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세계 뒤흔든 MS 먹통 사태, 원인은 크라우드스트라이크 SW 업데이트
세계 각지에서 피해 사례 속출, 한국도 저가항공사 등 먹통 '혼란'
사고 이후 주가 미끄러진 크라우드스트라이크, 향후 성장 전망은?
CrowdStrike 20240722

전 세계적인 혼란을 일으킨 마이크로소프트(MS)의 클라우드 장애 사태가 글로벌 보안업체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owdstrike)의 '보안 프로그램 업데이트'에서 기인한 것으로 확인됐다. 세계 각국의 주요 기업에서 '먹통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업계 일각에서는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평판이 크게 훼손되며 성장세가 꺾일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이 흘러나온다.

EU 규제에 발목 잡힌 메타, 역내 라마 3 미출시 선언
'AI법' 등으로 美 AI 개발 기업 숨통 옥죄는 EU
EU '규제 울타리' 바깥에선 여전히 경쟁 치열
eu meta 20240719

메타가 유럽연합(EU) 회원국에서 새로운 범용 인공지능(AI) 모델을 더 이상 출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최근 이어진 EU의 고강도 AI 규제 움직임을 고려, 과감한 후퇴를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피격 사건 이후 상원·하원 레드웨이브 가능성↑
공화당이 백악관·의회 장악하면 '전기차 보조금' 폐지
원전 재가동·신재생에너지 확대 나선 일본
"LNG도 놓칠 수 없다", 동남아 등지에 재수출
인접국 중심 LNG 도입 안정성 강화에 총력
LNG JP TE 001 20240718

세계 최대 액화천연가스(LNG) 수입국인 일본이 그동안 비축해 둔 LNG를 대만과 동남아시아 등으로 '밀어내기 수출'을 늘리고 있다. 아시아 신흥국들에 LNG 수입 터미널을 지어주면서다. 이는 원자력 발전 재개 등으로 자국 내 LNG 소비량이 줄어드는 가운데 에너지 안보적 측면에서 LNG 수입 물량을 계속 유지하고 싶어 하는 일본 정부의 전략과 맞물린다. 일각에서는 LNG를 생산하지 않는 일본이 재수출을 통해 LNG 허브로 거듭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MS와 아마존, 경쟁 규제 강화에 AI스타트업 투자 늘려, 인수 대신 인재만 채용하는 전략으로 선회?
미국·유럽 챗봇 기업들 지분 투자 활성화하자 미국·영국·유럽 경쟁 당국에서 반독점법 조사 나서
반독점법 회피 위해 인수 대신 채용했다는 의혹 제기
Mustafa Suleyman TE 20240717
무스타파 술레이만 창업자 / 사진=마이크로소프트

영국 경쟁 당국이 빅테크 기업들의 AI스타트업 '편법 인수' 조사에 돌입했다. AI스타트업 인수 시 경쟁 당국의 강도 높은 심사를 받아야 하는 만큼, 회피 목적에서 인재와 기술만 영입한 혐의를 조사하겠다는 것이다.

"고객 대부분 정보 빠져나가" 미국 AT&T, 해킹 피해 공표
지난 3월에는 7,300만 명 고객 정보 다크웹에 누출되기도
2021년 T모바일 해킹 이후 통신업계 피해 꾸준히 누적돼
att hacker 20240715

미국 최대 통신업체 AT&T에서 대규모 고객 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3월 벌어진 해킹 공격 사태 이후 4개월 만에 재차 유사 사고 발생 사실이 공표된 것이다. 업계는 수년 전 T모바일을 중심으로 본격화한 미국 통신업계 내 보안 위협이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아마존, AI 쇼핑 도우미 '루퍼스' 미국 정식 출시
AI 기반 쇼핑 지원 기능 일환, 서비스 완성도는 아직 낮아
전문가들, 추천 알고리즘의 소비자 선택 왜곡 사례될까 예의 주시
amazon rufus TE 20240715
아마존 대화형 AI 서비스 루퍼스/사진=아마존

아마존의 대화형 인공지능(AI) 기반 쇼핑 도우미 루퍼스(Rufus)가 베타 테스트를 종료하고 실제 고객 대상 서비스에 들어간다. 오픈AI의 '챗GPT' 등장 1년 반 만에 '쇼핑 전문 챗봇'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9년까지 핵심 통신망에서 中 화웨이·ZTE 퇴출
獨 검찰, 중국 간첩 혐의 의회 보좌관 등 4명 체포도
SK이노베이션, 미국 캘리포니아 주 정부와 가격 담합 분쟁 합의
캘리포니아 주민들과의 집단소송에 대한 부담 작용 가능성도
美 법조계 "SK이노 측 합의 중 유죄 인정 여부가 집단소송에도 영향 줄 것"
SKEnergy TE 20240711
캘리포니아 주 정부와 SK Energy Americas-Vitol 간의 법적 분쟁 요약/출처=NAAG.org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휘발유 가격 담합 혐의로 기소된 SK에너지의 미국 자회사 SK에너지 아메리카가 캘리포니아 주정부와 약 700억원에 합의했다. 이는 미국에서 상품 거래업체가 시세 조작으로 법적 처분을 받은 가장 최근의 사례다.

AMD, 사일로 AI 인수로 AI 솔루션 시장 역량 확보
미프솔로지·노드.ai 등 AI 반도체 상품화 밸류 체인 구축에 속도
출시 앞둔 MI325X의 기술 역량이 엔비디아 추격전의 가늠자 전망
Silogen TE 20240711
사일로AI의 실로젠(SiloGen) / 사진=사일로AI

미국의 반도체 회사 AMD가 유럽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을 인수했다. 소프트웨어 분야를 강화해 AI 칩 선두 주자인 엔비디아와를 추격한다는 목표다.

일라이 릴리의 비만치료제 잽바운드, 위고비에 판정승
노보 노디스크 "제2형 당뇨병 환자 포함된 수치" 추가 검증 필요
연구자들, 다양한 비만 증상에 확인해 봐야
ZepBound TE 20240709
비만 치료제 젭바운드/사진=일라이 릴리

일라이 릴리사의 당뇨병 치료제 마운자로(Mounjaro)·비만 치료제 젭바운드(Zepbound)의 활성 성분인 티르제파타이드(Tirzepatide)가 노보 노디스크의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Ozempic)·비만 치료제 위고비(Wegovy)의 활성 성분인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보다 체중 감량 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AI, 내부 정보 유출 이후에도 '쉬쉬'
"이번에도 중국인가" 연이은 해킹 피해에 불안감 확산
행동 나선 미국 법무부, 지난 3월 'APT31' 기소
china hacker 20240705

생성형 AI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지난해 초 해킹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 유수의 테크 기업의 정보가 탈취당하며 안보 불안이 가시화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이번 해킹 공격의 배후에 중국이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EU "광고 목적 개인정보 제공은 월권", 메타 DMA 위반 결론
페북 ‘유료 혹은 동의’ 모델 지적도, 결론 확정 땐 과징금 부과
EU 경쟁당국 "MS, EU 독점금지법 위반했다"
애플에는 DMA 위반 예비조사 결과 통보
EU의 강력한 빅테크 규제, 美 반독점 소송에도 영향 미칠까
eu ms 20240627

유럽연합(EU) 경쟁당국이 마이크로소프트(MS)의 화상회의 애플리케이션(앱) 끼워팔기 행위가 독점금지법에 저촉된다는 잠정 결론을 내렸다. 애플의 앱스토어 운영 방식이 디지털시장법(DMA·Digital Markets Act)을 위반했다는 예비 조사 결과 내용을 발표한 뒤 하루 만에 재차 미국 빅테크 기업을 향해 규제의 칼날을 뽑아든 것이다.

지난 1분기, 미국의 주요 B2B 전문 핀테크 스타트업들 대상 바이아웃 회복세 나타내
인플레이션 영향이 미미, 수익성 견조해 사모펀드들 관심↑
플랫폼 구축 이후 추가 비용 낮아, 향후 수익성 더 개선될 전망

고금리에도 불구하고 사모펀드들이 바이아웃(Buyout, 자산 인수를 위해 기업 전체 인수 후 분리 매각 전략)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가운데, 핀테크(Fintech) 분야에서 회복세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글로벌 투자 전문 연구 기관인 피치북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중 미국, 캐나다에서 16건의 바이아웃 거래가 확인됐다. 지난해 1분기에 11건에 불과했던 것에 비하면 시장의 회복세를 확인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어 38%의 바이아웃이 기업간 거래(B2B) 분야에 몰려있어 단순한 바이아웃 회복세를 넘어 핀테크 시장의 회복세를 가늠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넷플릭스 광고 요금제 MAU, 반년도 안 돼 두 배 가까이 성장
베이식 요금제 폐지·요금제 혜택 손질 등 전략 먹혀들었다
"이제 구독자 수 의미 없다" 넷플릭스의 태세 전환
netflix_ads_20240516
사진=넷플릭스

넷플릭스가 운영 중인 광고 지원형(Advertising-supported) 요금제의 전 세계 이용자가 4,000만 명을 돌파했다. 꾸준한 요금제 혜택 개선, 적극적인 이용자 유인 전략 등이 성장세를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19일(현지시각) 메타가 대규모 언어모델(LLM) '라마3(Llama 3)'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라마3를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 자사 소셜미디어(SNS)에 적용한다고 밝혔다. 앞서 구글과 오픈AI도 각각 '제미나이 프로 1.5', '소라' 등을 공개하면서 초거대 AI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여기에 효율화·최적화를 앞세운 소형언어모델(SLM)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미스트랄, 팰컨 등 해외 테크 기업들이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 사이에서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애플이 탈중국화를 가속화하는 가운데 인도에서의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폭스콘 등 애플의 주요 OEM 기업들도 인도에 생산시설을 구축하면서 공급망 다변화에 기여하고 있다. 인도는 젊고 저렴한 노동력과 세계적 수준의 IT 인재, 14억 인구의 거대한 소비시장을 보유한 매력적인 곳으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에 이어 테슬라 등 글로벌 기업들이 인도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이 인공지능(AI) 승부수를 띄웠다. 아이폰에 이어 PC와 노트북 ‘맥’에도 AI 칩과 기능을 탑재한다. AI 경쟁에서 뒤애플 "AI 강화한 ‘M4 칩’으로 맥 라인업 전면 교체한다" 주가 4.3% 급등처졌다는 평가를 받는 애플이 제품 라인업 개편으로 건재함을 증명할지 업계 관심이 쏠린다.
AI 경쟁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AI 기술 개발에 주력하는 주요 기업들의 신제품 발표가 줄줄이 이어지면서 업계 내 주도권 다툼이 갈수록 격화하는 양상이다. 다만 문제는 거듭 투자가 확대되는 와중에도 AI 모델의 '환각(Hallucination)' 문제는 여전히 고질병처럼 남아 있단 점이다. 생성형 AI 모델의 환각 현상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는 이상 사용처가 불분명함에도 불구하고 미래 투자라는 명목하에 지나친 자금 낭비를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