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민정
[email protected]
오늘 꼭 알아야 할 소식을 전합니다. 빠르게 전하되, 그 전에 천천히 읽겠습니다. 핵심만을 파고들되, 그 전에 넓게 보겠습니다.
중국 정부가 자국 드론 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나선 가운데 세계 최대 드론 제조업체 DJI가 새로운 농업용 드론을 출시했다. 다양한 활용도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에 박차를 가하려는 의도다. 업계에서는 중국의 드론 기술력이 이미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중국의 경기 침체가 장기화에 접어든 가운데 중국 ‘5대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의 주가가 크게 휘청이는 모습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에 따른 고율 관세 리스크 부각과 중국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진 데 따른 것으로, 투자자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몸집을 줄이고 비행 거리·시간을 늘린 에어버스 A321XLR 비행기가 상용화를 앞둔 가운데, 전 세계 허브 공항의 영향력이 약화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항공연결성이 우수하기로 손꼽히는 인천공항 또한 여파를 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가 지난 3월 이후 시행해 온 주5일 사무실 출근 제도를 없앤다. 노조가 주1회 재택근무 적용을 포함한 임금 단체 협상 잠정 합의안에 동의하면서다. 카카오를 필두로 과반 노조가 하나씩 늘며 정보통신(IT) 업계 내 분위기 또한 달라지는 모습이다.
미국의 컴퓨터 서버 제조업체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의 주가가 폭등했다. 새로운 감사인 선임을 통해 항간에 떠도는 회계 부정 의혹을 떨쳐낼 것으로 기대되면서다. 다만 시장에서는 여전히 상장 폐지에 대한 우려가 식지 않는 모습이다.
글로벌 명품 시장이 주춤한 가운데 루이뷔통모엣헤네시(LVMH)가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의 자녀들을 중심으로 경영진 재편에 돌입했다. 시장에서는 LVMH의 실적 개선 여부를 눈여겨보는 동시에 향후 펼쳐질 후계자 구도에도 관심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삼성전자가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하 전삼노)과 2023년·2024년 임금협약의 잠정 합의안을 도출하며 사상 초유의 ‘노조 리스크’ 수습에 나섰다. 임금인상 5.1%와 복지포인트 지급 등이 이번 합의안의 골자로, 지난 1월 16일 이후 약 10개월 만에 나온 성과다.
신한금융지주 계열사 신한캐피탈이 경영난으로 문을 닫은 스타트업의 창업자를 대상으로 소송을 진행 중이다. 해당 스타트업에 들어간 투자금에 이자까지 가산한 금액을 반환하라는 내용의 소송으로, 업계에서는 스타트업 대표 개인의 과실 및 고의가 없는 상황에서 무리한 조처라는 반응이 주를 이룬다.
면세점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 3분기 국내 면세점 대부분이 적자를 면치 못한 가운데 인천공항 임대료 인상까지 겹치며 사면초가에 놓인 것이다. 면세 업계는 인력 조정과 비용 절감 등 일제히 비상 경영에 돌입했다.
회생 위기에 놓였던 한국피자헛이 기사회생했다. 한국피자헛이 신청한 자율구조조정 프로그램(ARS)을 법원이 승인하면서다. 채권자들과의 협의에 나선 한국피자헛이 난관을 딛고 국내 사업을 지속할 수 있을지 시장의 이목이 쏠린다.
압구정갤러리아 식품관 리뉴얼 중단명품 의존도만큼 큰 경기 침체 타격가을 패션 매출 부진이 날씨 탓?
galleria_sales_TE_20241108
팬데믹 이후 이어져 온 내수 시장 침체가 백화점 업계에도 영향을 미친 모습이다. 한화갤러리아의 대표 매장인 압구정갤러리아가 올 상반기부터 추진해 온 식품관 리뉴얼 계획을 무기한 연기한 것이다. 갤러리아 백화점을 비롯한 유통업계 전반이 매서운 겨울을 맞을 전망이다.
수익구조 다각화로 성장성 입증희망 기업 가치 7조원 달해동종 업계 상장사 주가에도 촉각
LGpark_cns_TE_20241104
LG CNS 본사가 위치한 마곡 LG사이언스파크/사진=LG CNS
LG그룹 계열의 정보통신(IT) 전문기업 엘지씨엔에스(LG CNS)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내부 거래 비중 축소에 돌입했다. 상장 예비 심사가 한창인 만큼 수익구조를 외부로 다각화해 지속 가능한 성장성을 입증하겠다는 복안이다. LG CNS 측은 자사의 기업 가치를 7조원 수준으로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핵심 사업 정리·계열사 수 감축 속도 붙나목표 주가 줄줄이 하향, 투자자 달래기 시급김 의장 비롯 경영진 사법 리스크 여전
kakao_broken_TE_20241101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의혹을 받는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겸 CA협의체 공동의장이 구속된 지 101일 만에 보석으로 풀려났다. 대대적인 기업 쇄신 작업에 차질을 빚던 카카오가 그룹 총수의 복귀로 안정화를 이룰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언스트앤영, 슈퍼마이크로 감사 사임4월 이후 회계 부정 의혹 ‘일파만파’거래정지·상장폐지 우려에 주가 폭락
Liang_sm_TE_20241031
찰스 리앙 슈퍼마이크로컴퓨터 창립자 겸 CEO/사진=슈퍼마이크로컴퓨터
엔비디아 협력 업체로 글로벌 시장의 주목을 받아 온 인공지능(AI) 서버 제조업체 슈퍼마이크로컴퓨터의 회계 법인이 회사를 신뢰할 수 없다는 이유로 사임했다. 그간 업계에 떠돌던 회계 부정 의혹이 기정사실화하자 슈퍼마이크로의 주가는 전일 대비 30% 넘는 하락세를 그리며 올해 상승분 대부분을 반납했다.
삼성전자에 글로벌 스마트폰 1위를 자리를 뺏긴 애플이 폴더블 스마트폰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애플의 핵심 시장인 중국 시장 점유율이 떨어지면서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입지가 흔들리자, 돌파구로 폴더블폰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
백신전문업체인 보령바이오파마가 세 번째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다. 현재 유진프라이빗에쿼티(유진PE)가 유력 후보자로 거론된다. 유진PE가 매각 금지 가처분을 제기한 기존 투자자들을 설득할 지 여부가 매각 성사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삼성전자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협력사들이 중국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반도체 설계를 돕는 자산(IP)이나 개발과 생산을 잇는 디자인하우스(DSP)가 급증하는 중국 내 반도체 개발 수요 대응에 나선 모양새다.
구글의 유튜브가 '유튜브 뮤직' 끼워팔기 논란 및 지난해 말 단행한 43%에 가까운 가격 인상에도 국내 시장에서 굳건한 모양새다. 지난해 2월 현장 조사를 실시하는 등 만 1년을 넘긴 공정거래위원회의 끼워팔기 의혹 조사가 여전히 의견수렴 단계에 머무르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온다.
프랑스 정부가 구글이 뉴스 콘텐츠 사용료에 관해 언론사와 맺은 계약을 위반했다며 2억5,000만 유로(약 3,6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프랑스 경쟁당국은 “구글은 프랑스 언론사들과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2022년 맺은 7가지 약속 가운데 4가지를 준수하지 않았다”며 부과 이유를 설명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전 세계 많은 나라에서 선거가 치러지는 올해 국제적 연대를 통해 가짜뉴스에 대응하자고 민주주의 국가들에 제안했다. 이는 최근 증가하는 가짜뉴스 및 딥페이크 피해에 대한 우려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차원의 대응 방안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