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카오 주가 하락 추세, 독과점 논란으로 규제 강화 위기까지벤처 투자 감소에 흔들리는 유니콘들, 스타트업 폐업률도 늘어벤처 업계 부진에 '정상화 수순' 의견도, "고평가 해소 가능성 있어" 네이버와 카카오의 성장세가 꺾이고 주요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사)들의 적자가 심화하는 등 국내 플랫폼 생태계에 경고등이 켜졌다. 올해 하반기에도 하락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자금 부족을 이유로 벤처 지원금 중단을 선언한 탓이다. 다만 일각에선 벤처 업계의 부진을 두고 '시장의 정상화'가 이뤄지고 있단 분석도 나온다. 그간 벤처기업이 지나치게 고평가되고 있었단 시선에서다.
Read More두산 3사 대표이사, 일제히 주주 서한 게시하며 '주주 달래기'논란의 '주식 교환 비율'은 그대로, 주주 반대 이어질까주식매수청구권 행사 규모 따라 매각 무산될 위험도 사업구조 재편을 추진 중인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두산로보틱스가 주주들과의 소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3사 대표가 직접 나서 주주가치 훼손 논란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회사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구상을 제시한 것이다. 다만 시장에서는 논란의 중심이었던 합병 비율에 큰 변동이 없는 만큼, 이후로도 주주들의 반대 의견이 좀처럼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는 추세다.
Read More금융감독원, 두산로보틱스에 증권신고서 정정 제출 요구"합병 비율 말도 안 돼" 투자자 비판 속 미끄러지는 그룹주 주가합병 최대 변수는 소액주주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규모? 두산그룹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시장 곳곳에서 잡음이 발생하고 있다. 투자자들이 두산로보틱스와 두산밥캣의 합병 비율 산정에 대한 비판을 쏟아내는 가운데, 금융감독원이 직접 증권신고서 정정 제출을 요구하며 합병에 제동을 걸고 나서면서다. 업계에서는 그룹주 주가 하락, 소액주주 저항 등으로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가 급증할 경우 합병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Read More벤처 창업 급감, 이유는 VC들이 초기 기업 투자를 할 줄 몰라서VC들이 '테마주 단톡방' 수준으로 투자한다는 맹비난 대다수기술 평가 역량 갖춘 해외 VC들 찾아갈 수 있는 인력 아니면 벤처하지 말아야 한단 분위기 팽배능력 부족한 인력들 모인 VC업계에 대규모 모태펀드 투입된 것이 근본적 원인이란 지적도 "VC들 수준이 테마주 단톡방 같아요" 지난 2019년 IT 스타트업에 투자하다 바이오 투자로 갈아탔다는 모 금융지주 산하 벤처투자사(VC) 상무대우 A씨를 만났던 IT 스타트업 대표 B씨의 불만이다. B씨는 당시 투자라운드를 돌며 만났던 20개 남짓의 VC 관계자들이 하나같이 기술적 이해도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자신들이 AI 전문가라고 자랑하는 것을 보며 기가 찼다고 말했다. 이 말을 전해 듣고 A씨를 만나 B씨와의 미팅에 대한 질문을 하니 "모르는 이야기만 하더라"며 "어디서 인증받은 이야기를 해줘야 우리도 알아먹지..."라고 말끝을 흐렸다.
Read More올 1분기 CJ ENM 부채비율 146.4%, 결국 넷마블 주식 일부 매각적자 전환 넷마블에 시장선 전량 매각·텐센트 매각 등 거론되기도CJ라이브시티 폐업 가능성↑, "넷마블 지분 매각으로 채무 정리" CJ ENM이 보유하고 있는 넷마블 지분 5%를 처분하면서 2,500억원의 현금을 손에 쥐었다. 지난해 비영업자산을 매각한 데 이어 올해도 적극적인 자산유동화에 나서며 재무건전성 확보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이번 넷마블 주식 처분도 실적 악화로 인해 진행 중이던 비핵심 자산 유동화 작업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Read More캐즘(Chasm) 극복 난제, 전 세계 스타트업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문제한국은 대기업들을 설득하기 위한 장벽이 타국보다 더 높은 것이 단점글로벌 시장 진출이 더 빠르게 캐즘을 극복하는 도전이라는 시장 진단도 금융시장 경색이 장기화하면서 많은 스타트업이 폐업 절차를 밟는 중이다. 시리즈 B까지 투자를 받았던 서울 강남 일대의 한 스타트업도 지난 3월에 폐업 절차를 마무리했다. 회사 대표는 약 3억원의 부채를 안고 있고, 투자사 여러 곳은 더 도전하지 않고 포기를 선택한 대표와 경영진들에게 불만이 많은 상태다. 해당 기업은 지난해 6월부터 회생절차를 알아보는가 하면 다양한 곳에서 자금 마련을 시도했으나, 자금난에 결국 직원들을 내보냈고 마지막에는 최초 창업진들마저 회사를 떠났다.
Read More美 실리콘밸리 '큰손' 비노드 코슬라, 또 日 기업에 투자 중국 제외 해외 스타트업에 투자 늘리는 코슬라 CEO 지난해 인도 생성형 AI 스타트업 '사르밤 AI' 투자 참여도 비노드 코슬라 코슬라벤처스 CEO/사진=wikipedia 오픈AI 초기 투자자로 잘 알려진 미국 실리콘 밸리의 '큰손' 비노드 코슬라 코슬라벤처스 최고경영자(CEO)가 일본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14일(현지시간) 코슬라 CEO는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일본 기업에 새로운 투자를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Read More오일머니 관심 갖는 벤처업계, 정작 사우디의 눈길은 '중국'으로 규모 면에서 불리한 한국, "현지 사무소 설립 등 실질적 노력 필요해" 현지 진출 전략 '본격화', 페블스퀘어 등 이미 시동 건 기업도 벤처투자업계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시장에 대한 관심이 늘기 시작했다. 규모가 큰 오일머니를 유치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면서다. 다만 사우디로부터 실질적인 투자를 받기까진 난관의 연속이다. 상대적으로 투자 규모가 작은 한국은 사우디에 있어 매력적인 미끼가 아닌 까닭이다. 이에 시장에선 사우디 현지에 직접 사무소를 차리는 등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차별적인 비즈니스를 선보임으로써 사우디의 이목을 끌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Read More덴컴, '치과 현장' 타깃 AI 음성 인식 기술로 투자 유치 성공 정확도 높은 음성 인식 모델 '덴스퍼'로 의료진 편의성 개선 AI 기술 환영하는 치과 현장, 관련 기업 성장 전망 밝다 인공지능(AI) 음성인식 솔루션 스타트업 덴컴(Dencomm)이 100억원(약 751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 A2 투자를 유치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 2022년 11월 60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한 이후 약 1년 3개월 만의 후속 투자다. 이번 투자는 스타셋인베스트먼트가 리드했으며 DSC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하나증권, KB증권 등이 참여했다. TS인베스트먼트와 하나증권은 시리즈 A 투자에 이어 후속 투자를 진행했다.
Read More메디큐브 AGE-R 흥행 이후 급성장한 APR, IPO도 순항 공모주 청약 흥행 성공, 상장 후 시가총액 2억원 육박해 전망 밝은 글로벌 미용 기기 시장, 기술 초격차로 공략 사진=메디큐브 올해 첫 조(兆) 단위 기업공개(IPO) 대어로 주목받은 뷰티테크기업 에이피알(APR)이 오는 27일 유가증권시장에 본격 상장한다. 일반 공모주 청약 당시 14조원에 육박하는 증거금을 끌어모으며 흥행에 성공, 안정적으로 증시에 첫발을 내딛게 된 것이다. 업계에서는 초기부터 APR에 투자한 벤처캐피탈(VC) 등이 최대 10배 이상의 수익을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Read More중소벤처기업부·VC 협회, 'VFS' 고도화해 투명한 정보 공개한다 얼어붙은 벤처투자 시장, IPO 시장 위축되며 VC 투자금 회수 난항 표준화된 정보 공개 소식에 '세컨더리 펀드' 활성화 기대 실려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벤처캐피탈협회(이하 VC 협회)가 '벤처투자펀드 운용정보시스템(VFS)'을 고도화한다. 벤처투자 업계 구성원에게 보다 투명하고 표준화된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구상이다.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며 IPO(기업공개) 등 투자 자금 회수 기회가 급감한 가운데, 업계에서는 명확한 정보 공개를 통해 또 다른 자금 회수처인 '세컨더리 펀드'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실린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