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투자, 10년 사이 약 20배 증가
‘설계→패키징' 반도체 생태계 구축
메모리 발전 뚜렷, 한국 기업에도 위협
중국을 향한 미국의 첨단 기술 수출 통제가 갈수록 그 수위를 높여가는 가운데, 중국 반도체 산업이 자립률 25%를 달성하며 미국의 제재를 무력화하는 모습이다. 이미 지난해 하반기 12인치 웨이퍼 공장을 줄줄이 완공한 만큼 고부가가치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기술 자립은 그 속도를 더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혼다·닛산, 통합 비율 등 이견 좁히지 못해
혼다, 닛산 자구책 미흡해 자회사 인수 제안
닛산의 거센 반발에 경영 통합 전면 '재검토'
일본 2·3위 완성차 업체 혼다와 닛산자동차 간 경영 통합이 사실상 백지화됐다. 당초 두 회사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경영 통합을 추진했으나, 닛산의 구조조정 문제와 지주사의 지배권 등 경영권 조율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협상이 중단됐다.
ARM, 자체 설계 역량·수익성 제고에 힘 실어
반도체 설계 기업 암페어컴퓨팅 인수도 논의 중
반도체 육성에 힘 쏟는 日, ARM 지원 나설까
영국의 팹리스(생산라인이 없는 반도체 기업) 기업 ARM이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판도를 뒤흔드는 '게임 체인저'로 급부상하고 있다. 반도체 설계 IP(지식재산권)를 제공하는 수동적 역할에서 벗어나 직접 칩을 설계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면서다.
파나소닉홀딩스, TV 사업 철수 고심
日 TV 시장, 中 브랜드 점유율 급상승
삼성·LG도 위태, 수익 다변화 과제로
사진=파나소닉
일본 파나소닉홀딩스가 70년 넘게 이어온 TV 사업을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간 파나소닉은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리는 TV 사업을 축소해 왔는데 아예 TV 사업을 접기로 한 것이다.
미중 무역전쟁 2라운드 본격화
美, 대중 추가관세 10% 공식 발효
中, 희소금속 수출 통제로 맞불
미국이 중국을 겨냥해 관세 무기를 휘두르자, 중국도 대미 추가 수출 제한 품목을 발표하는 등 맞불 작전에 나섰다. 미국과 캐나다·멕시코의 관세 전쟁이 일단 보류된 것과 달리 미·중 갈등은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단순 검색 넘어 심층 연구 기능 수행"
디바이스 활용 방식 딥시크와 차별화
폐쇄형 AI 모델 고수 전략 변화 감지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선두 주자인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급부상에 맞서 새로운 AI 검색·연구 도구 딥리서치(Deep Research)를 선보였다.
구마모토 등 日 지방 공항
항공유 부족 직격탄, 국제선 증편 차질
슈퍼엔저→해외관광객 급증→항공유 수요 폭발
나리타 공항/사진=고 도쿄(Go Tokyo)
일본 공항들이 제트유 부족 사태로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슈퍼 엔저'에 해외 관광객이 몰리면서 항공유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자국내 공급은 한계상황이다.
YMCT, '독자 기술'로 최고층 낸드 플래시 출시
자국산 장비 성능 개선 통해 기술 추격 본격화
자체 기술력으로 美 반도체 제재 돌파구 찾아
중국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스(YMTC)가 자국 시장에 세계 최고층인 294층 낸드플래시 메모리를 출시하며 기술 주도권 경쟁을 본격화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 오픈소스 전략 채택 가능성 시사
'저가형' 딥시크 R1 대응 위해 o3-미니도 무료 배포
400억 달러 대규모 투자 유치 나선 오픈AI, 시장은 '의문'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오픈소스에 대한 전향적인 의견을 피력했다.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시장에 불러온 파문을 고려, 파격적인 경영 전략 전환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애플 '비전 프로', 고가 논란 속에 판매 부진
내부에서 VR·AR 시장성에 대한 우려 높아
메타·삼성·구글은 AR 제품 개발 지속 예정
애플이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 개발을 전격 중단했다. 애플은 2020년부터 AR 스마트 글래스 개발을 추진해 왔지만 맥(Mac)과의 연동 과정에서 기술적 한계와 사업성의 문제에 부딪힌 상태다.
R1, 저사양 AI칩과 GPT-4 대비 5% 개발비로 주목
"적은 비용으로 빅테크 AI 모델과 유사한 성능 달성"
딥시크가 흔든 패러다임,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딥시크 4년간 서버 투자 비용 추정치, 하드웨어 구입 및 운영에 25억7,300만 달러가 들어갔다/출처=세미애널리시스
낮은 개발 비용으로 전 세계 테크업계를 강타한
中 국내파가 개발한 AI 모델에 시장 지각변동
훨씬 적은 돈으로 챗GPT 필적하는 성능 구현
오픈AI·메타 등, '딥시크發 충격'에 대응 나서
딥시크 R1과 오픈AI o1의 성능 비교/출처=딥시크 X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전 세계 AI 시장에 지각 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오픈AI, 역대 최대 규모 투자 유치
딥시크 R1 출시 직후 58조 자금 조달
조달 자금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이행 지원
챗GPT 제조사 오픈AI가 역대 최대 규모 투자 유치에 나섰다. 주요 협상 상대는 최근 대미 투자를 발표한 소프트뱅크로, 언급되는 투자 규모만 수십조원에 육박한다. 중국 AI 기업 딥시크(DeepSeek) 제품의 충격 속 두 회사가 기술 우위를 지키기 위해 동맹 체제를 강화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머스크, 트럼프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의문 제기
프로젝트 참여 기업 "머스크 주장은 틀렸다" 반박
프로젝트 중심축으로 떠오른 오픈AI, 머스크와 갈등 빚어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사진=머스크 X 계정 캡처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신설된 정부효율부(DOGE)의 수장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트럼프, AI 등 필두로 첨단 기술 투자 확대 '시동'
"돈줄 끊어라" 中 첨단 산업 성장 견제 이어져
클린테크 시장서 발 빼는 미국, 中 빈자리 꿰찰까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기술 분야 투자 열기가 한층 더 뜨거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미국 정부 주도하에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 기술 분야 투자가 눈에 띄게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구글, EU 집행위에 팩트체크 도입 거부 서한 보내
이달 초 메타도 제3자 팩트체커 정책 폐지 예고
각계 팩트체크 관련 입장 차이 두드러져, 곳곳에서 '잡음'
구글이 검색 결과와 유튜브 동영상에 팩트체킹 기능을 추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유럽연합(EU)에 전달했다. 앞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의 모기업인 메타가 '팩트체커' 정책 폐지를 선언한 이후 약 2주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