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티메프 대규모 미정산 사태 관련 실업급여 및 대지급금 100억 상회 티메프, 일괄 매각 대신 개별 매각으로 방향
대규모 미정산 사태가 벌어진 티몬과 위메프 등 큐텐그룹 계열사와 관련해 지급된 실업급여 및 대지급금이 현재까지 1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급여는 재취업하지 않을 시 최소 120일간 지급되기 때문에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대지급금 역시 현재 큐텐 계열사들은 회생절차 개시결정이 난 상태라 강제 집행 절차를 밟을 수 없어 회수까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실업급여 36억원·대지급금 80억원
20일 고용노동부가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큐텐코리아 및 계열사 관련 실업급여 현황’에 따르면 티메프 정산 지연 사태가 발생한 지난해 7월 7일부터 11월 말까지 큐텐코리아 및 계열사에 대해 지급된 실업급여는 총 35억9,000만원으로 집계됐다. 신청자는 954명으로, 이 중 943명이 수급했다.
계열사별로는 위메프에 대해 가장 많은 액수(15억3,000만원)가 지급됐고, 인터파크커머스(9억7,000만원), 티몬(9억5,000만원), 큐텐테크놀로지유한회사(1억5,000만원) 순이었다.
아울러 지난해 말 기준 큐텐 계열사에서 발생한 임금체불에 대해 대지급금을 받아 간 근로자는 1,176명(중복인원 미제거)이다. 피해 신고 중 대부분은 퇴직금 체불로, 지급된 대지급금 규모만 80억원에 달하며 체불 근로자 80명에게는 생계비 융자 63억원이 지급됐다.
구영배 세 번째 구속영장, '200억대 임금 체불' 혐의
대지급금 제도는 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에게 국가가 사업주를 대신해 일정 범위에서 체불액을 대신 지급하는 제도로, 사후 사업주에게서 회수한다. 티메프 등에선 지난해 대규모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가 발생하면서 직원들의 퇴사도 이어졌는데, 퇴직연금에 가입되지 않은 상태라 퇴직금 체불이 잇따르고 있다. 이에 큐텐테크놀로지 퇴직자 23명은 지난해 10월 미지급 임금 약 9억8,000만원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지난달에는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서울강남지청이 큐텐그룹 자회사 큐텐테크놀로지와 계열사인 티몬, 위메프 전 임직원들에게 임금·퇴직금 200억여원을 지불하지 않은 혐의로 검찰에 구영배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구 대표는 이와 함께 큐텐 물류 자회사 큐익스프레스의 나스닥 상장을 목적으로 계열사에 일감을 몰아줘 티몬·위메프·인터파크커머스에 총 727억원 손해를 끼친 혐의도 받았다.
구 대표의 구속영장 청구는 이번이 세 번째다. 앞서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팀장 이준동 반부패1부장)은 티메프 대규모 미정산 사태를 촉발한 핵심 피의자인 구 대표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사기·횡령·배임) 혐의로 두 차례나 구속영장을 청구했지만 법원은 ‘방어권 보장이 필요하고 도망과 증거인멸 염려가 없다’며 모두 기각했다.
그러나 이번에도 영장이 기각됨에 따라 구 대표는 또다시 구속 위기를 넘겼다. 지난달 20일 서울중앙지법 신영희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사건 경위, 혐의 내용, 현재까지 확보된 증거자료, 수사와 심문에 임하는 태도, 주거 관계 등을 종합하면 구속 사유와 그 필요성 및 상당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티메프 개별 매각 전환, 매각가 최소 130억원
이런 가운데 티메프는 이달부터 인수·합병(M&A)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로서는 청산가치가 계속기업가치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매각주간사인 EY한영회계법인에 따르면 티몬(약 7배)과 위메프(약 16배)는 청산가치가 각각 136억원, 134억원으로 계속기업가치보다 크게 나왔다. 계속기업가치는 각각 -925억원, -2,234억원으로 마이너스다. 티메프 파산을 위한 방편이지만, 회생절차에서 매각은 채권자에게는 변제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는 동시에 인수기업에도 여러모로 유리하다.
당초 두 플랫폼은 중복 채권자(입점 판매자)가 많아 일괄 매각을 원칙으로 시작했으나, 팔릴 가능성이 높은 플랫폼부터 매각하는 개별 매각으로 전환해 M&A를 타진하고 있다. 티몬이나 위메프 한 군데라도 인수 의향을 표시하면 그곳부터 매각 협상에 들어간다는 의미다. 인수 매각가는 원론적으로 청산가치인 최저 130억원대부터다. 바꿔 말하면 인수 기업 입장에서는 각각 130억원씩, 260억원이면 티몬과 위메프 플랫폼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EY한영에 따르면 현재 인수 의사를 밝혀온 곳은 총 5곳이며 LOI(인수의향서) 접수처는 3곳이다. 그중 한 곳은 중국 중핵집단유한공사(CNNC·중핵그룹)로 알려졌다. CNNC는 중국 국영 원전업체로 산하에 수백 개의 계열사를 두고 있다. 이들 계열사 중에서 IoT(사물인터넷)데이터그룹이 티몬 인수 의향서를 제출해 현재 논의 중이다. 해당 기업은 티몬을 활용해 중국뿐 아니라 세계 시장에 한국산 제품을 수출할 계획으로 인수전에 뛰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조 대표는 “ 청산가치와 계속기업가치는 회생이나 파산이냐에 대한 재판부의 판단에 대한 토대가 되는 요소”라며 “반면 채권자 관점으로 보면 이는 변제율을 정하는 기초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본 건은 상황의 특수성이 있기 때문에 M&A를 통해 청산가치를 높여 변제율을 만드는 방법으로 정리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재판부도 단순 파산으로 검토하지 않고 M&A 후 매각하는 방향으로 인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다만 시장은 큐텐그룹 계열사나 지배구조 최상위 기업도 청산 절차 및 회생 절차 중이거나 휴폐업 상태여서 당장 2,000억원대 대여금 등 회수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고 보고 있다. 이에 티몬의 경우 큐텐 싱가포르 법인에 대한 채권인 대여금·선급금 명목의 264억원부터 채권 신고할 예정이다. 동시에 회수 가능성이 낮다고 볼 때 최종 의사결정권자인 구 대표가 회사에 거액의 손실을 끼친 것이므로 구 대표에 대해 손해배상청구 소송 제기가 가능한지도 법률대리인과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