 박차를 가하며 국내 기업들을 위협하고 있다. 중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인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가 대표적이다. CXMT는 최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주력하는 첨단 D램 ‘DDR5’ 양산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량 밀어내기에 이어 중국의 발빠른 기술 추격에 국내 기업들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의 영리법인 전환 움직임에 맞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 이어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CEO도 반대하고 나섰다. 앙숙 관계였던 머스크 편에 서서 ‘반(反) 오픈 AI 영리법인 전환’ 공동 전선을 구축한 셈이다. 오픈AI와 실리콘밸리 주요 AI 기업간 경쟁이 심화하는 가운데, 빅테크 업계의 긴장감이 고스란히 표출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구글이 공개한 차세대 양자컴퓨팅 칩 '윌로우(Willow)'가 기존 슈퍼컴퓨터로는 우주의 나이보다 긴 10셉틸리온년(우주 나이 138억 년의 약 72조 배)이 걸리는 연산을 단 5분 만에 처리하는 혁신적 성능을 선보이면서 컴퓨팅 역사의 새 장을 열었다. 이는 1947년 최초의 트랜지스터 발명, 1971년 최초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출현에 견줄 만한 혁신적 사건으로 평가된다.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 제너럴모터스(GM)의 로보택시 사업 중단을 선언한 가운데, 이에 협력해 온 마이크로소프트(MS)가 대규모 손해를 떠안게 됐다. 지난해 발생한 인명사고 이후 휘청이던 크루즈가 끝내 로보택시 시장에서 발을 빼며 투자자 손실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양자컴퓨터 기술을 두고 미중 패권경쟁이 격화하고 있다. 내년은 유엔이 정한 ‘국제 양자 과학기술의 해’로 업계에서는 양자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속도가 붙는 ‘양자원년’으로 여겨진다. 1월 세계 최대 정보기술(IT) 행사 미국 소비자가전쇼(CES)에서도 양자를 주제로 한 프로그램도 신설됐다. 이런 가운데 미국은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초격차 기술을 선봬는 한편 중국도 민·관 공조로 추격에 나선 모습이다.
미국 완성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로보택시 사업에서 철수한다. 대내외적 악재로 재정난이 심화하며 투자 비용 부담이 가중되는 가운데, 자회사 크루즈에 대한 추가 자본 투입을 과감히 중단해 지출 규모를 축소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밖에도 GM은 미국, 중국 등 주요 시장 내 공장을 줄줄이 매각·폐쇄하며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하이닉스가 간접 출자한 일본 반도체기업 키옥시아홀딩스(옛 도시바메모리)가 도쿄증시에 상장한다. 공모가는 밴드 중간가인 주당 1,455엔(약 1만3,700원)이며, 자금 조달 규모는 추가 배정분을 포함해 1,200억 엔(약 1조1,340억원)가량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최고경영자)가 창업한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에퀴티 파이낸싱(equity financing·주식 발행에 의한 자기자본 조달)을 통해 추가 투자금을 확보했다. 머스크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더욱 강력한 AI 모델을 훈련, 선두주자로 도약한다는 구상으로 생성형 AI를 둘러싼 미국 테크 기업들의 군비 경쟁이 한층 가열되는 양상이다.
미국 자동차 제조사 제너럴모터스(GM)가 중국 사업 부문의 구조조정에 착수한다. 미·중 무역 갈등, 중국 현지 전기차 브랜드의 급성장 등 악재가 누적되며 실적이 악화한 결과다. 이로 인해 GM은 4조원에 달하는 비용 손실을 보게 됐다.
애플이 자사 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 사전 학습에 아마존이 자체 개발한 커스텀(맞춤형) AI 칩인 ‘트레이니엄2(Trainium2)’를 사용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고가의 엔비디아 칩이 아니더라도 AI 학습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입증해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미국정부가 중국의 반도체 거래 제한 기업을 확대하고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중국 수출 제한 등을 골자로 한 확대된 대중 반도체 및 반도체 설비 수출제한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는 미국이 2022년 10월 외국직접생산규정(FDPR·Foreign Direct Product Rules)을 통해 중국에 대한 주요 반도체 생산국가의 대중 수출을 제한한 이후 중국 반도체 산업을 겨냥한 세 번째 조치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폐지를 검토 중인 전기차 세액공제가 미국 소비자들의 전기차 구매에 가격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세액공제 폐지 시 전기차 판매량 감소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시장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캘리포니아는 주정부 차원의 보조금 지원을 선언하고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