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개발자 수요 급감, AI 시대 전환 위한 인재가 없기 때문개발자들을 AI 인재라고 키우는 정책 실패가 근본적인 원인기술 격차 심화로 사실상 추격 불가능한 시대 됐다는 해석도 최근 벤처기업 현장을 돌아다니다 보면 폐업한 곳들이 크게 늘어 경영진과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가 부쩍 늘었다. 살아남아 있는 기업들 중에서도 대부분 개발자들을 내보내고 매출액을 내는 영업 부서만 최소한으로 돌리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일부는 인도나 베트남에서 개발자를 채용해 서비스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한때 광풍처럼 휘몰아쳤던 개발자 바람이 푹 꺼진 것이다.
Read More








AI 확산에 개발자 수요도 늘었지만, "역량 평가 효용은 글쎄"'코딩 붐' 시절 못 버린 한국, 막상 글로벌 시장선 코딩 중요도↓인력 채용에 '코딩 테스트' 강조하는 고용시장, 직무 연관성 있나 2022년 11월 챗GPT 등장 이래 AI(인공지능) 직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코딩을 배우려는 이들이 늘고 있다. 한국에서 AI 개발 직무에 진입하기 위해선 코딩 테스트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글로벌 AI 시장에선 코딩의 중요도가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구시대적 인력 검증 시스템만을 고집하는 고용시장이 국내 AI 시장의 상장을 막고 있단 비판이 나온다.
Read More
"예정대로 2025년 양산" TSMC의 2nm 질주큰손 고객 '애플' 등에 업고 순조롭게 시장 개척겨우 3nm 도전장 내민 삼성전자, 수율 문제 어쩌나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세계 1위 기업인 대만 TSMC가 2나노미터(nm·1nm=10억분의 1m) 공정에 대한 입장을 표명했다. 시장에 확산한 '양산 연기설'을 전면적으로 부정함과 동시에 2nm 공정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낸 것이다. TSMC가 애플 등 든든한 협력사를 등에 업고 파운드리 시장을 질주하는 가운데, 경쟁사인 삼성전자는 첨단 공정 부문 '수율' 논란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Read More

미국 보조금 받는 앱솔릭스, 유리기판 경쟁력 강화하나AI 반도체 중요도↑, "2030년 전후로 업계 전반에 유리기판 채용될 듯"국내 경쟁력 높지만 "선두 기업은 여전히 인텔, 보조금에 안도해선 안 돼" SKC 자회사 앱솔릭스(Absolics)가 미국 정부로부터 반도체 보조금을 지급받는다. 반도체 칩 제조사를 제외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기업 가운데 미 정부 보조금을 받는 첫 사례다. SKC는 이번 보조금 수령을 계기로 인공지능(AI) 반도체 생태계의 게임체인저가 될 유리기판 사업에 한층 속도를 낼 계획이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