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공업 테크


두산그룹, 캐시카우 밥캣 '에너빌리티'에서 '로보틱스'로 이동에너빌·밥캣 주주 반발 "합병 비율 조항 악용해 주주가치 훼손"SK온 살리기에 방점, SK그룹의 SK이노-E&S 합병도 과제 산적 두산에너빌리티 자회사였던 두산밥캣을 두산로보틱스 밑으로 옮긴 뒤 상장폐지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두산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이 논란에 휩싸였다. 1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내는 두산밥캣이 적자 기업인 두산로보틱스의 자회사로 편입되는 것에 두산밥캣 주주들이 반발하고 나서면서다. 알짜 자회사를 내줘야 하는 두산에너빌리티 역시 주주 가치 훼손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Read More

낮은 성장성에 주가 급락, 에코프로비엠 개인투자자 평균 27% 손실증권가서도 부정적 전망, "기업가치 고평가돼 밸류에이션 부담 크다"일각서 주가 상승 기대감 나오지만, "밸류에이션 정상화가 우선돼야" 에코프로비엠 주가가 추락을 거듭하면서 전환사채(CB)에 투자했던 기관 투자자들의 1차 엑시트(투자금 회수)에 빨간불이 켜졌다. 에코프로비엠의 주가 급락 원인은 성장성이다. 실제 에코프로비엠의 영업이익은 1년 새 90% 이상 하락했고, 전기차 시장이 부진한 탓에 미래 전망도 어둡다. 이에 증권가도 에코프로비엠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기업가치가 여전히 고평가돼 있단 시선에서다.
Read More


4680 원통형 배터리, 테슬라 사이버트럭 등에 탑재LG엔솔 오는 8월부터 양산, 美 애리조나 공장 신설파나소닉 올 하반기, 삼성SDI는 내년 초 양산 계획 최근 배터리 업계에서 '지름 46㎜'의 배터리가 신규 폼펙터로 주목받는 가운데 원통형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의 양산 경쟁이 치열하다. 해당 배터리는 세계 전기차 업체 1위 테슬라가 사이버트럭 등 주력 제품에 탑재할 배터리로, 국내 기업 중에는 LG에너지솔루션이 가장 먼저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한다. 이어 오랜 기간 테슬라와 파트너십을 이어온 파나소닉이 올해 하반기 양산을 앞두고 있으며 삼성SDI도 내년 초 양산을 목표로 현재 고객사와 협의 중에 있다.
Read More



사업구조 재편 나선 SK이노베이션,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도 중단중국에 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한 SK에코플랜트, 정작 국내 공장 건설은 지연자금 부족에 선택과 집중 전략 내세운 SK그룹, 핵심 미래 먹거리는 'SK온' SK이노베이션이 폐배터리 사업 투자를 줄이고 사업구조 재편에 나섰다. 핵심 광물 가격이 급락하면서 관련 사업의 경제성이 하락한 탓이다. 이에 업계에선 SK그룹이 당분간 SK온 살리기에 주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계열사 정리로 자금 실탄을 마련하고 이를 SK온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보릿고개'를 넘길 기반을 마련하겠단 취지다.
Read More
EU, 중국산 전기차 관세율 현행 10%→21% 비협조시 38.1%테슬라 "실질적 中지원 적게 받는다" 관세 조정 조사 요청EU 집행위 "테슬라 中 보조금과 특정 상황 깊이 조사할 것"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사진=테슬라 유튜브 유럽연합(EU)이 중국산 전기차에 최대 48%의 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미국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에서 생산된 자사 전기차에 더 낮은 관세율을 적용할 것을 요구했다. 테슬라는 다른 기업에 비해 중국 당국으로부터 지원 혜택을 적게 받았다는 이유에서다.
Read More

전기차 캐즘에 부진 못 면한 SK온, 결국 SKIET 매각 나선 SK그룹매각 소식에 시장은 "글쎄", 원인은 지나치게 높은 내부거래 비중SKIET R&D 내재화 이뤘지만, "지금 중요한 건 고객사 다각화" SK그룹이 배터리용 분리막을 생산하는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의 경영권 매각을 포함한 배터리 사업부 재편 작업을 추진한다. 전기차 성장 부진으로 재무적 어려움에 부닥친 SK온을 지원하겠단 취지지만, 시장에선 불안의 목소리가 나온다. 내부거래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탓에 원하는 만큼의 가격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Read More
기업회생 플라이강원, 가전업체 위닉스 품에 안긴다AOC 재발급 등 경영정상화 자금 1,000억 소요 전망위닉스 현금 보유고 100억 불과, 사업 시너지도 의문 강원도 양양국제공항을 모(母)기지로 둔 저비용항공사(LCC) 플라이강원의 새 주인으로 위닉스가 확정됐다. 플라이강원이 경영난으로 기업회생을 신청한 지 1년여 만으로, 이르면 7월 초 인수 절차가 완료될 예정이다. 오랜 난항 끝에 만난 새 주인이지만 일각에선 회의적 견해도 나온다. 위닉스가 보유한 현금성 자산이 인수에 필요한 자금에 못 미쳐 외부 자금 수혈이 불가피한 데다 양사의 사업적 시너지에 대한 의문도 뒤따르고 있어서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