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AI 생산성 개선, 고령화 충격파 상쇄 의료 등 전문직 대체 가능성 낮지만 사무직은 소득 줄고 직장 잃을 수도
![](/sites/default/files/styles/large/public/image/2025/02/AI_GDP_TE_20250211.jpg.webp?itok=h-PaM4rC)
인공지능(AI) 도입으로 우리나라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큰 영향을 받을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전체 근로자의 27%는 AI에 의해 대체되거나 소득이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는 진단이다. 직업군별로 보면 통신 관련 판매직, 비서 및 사무 보조원 등의 사무직 관련 일자리가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AI 도입, 한국 GDP 최대 13% 높여
10일 한국은행 조사국과 국제통화기금(IMF)이 함께 조사·분석해 발간한 ‘BOK이슈노트: AI와 한국경제’에 따르면 AI 도입은 한국 경제의 생산성을 1.1%~3.2%, GDP를 4.2%~12.6% 높일 수 있는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와 저출생에 따른 노동 공급 감소로 2023~2050년 한국의 GDP가 16.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AI가 성공적으로 도입되면 이 감소폭을 5.9%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게 한은의 전망이다. 즉 AI 도입이 생산성을 끌어올려 고령화로 인한 성장 둔화를 상당 부분 상쇄할 수 있다는 얘기다.
AI 도입이 없다면 노동공급 감소로 인해 2023~2050년 동안 한국의 GDP는 16.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의 경우, AI 도입은 이러한 감소 폭을 5.9%로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근로자 10명 중 3명은 일자리 잃거나 소득 감소
이번 조사는 직업별 AI 노출·보완도를 바탕으로 분석됐다. 노출도는 특정 직업의 수행 직무가 AI로 어느 정도 대체 가능한지를 뜻한다. 보완도는 해당 직업의 사회적 속성에 따라 AI 대체 위험에서 얼마나 보호받는지를 나타낸다.
국내 근로자 중 절반 이상인 51%가 AI 도입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전체 근로자의 27%는 AI에 의해 대체되거나 소득이 줄어들 가능성이 큰 '높은 노출도·낮은 보완도' 그룹이었다. 회계·경리 사무직 등 사무 종사자 대부분과 통신 관련 판매 종사자, 컴퓨터 시스템 전문가 등이 이 직업군에 속했다.
반면 일자리 중 24%는 AI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임금 상승 혜택을 누릴 가능성이 높은 '높은 노출도·높은 보완도' 그룹이었다. 의사·한의사·치과의사, 금융전문가, 대학교수, 기업 대표 및 고위 임원 등이 여기에 포함됐다. 한은은 "여성, 청년층, 고학력·고소득층일수록 AI 노출도와 보완도가 함께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해당 계층에 AI가 위기이자 기회로 작용할 것임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AI와 기업 생산성 측면에서 보면 기업의 생산성이 높을수록 AI 도입 비중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AI 도입에 따른 생산성 증대 효과(회귀분석)는 모든 기업에 보편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대기업과 업력이 긴 기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의사 결정의 중대성 등을 고려할 때 특정 직무는 우리 사회가 AI에 전적으로 의지하지 않고 인간의 감독하에 둘 가능성이 크다는 결과도 나왔다. 예를 들어 판사, 외과의사 등의 직무는 설사 AI 노출도가 높더라도 인간이 수행할 가능성이 큰 반면, 통신 관련 판매직, 비서 및 사무 보조원 등의 사무직 관련 일자리는 업무가 대체될 가능성이 높은 직군으로 꼽혔다.
![](/sites/default/files/styles/large/public/image/2024/11/ai_search_20241101_te.avif.webp?itok=TnoW-0C-)
AI발 고용 한파, 전 세계기업 41%, 2030년까지 인력 감축 계획
AI발 일자리 감소 공포는 이미 현실화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의 '일자리의 미래 보고서'에 따르면 AI가 특정 업무를 자동화하면서 고용주의 41%가 2030년까지 인력을 감축해 나갈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조사에 참여한 전 세계 수백개의 기업 가운데 77%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기존 직원의 AI와 함께 더 나은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재교육 등을 수행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향후 몇 년 동안 가장 빠르게 감소할 직업으로는 우편 서비스직과 비서, 급여 담당 직원 등을 꼽았다. WEF는 "그래픽 디자이너와 법무 비서가 가장 빠르게 감소하는 직업 상위 10위권 바로 아래 순위에 있는 것은 이전 일자리 미래 보고서에서 볼 수 없었던 예측"이라며 "생성 AI의 지식 기반 역량이 향상되고 있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대로 AI 기술에 대한 수요는 점점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기업의 약 70%가 AI 도구 등을 설계할 수 있는 신규 인력을 채용할 계획이며, 62%는 AI와 함께 더 나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을 더 많이 채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WEF는 "생성형 AI와 같은 기술이 일자리에 미치는 주요 영향은 완전한 대체보다 '인간과 기계의 협업'을 통해 인간의 기술을 '증강'할 수 있는 시너지 효과에 있다"고 진단했다.
CNN은 WEF가 이번 보고서에서 AI를 포함한 대부분의 기술이 일자리 수에 '긍정적'(net positive)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지 않았다고 짚었다. 실제 이미 많은 일자리가 AI로 대체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구글과 아마존, 디스코드 등이 정리해고의 이유로 AI를 내세웠다. CNN 조사에 따르면 최근 2년 사이에 테크 업계가 세계 각지에서 해고한 인원만 수십만 명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