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GPT-4o 이미지생성 글로벌 돌풍 출시 일주일 만에 생성 7억 장 돌파 저작권 침해 논란 불가피

오픈AI의 챗GPT가 ‘지브리 스타일’ 열풍을 타고 국내에서도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하루 이용자 수가 사상 처음으로 120만 명을 넘기며, AI 이미지 생성 기술이 대중의 새로운 놀이터로 자리잡고 있는 양상이다. 다만 일각에선 저작권 침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어 적잖은 파장이 예상된다.
온 세상이 지브리 스타일 열풍
3일(현지시간) 오픈AI에 따르면 챗GPT의 새 이미지 생성 기능으로 제작된 이미지가 출시 일주일 만에 7억 장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AI는 지난달 25일 공개한 GPT-4o 기반 새 이미지 생성 기능을 출시했다. 오픈AI는 자사 이미지 생성형 AI '달리(DALL-E)'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으나 챗GPT에서도 달리보다 더 고도화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게 했다.
과거에는 이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위해 프롬프트를 하나하나 입력해야 했지만 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은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보다 쉽고 간편하게 다수의 이미지를 생성해 낸다. 오픈AI는 이 기능에 대해 "상상하는 이미지를 정확하게 만드는 것이 더 쉬워져 시각적 요소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이미지 생성을 정밀성과 강력함을 갖춘 실용적인 도구로 발전시킬 수 있다"며 달리가 해결하지 못한 이미지도 그려주며 텍스트 구현 능력도 향상됐다고 강조했다.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Sudio Ghibli)' 화풍으로 그려주는 이미지가 전 세계 이용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됐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도 자신의 얼굴을 지브리 화풍을 모사한 그림을 X(옛 트위터) 프로필 사진으로 게재하며 이른바 '지브리 밈'을 이끌었다. 이에 힘입어 챗GPT 주간 이용자 수(WAU)와 유료 구독자 수는 지난 분기 말 기준 각각 5억 명, 2,000만 명을 돌파했다. 지난해 말 대비 WAU는 1억5,000만 명, 유료 구독자 수는 450만 명 늘었다.
AI 산출물, 저작권 문제없나
다만 오픈AI는 새 기능으로 수익성은 확대됐지만 저작권 침해 논란에서는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굉장히 모호하고 애매한 영역이라고 입을 모은다. 일반적으로 스토리나 이미지와 같은 작품의 결과물에는 저작권이 있지만 추상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스타일에는 저작권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AI가 지브리 스타일을 모방했을 뿐 작품을 모방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AI가 훈련, 학습하는 과정에서 지브리의 작품을 대가 없이 무단으로 활용했다면 침해 소지가 있지만 작품을 구매해서 학습시켰다면 저작권 침해가 아니라는 의견을 내놓기도 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최종적으로는 모방을 위한 구매인 만큼 위법이라는 이야기가 많다. 애초에 AI 모델에 학습시키려면 작품의 저작권자에게 허락과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작가 단체가 오픈AI가 자신들의 저작 도서를 사용해 AI 모델을 학습시켰다고 주장하며 집단 소송을 진행 중이지만 아직까지 판결이 나오지 않아 법 해석에 이견이 있는 상황이다. 오픈AI는 개별 아티스트의 스타일 복제는 거부하지만 스튜디오 스타일의 복제는 허용한다는 규칙을 가지고 있다. 즉 이미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스타일이나 화풍은 충분히 복제할 수 있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는 얘기다.
전 세계적으로 AI 이미지나 산출물에 대한 저작권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개념이 잡히지 않은 상태다. AI 서비스가 학습 과정에서 저작물들을 활용한 경우 원 저작자의 저작권을 침해했는지 여부는 아직도 각국 법원이 판단을 내리는 중이며 AI 생성 이미지나 산출물을 사람이 수정·편집해 사용하는 경우 저작권을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日 애니 감독 분노, “지브리 더럽히지 마”
지브리 스튜디오는 아직까지 이와 관련해 어떤 공식적인 답변도 내놓지 않고 있으나, 지브리 스튜디오의 아버지이자 지금의 화풍을 만들어낸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은 일전에도 AI가 만든 애니메이션이나 이미지에 부정적인 의견을 드러낸 적 있는 만큼 지금의 사태에 대해서도 호의적이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앞서 미야자키 감독은 지난 2023년 AI가 만든 애니메이션에 대해 “생명 그 자체의 모욕”이라고 말하며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그는 "이런 걸 보고 흥미롭게 여길 수 없다. 이걸 만든 사람은 고통이 뭔지 전혀 모른다. 정말 역겹다. 나는 이 기술을 내 작업과 결합하고 싶지 않다"고 강조했었다. 지난 1일에는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글로벌 대기업에서조차 AI로 만든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광고하는 지금의 상황을 서글퍼하며 아티스트 대신 AI를 투입하는 대기업의 마케팅을 비난하기도 했다.
일본 애니메이션 시리즈 원피스 감독인 이시타니 메구미도 최근 연이어 X를 통해 "지브리 이름을 더럽히다니 용서하지 않겠다", "지브리 AI를 사용하는 일본인이 있는가, 절망스럽다. 지브리 브랜드 가치를 떨어뜨리는 행위"라며 "지브리가 싸구려 취급을 당하는 것을 견딜 수 없다"고 비판했다. 원피스, 나루토, 포켓몬 등을 작업한 애니메이션 감독 헨리 서로우도 지난달 28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AI로 지브리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들이 무엇을 얻는지 모르겠다"며 "원작 아티스트를 불쾌하게 하고, 화나게 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얻지 못할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