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연구자 포함 반도체 논문 수, 美의 2배 달해
반도체 산업 자립 속도 내는 中, 오픈소스 ISA도 적극 활용
"오픈소스를 어떻게 막나" 美 제재 한계 부딪힐 가능성 커
중국이 반도체 설계·제조 기술에 관한 기초 연구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규제가 심화하는 가운데, 기초 연구를 통해 자체적인 기술 역량을 확보하며 '반도체 자립'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TSMC, 파운드리 공장 등 5개 짓기로
美 빅테크 고객사 독식 기회
고민 빠진 삼성·SK ‘예의주시’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가 미국에 1,000억 달러(약 145조원)를 추가 투자해 최첨단 파운드리와 패키징 공장 5개를 새로 짓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환심을 사는 동시에 애플, 엔비디아 등 현지 고객사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생산 주문을 독식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반도체법 재협상 추진에 이어 관련 직원 감축
"보조금 없어도 관세 부과하면 된다" 이전부터 비판적 견해 드러내
SK하이닉스·삼성전자, 대규모 보조금 물거품 되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 이하 반도체법) 보조금 집행 관련 인력을 대거 감축했다.
항저우시 신규 주택 거래, 전년 동기 대비 81% 급증
딥시크, 유니트리 등 '항저우 소육룡' 급성장한 결과
'딥시크 쇼크' 이후 활력 되찾은 中 테크업계, 봄날 이어지나
중국 저장성 항저우시 부동산 시장이 전국적인 부동산 침체 흐름 속에서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천연 다이아 가격, 2022년 거래가보다 40% 하락
드비어스 다이아몬드 재고 20억 달러 규모
중국발 수요 감소·실험실 다이아 강세 영향
연간 100조원 규모로 반짝이던 산업이 빛을 잃어가고 있다. 한때 모든 보석 중 최고가를 자랑하던 천연 다이아몬드 얘기다. 가격이 급락하면서 업계 최강자 드비어스(De Beers)가 매물로 나오는 등 업계 전반이 추락하는 양상이다.
美 알코아 "트럼프 관세, 산업계·노동자에 좋지 않아"
韓·EU 등 줄줄이 '사정권' 들었다
보복 시사한 EU, 트럼프는 '모든 제품 25% 관세' 맞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알루미늄 관세 강화 조치로 인해 미국에서 약 1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장벽'이 글로벌 시장 곳곳에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산업계의 부담 역시 눈에 띄게 가중되는 양상이다.
미국 무역 정책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
가정집도 물류창고로, C커머스의 새로운 물류 거점
"향후 3년간 아시아 물류기업이 미국 시장 수요 주도할 것"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 미국 내 물류 시설 임대를 대폭 확대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서 들어오는 상품에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선언하자, 미국 현지에서 상품을 배송할 물류 거점을 확보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로보락이 개인정보 무단 공유" 국내 소비자 우려
로보락 즉각 해명에도 여론 진화 지연 전망
누적된 中 기업 개인정보 유출 사례, 우리 기업에도 불똥
중국 가전기업 로보락이 사용자 정보 유출 논란에 관한 해명에 나섰다.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로보락이 고객 개인정보를 제3자와 공유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자, 부랴부랴 여론 진화에 착수한 것이다.
中 테크업계, '딥시크 쇼크' 이후 글로벌 투자 수요 흡수
선제적으로 AI 분야 투자한 알리바바도 주가 폭등
"AI 전쟁, 우리가 이긴다" 업계 주요 인사들 자신감
중국 테크업계가 활기를 되찾고 있다. 그간 미국의 강력한 제재로 인해 민간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던 중국 기술 기업들이 '딥시크 쇼크'를 기점으로 반전의 기회를 거머쥔 것이다.
글로벌 기업 쉘 'LNG 전망 보고서' 발표
2040년까지 연간 수요 최대 7억1,800만 톤 예측
"亞경제 성장, 脫탄소화, AI 등 영향"
액화천연가스(LNG)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2040년까지 약 60%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이는 주로 아시아의 경제 성장, AI의 영향, 중공업과 운송 부문의 배출량 감축 노력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빅테크, AI 테스트베드로 인도 선호
MS·구글 투자한 벵갈루루·텔랑가나주
'인도 실리콘밸리'로 급부상
글로벌 기술 기업들이 인공지능(AI) 인재 확보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인도가 새로운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나 볼 법한 복지 시설을 갖춘 캠퍼스들이 인도 곳곳에 들어서는 등 인재 유치를 위한 환경 조성에도 속도가 붙는 모습이다.
KISTEP 3대 게임체인저 분석 보고서
반도체 기초, 설계 기술 모두 중국이 앞서
中 정부, 반도체 국산화 정책 추진 성과
중국이 우리나라의 반도체 기술 수준을 모두 추월했다는 전문가 설문 결과가 나왔다. 2022년 시행된 같은 조사에선 “한국이 고집적·저항 기반 메모리 기술 등에서 중국보다 앞서 있다”는 결과가 나왔지만, 2년 만에 뒤집힌 것이다.
하드웨어 전문가 월급 1,400만원 수준
사회구조 변화에 휴머노이드 활용도↑
실용성 면에서는 의문점, 대안은?
전기차와 인공지능(AI) 등 여러 첨단 산업에서 놀라운 기술 발전 속도를 보이고 있는 중국이 이번에는 2족 보행 인간형(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팔을 걷어붙였다.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 40%가 넘는 점유율을 기록 중인 만큼 기술 개발과 상용화에서 빠른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인도 1,763만 대
BYD 413만 대 판매, 전년比 43.4% 성장
테슬라는 178만 대로 1.1% 역성장 기록
지난해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이 중국 브랜드들의 급격한 성장세에 1,700만 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계 전기차 1위 브랜드인 중국 BYD는 40% 넘는 성장률을 보이며 2위인 미국 테슬라와의 격차를 배 이상으로 벌렸다.
전기차 캐즘에 전기차 스타트업 줄파산
니콜라 시가총액, 한때 포드 앞서기도
부채 100억 달러 육박하며 주식 97% 하락
니콜라의 수소 전기 트럭 제조 공정/사진=니콜라 유튜브
한때 '제2의 테슬라'로 불리며 기대를 모았던 수소·전기 트럭 제조업체 니콜라(Nikola)가 경영난 끝에 결국 법원에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
지난해 12월부터 시작한 경영 통합 논의 중단
시스템 일원화 요구 등 닛산 자존심 자극
업계 “사풍 다른 회사, 협상서 상당한 잡음”
닛산과 혼다의 경영 통합이 백지화된 가운데, 양사의 합병 논의 중단이 닛산의 '자만심'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닛산이 무릎 아래까지 괴사한 상태에서 혼다의 도움이 절실했음에도 경영진이 이를 슬기롭게 받아들이지 못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