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트럼프, 가상화폐 실무그룹 신설해 '비트코인 전략적 비축' 등 논의
Picture

Member for

3 months 2 week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수정

가상화폐 실무그릅, 6개월 내 트럼프에 보고서 제출
트럼프 대통령, 과거 입장 바꿔 '親가상화폐'로 전환 
발표 직후 시장 반응 미지근, '실망스럽다'는 여론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새 행정부의 가상화폐 정책을 검토할 실무그룹(워킹그룹) 신설을 골자로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친(親) 가상화폐 기조를 본격화했다. 이번 실무그룹 출범은 지난해 대선 기간 내내 미국을 '디지털 자산의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강조해 온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을 실행하는 첫걸음이다. 실무그룹은 가상화폐 규제 완화와 디지털 자산의 전략 자산화 등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입법 등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마련해 6개월 이내에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고할 예정이다.

SEC에 이어 행정부 차원의 실무그룹 신설

23일(현지 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정부의 가상화폐 및 인공지능(AI) 총책임자로 선임된 데이비드 색스가 배석한 가운데 가상화폐 실무그룹을 신설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 실무그룹은 디지털 자산 관련 정책에 대해 자문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재무부·법무부·증권거래위원회(SEC)·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등 정부 기구가 참여해 가상화폐 규제의 틀을 짜는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국가 차원에서 디지털 자산을 비축하기 위한 입법 제안 등을 담은 보고서를 6개월 안에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하게 된다.

이날 행정명령에는 가상화폐 업체를 위한 은행 서비스가 보호받도록 하고, 중앙은행의 디지털 통화 창설을 금지하는 내용도 담겼다. 가상화폐 총책임자 데이비드 색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도력 하에서 미국을 가상화폐의 세계 수도로 만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디지털 자산 비축 등과 관련해 "이 나라를 위해 많은 돈을 벌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가상자산은 '사기'라고 비난했으나 최근 입장을 바꿔 취임을 앞둔 지난 20일에는 TRUMP라는 밈 코인을 출시하는 등 조 바이든 대통령과는 확연히 다른 정책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

앞서 지난 21일에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가상화폐 태스크포스(TF)를 만들었다. 가상화폐 규제 완화를 약속한 트럼프 대통령의 첫 번째 주요 조치로 볼 수 있다. SEC의 TF는 가상화폐에 대한 포괄적이고 명확한 새로운 규제 체제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TF를 주도할 헤스터 피어스 SEC 위원은 "투자자를 보호하고 자본 형성을 촉진하며, 시장의 건전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혁신을 지원할 수 있는 규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업계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식 밈코인/출처=$TRUMP 홈페이지

장기적으론 美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 기대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도 시장은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가상화폐 정보 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행정명령 서명 3시간 후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0.5% 상승한 10만4,288달러에 거래됐다.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서는 0.25% 하락한 10만4,242달러를 기록하며 횡보세를 이어갔다.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은 2.7% 상승했으나, 리플(1.67%↓), 솔라나(3.36%↓), 도지코인(2.56%↓) 등 주요 가상화폐는 대부분 약세를 나타냈고, 트럼프 대통령의 밈 코인인 오피셜 트럼프도 3.02% 하락하며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다.

블룸버그 통신과 코인데스크 등 현지 매체들은 이러한 시장의 반응을 두고 "행정명령에 비트코인의 전략적 자산 비축에 관한 내용이 명시되지 않은 점에 대해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서 실망스럽다는 반응이 나왔다"고 전했다. 그동안 미국 정부는 범죄 단체 등에서 압수한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를 매각해 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7월 대선 기간 중 비트코인 콘퍼런스에 참석해 "내가 당선되면 미국 정부가 현재 보유하거나 앞으로 취득하게 될 모든 비트코인을 100% 유지하는 것이 내 행정부의 정책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행정명령에 비트코인 비축 방안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향후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대통령이 디지털 자산을 수용하기 위한 자문위원회를 구성한 것만으로도 시장의 변화를 촉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상화폐 펀드 스플리트 캐피털의 설립자인 자히르 에브티카르는 "미 정부가 비트코인을 단 1개만 사도 다른 나라도 뒤따라 매수하기 때문에 엄청난 반향을 일으킬 것"이라며 "잠재적인 국가 디지털 자산 비축 방안에 대한 논의는 단순한 뉴스 이상의 긍정적인 시그널"이라고 평가했다.

비트코인 전략 자산화에 대한 전망 엇갈려

트럼프 대통령이 내세운 비트코인의 전략 준비자산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전문가들 사이에 엇갈린 전망이 나온다. 전략 준비자산이란 통화 당국이 무역 불균형이나 환율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보유하는 현금화 가능 자산으로 미 연방준비제도의 준비자산은 금, 외화, 특별인출권(SDR) 등이다. 아캄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재 미국 정부는 190억 달러가 넘는 20만8,109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데 비트코인이 전략 준비자산이 되면 미국은 안전자산으로서 달러와 비트코인의 입지를 동시에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직 구체적인 방법이 정해지지 않아 어떤 재원을 활용해 비트코인을 비축하는지에 따라 전략 자산화의 현실화 여부가 갈릴 전망이다.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대통령 행정권을 사용해 전략 자산 비축을 명령하거나, 의회를 통해 관련 법안은 새롭게 제정하는 방식이다. 첫 번째 방법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통해 미 재무부의 외환안정기금을 비트코인 매입을 위한 준비금으로 활용할 수 있다. 후자는 미 정부가 보유 중인 비트코인을 재무부 준비금으로 돌리는 방법인데 현행법상 불가능해 법 개정이 필요하다.

방법과 절차가 구체화되지 않은 만큼, 일각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이 현실화되지 않을 것이란 주장도 제기된다. 디지털 체임버의 설립자 페리앤 보링은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만으로 세부 계획을 알기 어렵다"며 "대통령의 행정 권한으로 얼마나 많은 일을 가능한지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다. 정책이 현실화할 경우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자산들은 꾸준히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다. 텍사스, 오클라호마 등 주 정부에서 비트코인을 전략 준비자산으로 비축하는 법안이 발의되고 있는 점도 이런 전망에 힘을 더하고 있다.

Picture

Member for

3 months 2 weeks
Real name
남윤정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