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장주식 거래 건수 '두 자릿수 성장세', 왜? "IPO 대어 영향 컸다"?, 일각선 "시장 위축에 세컨더리 시장 열린 셈" 투자시장 회복 요원할 듯, 업계서도 "올해는 완전 회복 힘들 것" 지난해 비상장주식 플랫폼의 거래가 확연히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IPO(기업공개) 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비상장주식 거래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시장에선 올해도 △에이피알 △HD현대마린솔루션 △SK에코플랜트 등 IPO 대어들이 기다리고 있는 만큼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지리라 기대하고 있지만, 일각에선 관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Read More고유계정 투자 증가세, "법규 위반 회피 목적 강해" 혹한기 아래 '개점휴업' VC 부쩍 늘어, "지난해만 45곳" 모태펀드 정부 책임론도 안개 속으로, "생존부터 챙겨야 할 시점" 중소벤처기업부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펀드가 아닌 자기자본으로 투자하는 신생 VC(벤처캐피탈)가 부쩍 늘었다. 고금리와 경기침체 등 외부적 상황으로 벤처시장에 유입되는 자금이 말라붙으면서 신규 펀드를 조성하기 어려워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상황이 어렵다 보니 사업을 포기하는 경향도 늘어나는 추세다. 모태펀드 예산 감액에 따른 정부 책임론이 한창 들끓다가도 당장 생존이 불확실해지면서 정부에 대한 성화도 누그러지는 모양새다.
Read More클린에너지 글로벌 거래 플랫폼 씨너지, 30억원 투자 유치 REC·자발적 탄소배출권 등 글로벌 환경 상품 거래 플랫폼 운영 미국·유럽 진출 목표하는 시너지, 11월 대선 리스크 주의 필요 사진=씨너지 홈페이지 클린에너지 글로벌 거래 플랫폼 씨너지가 3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2022년 프리시리즈 A와 2025년 진행 예정인 시리즈 A 사이 브릿지 성격의 라운드로 △한화투자증권 △퀀텀벤처스코리아 △SGC파트너스-DSN인베스트먼트(공동투자)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 등 4개 기관이 참여했다.
Read More지난해 반도체 매출 5,200억 달러, 2030년에는 1조 달러 넘어서 사모펀드 운용사, 벤처캐피탈과 달리 뒤늦게 반도체 투자에 참여 반도체 생태계와 공급망 내 다양한 분야에 투자 가능성 살펴봐야 반도체는 거의 모든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으로, 세계적으로 시장 규모가 가장 큰 산업 중 하나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전문기업 딜로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반도체 산업 매출은 5,200억 달러(약 695조원)을 기록했으며 일각에서는 2030년 반도체 시장이 1조 달러(약 1,300조원)를 넘어설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Read More지난해 글로벌 벤처투자 규모 '2,484억 달러', 2017년 이후 최저치 국내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의 전체 투자 금액도 전년 대비 '56%' 감소 미 연준 통화정책 전환 ‘불확실’, 시장 살아나려면 고금리 기조 빨리 끝나야 지난해 글로벌 벤처투자 규모가 2017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거래 건수도 전년 대비 30% 감소했으며, 특히 지난해 4분기 미국 벤처투자 시장의 거래 규모는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2022년 대두된 인플레이션과 그로 인해 나타난 급격한 고금리 기조에 따라 기업들의 자금조달 여건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Read More2021년 기점으로 가상화폐 투자 둔화, 2022년 FTX 등 업계 줄도산까지 美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2021년 이례적인 딜 메이킹 기록 올해 EU 시장 진출 추진, 헤지펀드·고빈도매매 파생상품으로 영역 확장 지난 2021년 11월을 기점으로 비트코인이 하락하면서 가상화폐 거래가 감소하기 시작했고 1년 후인 2022년 11월에는 세계 3위 가상화폐 거래소인 FTX의 파산으로 가상화폐 시장이 크게 위축됐다. 한때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손꼽히던 FTX의 몰락은 가상화폐 대출 플랫폼 블록파이(BlockFi)의 연쇄 파산으로 이어졌고 근래 가상화폐 업계에서 가장 충격적인 사건으로 기록됐다.
Read MoreC2C 생태계 갖추는 크림, 중고명품 플랫폼 '팹' 투자 확대 MZ세대 덮친 '명품 리셀' 문화, 중고로 팔고 중고로 산다 각국 럭셔리 시장도 '중고'에 주목, 더 이상 틈새시장 아냐 사진=크림 네이버의 손자 기업 크림이 자회사를 활용한 중고명품 사업 확장에 나섰다. 지난 22일 크림은 중고명품 플랫폼 '시크' 운영사 팹의 유상증자에 참여, 총 29억9,900만원을 출자했다. 중고명품 시장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팹에 대한 투자를 본격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틈새시장이었던 중고명품 업계가 '레드오션'으로 변모하는 가운데, 크림은 치열한 경쟁을 뚫고 투자 성과를 거둘 수 있을까.
Read More아트 커머스 플랫폼 '난트' 운영사, 두 번째 투자 유치 성공 곳곳에서 '예술품' 공급 증가, 더 이상 고급 취미 아니다? 투자 시장 잡아먹느냐 AI에 먹히느냐, 엇갈리는 미래 전망 사진=난트 아트 커머스 플랫폼 '난트(NANT)'를 운영하는 콜론30이 씨엔티테크에서 투자를 유치했다고 28일 밝혔다. 2021년 프라이머에서 시드 투자를 유치한 후 두 번째 투자유치에 성공한 것이다. 아트 커머스의 인기가 점차 벤처 업계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관련 사업에 대한 '엇갈린 전망'이 제시되고 있다.
Read More올해 美 수소 시장, 세계 최대의 보조금 지원 체제 갖춰 지난 2년간 투자금 총액보다 올해 유치한 자금 더 많아 그레이 수소·폭발가능성 등으로 수소 시장 불확실성 커 올해 미국 수소 스타트업들이 지난 2년간의 투자금 총액보다 더 많은 자금을 유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글로벌 투자 전문 연구기관 피치북이 발표한 '2024년 산업기술 전망'에 따르면 미국 수소 기업들은 올해 1월부터 11월 중순까지 28건의 투자 거래를 체결, 총 14억 달러(약 1조8,220억원)를 조달했다. 이는 지난해 투자금 총액 9억7,380만 달러(1조2,700억원)보다 크게 상회한다.
Read More"웹툰 제작 속도, 기존 10배" 라이언로켓의 생성 AI 솔루션 '젠버스' 웹툰 작가 과로 부담 줄인다, 생성형 AI의 작업 도구화 작가도 독자도 AI 반대, 폐쇄적인 국내 웹툰 업계 파고들 수 있을까 사진=라이언로켓 웹툰 생성 AI(인공지능) 스타트업 라이언로켓이 60억원 규모 브릿지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스톤브릿지벤처스가 리드하고 지유투자가 참여했다. 누적 투자유치액은 140억원이다. 국내 웹툰 업계의 '생성 AI 반감'이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는 가운데, 라이언로켓은 자체 기술력을 앞세워 당당히 시장의 인정을 받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Read More액셀의 펀드 성공 행진, LP 자본 확보에도 유리한 선순환 정부 노력에도 여전히 침체한 국내 VC 시장, 정책 실효성에 의문도 주식형 크라우드펀딩으로 눈 돌린 스타트업들, 지속 성장 전망 미국 VC(벤처 캐피털) 기업 액셀(Accel)이 16번째 플래그십 펀드를 6억5,000만 달러(약 8,580억원)에 마감했다. 액셀은 데이팅 앱 기업 범블(Bumble), 전자상거래 플랫폼 엣시(Etsy), 기업용 생산성 플랫폼 슬랙(Slack)의 초기 투자자로도 유명하다. 글로벌 투자 전문 연구기관 피치북 데이터에 따르면 이번 플래그십 펀드는 최근 몇 년간 자금 조달이 가장 어려운 시기 중 하나로 꼽히는 올해 4분기에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2021년과 동일한 규모로 이뤄져 눈길을 끌었다.
Read MoreAI 활용해 매장 내 방문객 분석한다, 메이아이 60억원 투자 유치 자체 영상처리 인공지능 'daram' 이용해 고객 정보·동선 데이터 확보 AI법 합의로 규제 사슬 옥죄는 EU, AI 인물 식별·분석에 '태클' 사진=메이아이 영상 처리 AI(인공지능) 스타트업 메이아이가 60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삼성벤처투자가 리드했으며, 에버그린투자파트너스, 미래에셋벤처투자, 플럭스벤처스, 중소기업은행, 대교인베스트먼트가 신규 참여했다. 기존 투자자인 빅베이슨캐피탈 역시 후속 투자를 이어갔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