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CATL, 성공적으로 홍콩 증시 입성
IPO 과정에서 美 자본 과감하게 배제
침체했던 홍콩 자본시장, 봄바람 불까
올해 글로벌 기업공개(IPO) 시장 최대어로 꼽혔던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업체 중국 CATL(닝더스다이)이 홍콩 증시에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레귤레이션 S(Regulation S)' 방식을 택해 미국 자본 유입이 불가능했음에도 불구, 상장 첫날부터 눈에 띄는 주가 상승세를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한 것이다.
샤오미, 자체 설계 SoC 'Xring 01' 공개 예정
고급 스마트폰 시장 공략하는 화웨이 칩 설계 사업부
美 반도체 수출 규제, 오히려 中 등 밀어줬다?
샤오미가 자체 반도체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고, 준수한 성능을 갖춘 신규 칩을 출시하는 등 시장 입지 확보를 위해 힘을 쏟는 모습이다.
YMTC, 올해 낸드플래시 생산 전망치 151만 장
'하이브리드 본딩' 필두로 기술력도 급성장해
삼성전자·SK하이닉스, 中 현지 경쟁력 잃나
중국 최대 낸드플래시 기업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스(YMTC)의 올해 생산량이 미국 마이크론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하이브리드 본딩'을 중심으로 낸드플래시 기술력을 확보한 YMTC가 물량 방면에서도 약진을 이어가는 양상이다.
업계 2위 롯데시네마·3위 메가박스, 합병 위해 MOU 체결
업황 부진 이겨내기 위한 '강수'
"합병으로 해결될 일이 아니다" 비관적 전망도 제기돼
국내 영화관 2위 업체 롯데시네마와 3위 메가박스가 합병을 추진한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급성장으로 인해 멀티플렉스 업계가 설 자리를 잃은 가운데, 합병을 통해 극장·영화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 美 반도체 수출 규제에 대한 우려 표명
美 기업 빈자리 화웨이 등 현지 기업이 차지할까
화웨이, 자체 생산 기반 다지며 '반도체 독립' 박차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정부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정책에 대한 불만을 드러냈다.
전기차 시장 입지 잃어가는 테슬라
"머스크 때문에 테슬라 안 산다" 시장 여론 악화
향후 관건은 트럼프 관세 정책?
전기차업계 선두 주자로 꼽히던 테슬라가 시장 입지를 잃어가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정치적 행보로 인해 브랜드 이미지가 훼손되며 판매량·실적이 줄줄이 곤두박질치는 양상이다.
美, 관세로 中 태양광 우회 수출로 막았다
한화솔루션·OCI홀딩스 등 국내 기업 수혜 전망
태양광 수출 역량 확보한 인도도 '반사이익'
중국 태양광업계가 전례 없는 '생존 위기'를 맞닥뜨렸다. 미국이 동남아시아 지역에 막대한 반덤핑관세(AD) 및 상계관세(CVD)를 부과하며 우회 수출로가 막힌 결과다.
매각 대신 상장 선택한 피그마
IPO 시장 침체에도 자신감 드러내
사업 확장·투자금 회수 속도 붙나
사진=피그마
어도비의 경쟁 업체인 미국 디자인 소프트웨어 제작업체 피그마(Figma)가 상장을 추진한다. 어도비와의 인수 거래가 무산된 이후 매각이 아닌 상장으로 엑시트(투자금 회수) 노선을 선회한 것이다.
LVMH "미국 내 루이비통 생산 시설 확대"
美 관세 장벽·프랑스 증세 등 명분 뚜렷
변수는 명품 시장의 '흐름 변화'
프랑스 명품 대기업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가 일부 생산 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미국의 관세 장벽, 프랑스 정부의 증세 등 악재가 누적되자 미국 현지 투자를 통해 활로를 모색하는 양상이다.
美 FTC-메타 법정 공방 본격화
메타, 패소 시 인스타·왓츠앱 강제 매각 가능성
EU서도 'DMA 위반' 조사로 압박 가해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을 상대로 한 반독점 소송의 첫 재판이 시작됐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가 관련 소송을 제기한 지 약 5년 만이다. FTC는 메타가 인스타그램과 왓츠앱 인수를 통해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다고 주장한다.
美, 스마트폰 등에 품목별 관세 부과 검토
전자제품 상호관세는 일단 면제
주요 기업 '탈중국' 움직임 지속 전망
스마트폰, 컴퓨터 등 전자제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다던 미국 정부가 돌연 말을 바꿨다. 상호관세와는 별개로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반도체 등에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카카오엔터·카카오VX·카카오모빌리티, 나란히 매각설 휩싸여
카카오 공동체 노조, 자회사 매각 전면 반대
2022년 노조 반대로 카카오모빌리티 매각 한 차례 무산돼
카카오 자회사들이 줄줄이 '매각설'에 휩싸였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VX, 카카오모빌리티 등 주요 계열사들이 줄줄이 시장 매물로 나왔거나 나온 상태와 다름 없다는 것이 금융 시장 관계자들의 해석이다.
카카오, 주요 주주에 카카오엔터 경영권 매각 의사 전달
"몸값 대폭 줄어야만 사는 사람 있을 것" 비관 여론 확산
계속되는 경영 효율화, 문어발 사업 확장 '거품' 빠지나
카카오가 콘텐츠 사업을 영위하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을 추진한다. 기업공개(IPO) 시장이 얼어붙은 가운데, 상장을 포기하고 매각을 통해 현금 자원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CJ·신세계, 멤버십·콘텐츠 등 분야서 동맹 강화
'업계 1위' 쿠팡 영향력에 밀려나는 전통 유통기업들
CJ는 중국 자본, 신세계는 사업 매각으로 살길 모색
신세계그룹과 CJ그룹이 멤버십·문화 콘텐츠 사업까지 협업 범위를 확대한다. 그간 유통·물류·식품 등의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해 온 두 그룹이 재차 동맹을 강화하는 것이다.
北·中 해커들, AI 기술 앞세워 공격 확대
MS "해커들, 생산성 제고에 AI 사용"
구글, 클라우드 사업 중심으로 경계 강화
북한과 중국 연계 해커 조직이 인공지능(AI)을 무기로 전 세계 주요 산업·기관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AI의 발전으로 인해 사이버 공격 기술이 눈에 띄게 고도화된 것이다.
LG디앤오, 아워홈과 구내식당 재계약 안 했다
한화 편입 앞두고 LG 계열사들과 연결고리 끊겨
'범LG가' LF푸드, 급식사업 진출 시 반사이익 전망
아워홈이 최근 LG그룹 계열사인 LG디앤오(D&O) 구내식당 사업에서 철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화그룹이 아워홈 인수 작업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범LG가(家)라는 명분하에 유지되던 협력 관계가 끊어지기 시작한 것이다.
애경그룹, 애경산업 매각 위해 PEF와 접촉
핵심 계열사들 줄줄이 부진
수년 사이 지주사 부채비율도 치솟아
재계 서열 62위 애경그룹이 핵심 계열사인 애경산업의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 애경그룹의 모태사업인 생활용품·화장품 사업이 시장에 매물로 나온 것이다. 시장에서는 이번 매각이 '생존'을 위한 선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현대차 美 공장, 국내 車 시장 성장 이끌어
美 자동차 관세로 국내 생산 기지 영향력 약화 전망
한국GM 및 국내 자동차 부품업계도 위기
현대자동차가 2005년 미국 앨라배마에 첫 공장을 준공한 이후 현대차·기아의 대미 수출과 국내 생산, 국내 고용 등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자동차 부품사의 대미 수출액이 6배 가까이 늘어나는 등 ‘낙수 효과’도 확인됐다.
현대차그룹, 美 사업에 '역대급 투자금' 투입
시장 "국내 투자 확대와는 결이 다르다"
국내 대기업 대미 투자 움직임에 속도 붙을까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에 역대 최대 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중심으로 현지 자동차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제철소 등을 건설해 부품 현지화율을 제고하겠다는 구상이다.
中, 휘발유차 앞세워 글로벌 자동차 시장 점유율 확대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 부문에서도 中 영향력 커져
"중국 자동차 기술, 국가 안보 위협" 경계 강화하는 美
중국 자동차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휘발유차를 앞세워 개발도상국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