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머스크, 트럼프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의문 제기 프로젝트 참여 기업 "머스크 주장은 틀렸다" 반박 프로젝트 중심축으로 떠오른 오픈AI, 머스크와 갈등 빚어와
![](/sites/default/files/styles/large/public/image/2024/11/Elon%20Musk_TRUMP_TE_20241115.jpg.webp?itok=-e2t-eR2)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신설된 정부효율부(DOGE)의 수장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대통령의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소프트뱅크를 비롯한 프로젝트 참여 기업들이 수천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할 만한 자금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머스크 "스타게이트 참여 기업, 자금 부족해"
22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은 머스크가 트럼프 대통령의 AI 인프라 투자 계획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튿날인 21일 백악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생성형 AI 업계 선두 주자인 오픈AI, 글로벌 벤처투자 기업인 소프트뱅크,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기업인 오라클 등 주요 기업들이 합작사 스타게이트를 만들고, 미국 내 데이터센터 건설에 최소 5,000억 달러(약 718조8,00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머스크는 해당 발표가 나온 직후 자신의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그들은 실제로 그 돈을 가지고 있지 않다”며 “소프트뱅크가 확보한 자금이 100억 달러(약 14조3,180억원)에도 못 미친다는 것은 믿을 만한 소식통을 통해 확인된 사실”이라고 게재,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해 NYT는 “(머스크와) 트럼프 정부와의 첫 공개적 단절”이라면서 “고위 정책 관리가 대통령이 주도하는 이니셔티브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평가했다.
오픈AI 등 즉각 반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머스크의 이 같은 발언에 즉각적으로 반발하고 나섰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머스크의 말은 틀렸다”며 “이미 진행 중인 첫 번째 프로젝트를 방문하고 싶다면 언제든지 가능하다”고 밝혔다.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역시 1,000억 달러(약 143조원)를 즉시 투입할 준비가 됐다는 입장을 밝히며 머스크의 주장을 전면 부인했다.
일부 외신 또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참여 기업들이 대규모 자금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닛케이아시아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소프트뱅크와 오라클, 오픈AI와 아부다비에 본사를 둔 주식 파트너 기술 펀드 MGX가 이미 1,000억 달러의 자금을 조달했다”며 “이 자금은 설립 파트너의 지분, 공동 투자자의 추가 지분, 제3자 부채 및 기타 출처의 조합에서 나온다”고 전했다.
![](/sites/default/files/styles/large/public/image/2024/11/Elon-Musk_Sam-Altman_20240611_te.webp?itok=21_hcZoB)
올트먼과 머스크의 갈등
양측의 주장이 충돌하며 시장 잡음이 거세지는 가운데, 관련 업계에서는 머스크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서 오픈AI가 핵심 역할을 맡았다는 사실에 불만을 품은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머스크가 오래전부터 올트먼 CEO와 대립하며 갈등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2015년 비영리 연구 기관으로 설립된 오픈AI는 '인류에게 이로운 AI 개발'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오픈AI 초기 투자자였던 머스크는 오픈AI의 비영리 구조에 의문을 제기하며 수익 창출을 위한 구조 개편을 요구했다.
이에 2017년 머스크와 오픈AI 경영진은 포-프로핏(for-profit) 구조 전환을 논의했지만, 머스크가 50~60%에 달하는 지분 및 CEO 자리를 요구하면서 협상은 결렬됐다. 당시 오픈AI 측은 "머스크에게 일방적인 권력을 부여하는 것은 조직의 목표와 맞지 않는다"며 그의 조건을 거부했고, 결국 머스크는 2018년 2월 오픈AI 공동 의장직에서 사임했다. 이후 오픈AI는 '수익 제한 파트너십(OpenAI LP)' 구조를 도입하여 비영리 목표를 유지하면서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오픈AI의 영리 사업을 둘러싸고 시작된 두 사람의 갈등은 '현재 진행형'이다. 지난해 2월 머스크는 오픈AI의 영리사업이 설립 당시의 계약을 위반한 것이라며 올트먼 CEO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가, 같은 해 6월 재판을 하루 앞두고 갑작스레 소송을 취하했다. 이후 그는 두 달 후 올트먼 등 오픈AI의 공동 설립자들이 영리 활동을 하면서 자신을 조종하고 속였다며 재차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다. 머스크의 반복되는 소송에 오픈AI 측은 "머스크는 법정이 아닌 시장에서 경쟁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