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AI 등 필두로 첨단 기술 투자 확대 '시동'
"돈줄 끊어라" 中 첨단 산업 성장 견제 이어져
클린테크 시장서 발 빼는 미국, 中 빈자리 꿰찰까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기술 분야 투자 열기가 한층 더 뜨거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미국 정부 주도하에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 기술 분야 투자가 눈에 띄게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구글, EU 집행위에 팩트체크 도입 거부 서한 보내
이달 초 메타도 제3자 팩트체커 정책 폐지 예고
각계 팩트체크 관련 입장 차이 두드러져, 곳곳에서 '잡음'
구글이 검색 결과와 유튜브 동영상에 팩트체킹 기능을 추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유럽연합(EU)에 전달했다. 앞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의 모기업인 메타가 '팩트체커' 정책 폐지를 선언한 이후 약 2주 만이다.
MS, 제품에 AI 기능 탑재하며 요금 상향 조정
급증하는 AI 투자 비용, 요금 인상은 부담 상쇄 전략?
"오픈AI보다 못하다" 부진한 MS AI 부문 수익성
사진=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MS)가 개인·가정용으로 판매하는 소프트웨어 ‘MS 365’에 인공지능(AI) 기능을 탑재하면서 12년 만에 가격을 대폭 인상한다.
LG CNS,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 6조원 육박
"주가 흐름 낙관하기 어렵다" 시장 우려 누적
글로벌 시장 내 성패가 주가 좌우한다?
IT 서비스 기업 LG CNS가 공모주 시장의 '최대어'로 떠올랐다. 최근 진행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100대 1이 넘는 경쟁률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한 결과다. 다만 시장에서는 기업공개(IPO) 이후 LG CNS의 주가 흐름을 무작정 낙관할 수는 없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이마트, 병행수입 협력사에 'TIPA 인증' 요구 방안 검토
계속해서 불거지는 '가품 논란' 방지 위한 조치
유통업계 좀먹는 가품들, 소비자 신뢰도 훼손 우려
이마트가 병행수입 제품 관련 검수 체계를 강화한다. 향후 이마트에서 병행수입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협력사에 별도의 진품 인증을 요구하겠다는 계획이다.
지상파 3사, 네이버에 저작권 침해·부정경쟁방지법 위반 소송
AI 시대의 고질적 문제로 부상한 '저작권 분쟁'
현존 판례 AI 기업에 유리, 관련 논란은 지속 전망
지상파 방송사 3사(KBS·MBC·SBS)가 네이버에 저작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네이버가 지상파 3사의 기사를 자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학습에 무단으로 활용했다는 이유에서다.
샤오미, 국내 전자기기 시장 본격 공략 착수
BYD도 승용차 브랜드 국내 출시 공식화
알리익스프레스, G마켓 손잡고 쿠팡 추격
샤오미 14T/사진 = 샤오미코리아
중국 정보기술(IT) 기업 샤오미가 한국 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현지 맞춤형 제품을 적극적으로 판매하며 스마트폰을 비롯한 국내 전자제품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구상이다.
삼성전자, 美에서 6조9,000억원 규모 보조금 받는다
투자 규모 줄어들며 보조금 지급액도 축소
가동 지연되던 테일러 공장, 2나노 생산 기지 도약할까
미국 정부와 삼성전자가 반도체 보조금 관련 계약을 최종적으로 체결했지만, 삼성전자에 지급될 보조금 규모가 예비거래각서(PMT) 체결 당시 발표된 수준을 밑도는 것으로 확인됐다.
세종텔레콤, 알뜰폰 사업에서 발 뺀다
"풀MVNO 만든다더니" 정부 알뜰폰 지원 공회전
KB국민은행·토스 등 거대 사업자 영향력 커지나
세종텔레콤의 알뜰폰 브랜드 '스노우맨'/사진=세종텔레콤
세종텔레콤이 알뜰폰(MVNO) 시장에서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3나노보다 2나노 수요 커" 시장 장악 나선 TSMC
삼성전자, 고객사 확보·설비 전환 등에 속도
삼성전자 3나노 공정 '걸림돌' 된 GAA, 2나노에선 다를까
삼성전자와 대만 TSMC가 내년부터 양산 예정인 2나노(1nm=10억분의 1m)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정 경쟁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애플을 고객사로 확보한 TSMC는 차후 높은 수율과 생산 능력 확대를 바탕으로 시장 선점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엑시노스 2500, 갤럭시 S25 대신 'Z플립' 시리즈 탑재
GAA 공정 조기 도입으로 수율 확보 늦어져
퀄컴 스냅드래곤 시리즈 대비 부족한 성능
삼성전자가 내년 출시되는 플립형 스마트폰 ‘갤럭시Z플립 FE’, ‘갤럭시Z플립7′ 등에 자사 모바일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엑시노스 2500′을 탑재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GM, 크루즈 로보택시 개발에 추가 자본 투입 않는다
속도 붙는 GM 구조조정, 美·中서도 생산 시설 매각·폐쇄
"관세 리스크 몰려온다" 트럼프 당선이 영향 미쳤나
GM의 자율주행 차량호출 서비스 크루즈/사진=크루즈
미국 완성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가 로보택시 사업에서 철수한다.
하이브 주가, 방 의장 비밀 계약 논란에 '휘청'
방 의장, PEF와 차익 공유 계약 체결해 4,000억원 벌었다
사생활 리스크·뉴진스 전속 계약 해지 등 악재 누적돼
하이브 투자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하이브 최대주주인 방시혁 하이브 의장과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상장 과정에서 맺었던 4,000억원 이면계약, 기획펀드 의혹이 수면 위로 드러나며 시장 여론이 악화한 탓이다.
과감한 구조조정 단행하는 닛산
시장 경쟁력 약화하며 영업이익 급감
앵커 투자자 모집, 지분 매각 등도 검토
일본 3대 완성차 업체인 닛산이 초유의 위기에 봉착했다. 주력 시장인 중국·미국에서 경쟁력을 잃으며 실적이 눈에 띄게 악화한 것이다. 관계자들 사이에서 닛산에 남은 생존 기간이 1년 남짓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제기되는 가운데, 닛산은 고강도 구조조정과 투자 유치를 통한 '활로 찾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