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다이아몬드 등장에 천연 다이아 시세 뚝
전문가도 특수장비 없으면 구분 못 해
작년 1.4조에서 2030년 73조원 도달 전망
사진=브릴리언트 어스(Brilliant Earth)
'보석 중의 보석', '영원한 사랑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다이아몬드의 위세가 예전 같지 않다.
이케아 '흥행불패' 신화 깨지나
평택 물류센터 4년 만에 투자계획 철회
실적 악화에 출점 등 사업 줄줄이 제동
경제 불황 속 리바트는 선방, 이케아는 부진
한국 진출 10년차에 접어든 글로벌 가구 브랜드 이케아가 지난해까지 2년 연속 역성장하는 등 실적이 부진한 모습이다. 조립식 가구에 대한 한국인들의 선호도가 떨어지는 데다 빠른 배송력과 서비스를 갖춘 국내 경쟁업체와 비교해 뚜렷한 장점이 없다는 평가다.
2020년 출범한 롯데온, 5,000억원 누적 적자
유통 계열사 온라인몰 이관 등 사업 재구조화
임대료 부담에 '롯데월드타워'에서 사옥 이전
롯데쇼핑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롯데온이 6개월 만에 2차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누적 적자가 5,000억원에 달하는 등 재무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온 롯데온은 현재 유통 계열사의 온라인몰 이관, 상품군 구성 조정 등 강도 높은 비용 효율화 작업을 추진 중이다.
그랜드백화점 일산점, 내년 2월 28일 영업 종료
1등 신세계 강남은 연 매출 3조, 비대칭 심화
하위 점포 영업 철수, 지방 백화점도 구조조정
그랜드백화점 일산점 전경/사진=그랜드백화점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온라인 유통시장이 급성장하고 소비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백화점업계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코카콜라, 울릉도 먹는샘물 첫 출시
울릉군 합작 '울림워터', 프리미엄 시장 공략
시장 경쟁 심화 속 연착륙 여부에 관심
코카콜라의 프리미엄 생수 '울림워터'/사진=LG생활건강
국내 생수 산업이 '무한 경쟁'을 펼치는 가운데, 코카콜라음료가 프리미엄 생수를 내놓으며 출사표를 던졌다.
1차 희망퇴직보다 대상자 확대수익성 개선에도 혁신에 방점‘한 지붕 두 회장’ 성과에 이목 집중
이마트가 올해 들어 두 번째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이마트를 비롯해 지마켓, 신세계면세점 등 신세계그룹 내 계열사들이 일제히 인적 쇄신에 한창인 가운데, 정용진·유경 남매의 ‘분리 경영’이 가져올 성과에도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는 모습이다.
홈플러스, 이커머스 공세에 배민과 '연합 전선'
급성장하는 퀵커머스 시장에 유통채널도 참전
배송 효율 높이고 예약 배송 등 서비스 다양화
'퀵커머스(Q-Commerce)'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대형마트와 배달플랫폼 간 합종연횡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에는 국내 최대 퀵커머스 플랫폼을 운영하는 배달의민족에 이마트에 이어 홈플러스까지 입점하면서 유통업계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했다.
항셍테크 지수 전고점 대비 20% 이상↓중국산 수입 美 유통 기업, 가격 인상 시사“1년 치 재고 확보”, 곳곳에서 ‘사재기’
중국의 경기 침체가 장기화에 접어든 가운데 중국 ‘5대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의 주가가 크게 휘청이는 모습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에 따른 고율 관세 리스크 부각과 중국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진 데 따른 것으로, 투자자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해외 식품사업 매출 4년간 70% 이상 성장
미국 7천억·헝가리 1천억 투자해 공장 건설
2026년 하반기부터 '비비고 만두' 현지 생산
브라이언 시그 슈완스 CEO(왼쪽에서 세 번째), 박민석 CJ제일제당 식품사업부문 대표(완쪽에서 네 번째) 등이 미국 사우스다코다주 수폴스 공장 착공식에 참가해 첫삽을 뜨고 있다/사진=슈완스
CJ대한통운 노사, 주7일 배송 논의 위한 집중 교섭 미뤄
업무 강도 상승·수입 감소 우려하는 택배 근로자들
"쿠팡 따라잡으려면" 사측, 주7일 배송 도입 절실
사진=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이 내년부터 주 7일 배송(가칭 ‘매일오네’)을 도입하겠다고 선언한 가운데, 이와 관련한 노사 간 합의는 지연되고 있다.
넷째 알렉상드르, 모엣헤네시 부사장 임명
모엣헤네시 3분기 누적 매출, 전년 동기 대비 8%↓
지갑 닫은 中 소비자들, 명품 매출 최대 22% 감소 전망
사진=LVMH
프랑스에 본사를 둔 명품 그룹 루이뷔통모엣헤네시(LVMH)가 베르나르 아르노(Bernard Arnault) 회장의 자녀들을 중심으로 경영진 재편에 돌입했다.
상생협의체, 4개월 만에 극적 합의
일괄 9.8%에서 2~7.8% 차등 수수료 도입
내년 초 시스템 정비 후 본격 시행
배달 앱 수수료 문제를 놓고 4개월간 공회전을 이어갔던 배달 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가 차등 배달 수수료안으로 극적인 합의를 이뤘다. 협의체는 이번 '권고 합의안'을 상생의 출발점으로 보고 배달 플랫폼사와 입점업체 간 협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면세점 특허수수료 매출액 대비 최대 1%인천공항 여객 수 연동 임대료 산정 부담중국인 관광객 팬데믹 이전 80% 수준 그쳐
국내 면세점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 3분기 면세점 대부분이 적자를 면치 못한 가운데 인천공항 임대료 인상까지 겹치며 사면초가에 놓인 것이다. 면세 업계는 인력 조정과 비용 절감 등 일제히 비상 경영에 돌입했다.
검찰, 11~12일 양일간 압수수색
"공정위 고발에 자료 확보 차원 수사"
공정위, 쿠팡에 과징금 1,682억원 부과
검찰이 알고리즘을 통해 상품 랭킹을 조작한 혐의를 받는 쿠팡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이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고발 조치에 따른 것이다. 앞서 공정위는 쿠팡의 순위 조작 혐의를 포착해 과징금을 부과하고, 쿠팡을 검찰에 고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