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中 저가 공세에 세계 파운드리 4·5위 합병 검토, 삼성 자리 넘본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2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中 SMIC 등 구형 공정서 약진하자 경쟁력 위축
글로벌파운드리·UMC 인수합병 통해 활로 모색
재정 여력·규제 당국 승인 여부는 걸림돌
세계 파운드리 5위 회사인 글로벌파운드리가 지난해 싱가포르에 새로 지은 팹 전경/사진=글로벌파운드리

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 4·5위 회사인 대만 UMC와 미국 글로벌파운드리가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두 기업의 주력 사업인 구형(레거시) 반도체 시장에서 중국 SMIC와 화홍반도체가 빠른 속도로 점유율을 끌어올리자, 합병을 통해 활로를 모색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 글로벌파운드리-대만 UMC 합병 검토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과 닛케이아시아에 따르면 글로벌파운드리는 UMC를 인수하는 방식의 합병을 검토 중이다. 본사는 미국에 두고, 생산기지는 아시아와 유럽 전역에 마련하는 방식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은 TSMC가 67.1%로 1위, 삼성전자가 8.1%로 2위를 기록했다. 3위 SMIC는 5.5%, 4위 UMC는 4.7%, 5위 글로벌파운드리는 4.6%다.

합병이 성사된다면 레거시 생산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크리스 카소 울프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합병을 통해 글로벌파운드리는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고, UMC는 지정학적 갈등을 겪고 있는 중국과 대만 외 지역에 생산 시설을 다각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레거시 공정 영역에서 중국 기업들의 시장 잠식을 막고 시장 내 입지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사의 합병이 성사될 경우 전체 파운드리 시장에도 적잖은 변화가 생길 전망이다. 글로벌파운드리와 UMC의 점유율은 도합 9.3%로, 삼성전자의 점유율을 넘어서게 된다. 최근 삼성전자 파운드리 팹 가동률이 레거시·첨단 공정 모두 부진한 만큼, 주요 경쟁사의 합병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한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은 올 상반기까지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레거시 공정을 담당하는 미국 오스틴 팹의 경우도 가동률이 30~40%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대만 타이난 소재 UMC 팹 12A/사진=UMC

레거시 공정 반도체 회복력 강화 차원

글로벌파운드리와 UMC의 합병 검토는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레거시 반도체 진영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파운드리 시장 3위 기업인 중국 SMIC가 현재 양산을 진행 중인 최첨단 공정은 7㎚(나노미터·10억분의 1m) 수준이다. 하지만 3㎚ 양산을 진행 중인 파운드리 시장 2위 기업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와의 시장 점유율 차이는 3%포인트(P)밖에 나지 않는다.

이 같은 중국 기업들의 성장세와 맞물려 글로벌파운드리와 UMC의 점유율은 위축되고 있다. 지난 2023년까지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 3위를 두고 경쟁해 오던 글로벌파운드리와 UMC는 지난해 1분기부터 SMIC에 자리를 내줬다. 여기에 중국 내 파운드리 2위 기업 화홍반도체도 강력한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점유율을 높이는 중이다.

강성철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연구위원은 “SMIC와 화홍반도체는 레거시 공정 기술력 측면에서는 이미 글로벌 기업들과 격차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며 “중국 내수 물량까지 쏠리면서 빠르게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다 보니, 글로벌파운드리와 UMC가 개별적으로 이들과 경쟁하기에는 녹록지 않다는 판단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실현 가능성은 아직 불투명

다만 글로벌파운드리의 재정 여력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글로벌파운드리의 시가총액은 200억 달러(약 29조원), UMC는 170억 달러(약 25조원) 수준으로, 글로벌파운드리는 UMC를 현금으로 인수할 여력이 부족해 대규모 차입에 나서야 한다. 한 투자은행(IB) 관계자는 “기업 규모만을 단순 비교하면 글로벌파운드리가 UMC를 인수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며 “합병이 현실화된다면 재정을 충당하기 위한 방안을 두고 골머리를 앓을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정학적 리스크도 거래 성사에 큰 장애물이 될수도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기술 애널리스트 찰스 셈과 스티븐 청은 “이런 유형의 거래는 중국 경쟁당국의 승인을 필요로 하며, 이는 상당한 장벽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대만 정부 역시 글로벌파운드리가 UMC의 주도권을 쥐는 구조에 대해 승인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인텔이 글로벌파운드리·UMC 합병에 가세하는 시나리오도 나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최근 TSMC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요청에 따라 인텔 파운드리사업부를 인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2021년 파운드리사업에 진출한 인텔은 경쟁력 확보에 실패해 지난해 192억 달러(약 28조원) 순손실을 냈다.

반도체업계에선 TSMC가 인텔 파운드리사업부를 인수하는 방안, 인텔과 합작사 설립, 기술 협력 등 여러 협력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가장 많이 나오는 안은 TSMC가 인텔 파운드리사업부 지분 20%를 인수하는 방식이다. 인텔은 중앙처리장치(CPU) 등 연 200억 달러(약 26조원)에 달하는 자사 제품을 파운드리사업부에서 생산한다. 이 물량이 TSMC로 넘어가면 TSMC 점유율은 단순 계산으로 75%에 육박한다.

하지만 실제 인수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미국 외 주요국 규제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독점 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커서다. 한 반도체 기업 임원은 “인텔 파운드리를 인수하면 TSMC는 독과점 논란에 빠진다”며 “미국뿐 아니라 각국 규제당국의 승인을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이어 “차라리 인텔 입장에서는 글로벌파운드리, UMC와 뭉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TSMC에 대적할 2위로 올라서는 게 답일 수 있다”고 부연했다.

Picture

Member for

5 months 2 week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