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 Home
  • TE분석
  • 중국의 막강한 ‘쩐해전술’, AI 추격자에서 주도자 노린다
중국의 막강한 ‘쩐해전술’, AI 추격자에서 주도자 노린다
Picture

Member for

9 months 1 week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정부 주도의 중국 AI 생태계
 美 제재 속 '기술 자립' 의지 천명
美·中 양강구도 굳히며 美 추격 가속

중국 각 지역이 앞다퉈 인공지능(AI) 육성 정책을 내놓는 가운데, 중국의 '경제수도'로 꼽히는 상하이가 AI 산업을 위한 10억 위안(약 1,930억원) 규모의 보조금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세계적 수준의 AI 생태계 개발을 위한 경쟁에 뛰어들었다. 이는 중국 내 다른 주요 도시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동시에, 미국의 제재 속에서 AI 기술 자립을 가속하려는 중국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AI+’로 대표되는 중앙정부의 정책 기조 아래, 중국은 거대한 내수 시장과 인재 풀, 오픈소스 기반 기술 흡수력을 무기로 세계 AI 주도권 확보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상하이, 컴퓨팅 파워 등 ‘전방위’ 지원

3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중국 매체 펑파이 등에 따르면 상하이시 경제정보화위원회는 28일 '상하이시 AI 응용 확대를 위한 조치'를 발표했다. 상하이에서 26∼28일 열린 세계AI대회(WAIC)에 맞춰 세계적 수준의 AI 생태계를 만들겠다며 내놓은 이 조치에는 현지 AI 기업에 10억 위안 규모의 보조금을 쿠폰식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포함됐다.

상하이 보조금 패키지는 AI 스타트업의 비용을 절감하고 현지 기업이 AI 솔루션을 더 쉽게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구체적으로 6억 위안(약 1,160억원)은 컴퓨팅 파워 보조금으로, 3억 위안은 타사 AI 모델 사용 할인을 제공하며, 1억 위안(약 193억원)은 기업이 새로운 모델 훈련을 위한 데이터 수집 또는 말뭉치(corpus)를 조달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이밖에 우수 AI 인재 영입을 위해 1인당 최대 30만 위안(약 5,800만원)의 장려금을 지급하고, AI 타운을 건설해 조건을 충족하는 창업팀에 일정 기간 임대료를 감면해 주거나 일회성 창업비 지원 등의 혜택을 주는 방안도 내놨다.

경제정보화위원회는 이 프로그램이 컴퓨팅 시설, AI 모델 및 데이터 세트의 임대, 구매 또는 구축에 대한 추가 보조금을 제공하며, 보조금 비율은 계약 금액의 10%에서 100%에 이른다고 밝혔다. 중국 산업정보기술부 산하 전문가위원회 위원인 판헬린(Pan Helin)은 이번 계획이 기업의 비용을 직접적으로 낮추기 위해 고안됐으며, 이는 상하이 현지 AI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실질적인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는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中 정부, 2015년부터 국가전략으로 육성

상하이뿐 아니라 항저우, 선전, 청두, 베이징 등 다른 지방정부들도 유사한 지원 조치를 도입해 추진 중이다. 특히 항저우는 반도체 수출 통제에도 뛰어난 성능으로 세계를 놀라게 한 딥시크(DeepSeek)를 포함해 유명 중국 스타트업 모음인 '여섯 개의 작은 용(六小龍·육소룡)'을 육성하며 중국 기술 부문의 대표 도시로 부상했다. 지난해 항저우 정부는 AI 산업 지원 정책의 일환으로 2억5,000만 위안(약 481억원)의 컴퓨팅 파워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딥시크 돌풍의 배경에는 지방정부뿐 아니라 중앙정부의 든든한 지원도 자리한다. 중국이 AI를 국가 전략으로 격상해 육성한 시기는 201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해 5월 제조업의 질적 성장을 꾀하기 위한 '중국제조 2025(中国制造 2025)'에서 처음 AI 제조의 개념이 언급된 데 이어 같은 해 7월에는 AI가 11가지 '인터넷+' 전략의 하나로 지정됐다.

이후 인터넷+를 가속화하는 정책들이 추진됐고, 2017년에는 국무원이 '차세대 AI발전규획'을 발표해 AI가 중요한 국책 과제로 확정됐다. 여기에는 2030년까지 AI 이론과 기술, 응용이 전반적으로 세계 선두 수준에 오른다는 목표가 제시됐다.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는 2020년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의 AI 육성정책을 지능형 제조 시기(2015∼2016년), '인터넷+ 가속화 시기'(2016∼2017년), 국가전략규획시기(2017년 이후) 등 3단계로 나눴다.

지난해 들어 중국 정부의 지원책은 또 다른 전기를 맞았다. 한국의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 업무보고에서 국가 차원 종합 지원 강화책인 'AI+ 행동'이라는 개념이 처음으로 제시된 것이다. AI를 특정 분야에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 과학, 공공서비스 및 의료, 교육,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 통합해 발전을 촉진한다는 개념이다.

당시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위원인 차이나모바일(中國移動) 양제 회장은 "AI가 다른 산업의 발전을 돕는 보조수단인 +AI에서 경제 고도화를 뒷받침하는 필수 인프라인 AI+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방정부들이 적극적으로 나선 것도 이때부터다. 베이징시가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중관춘(中關村) 중심 육성책을 마련하고 상하이와 광둥성은 각각 인재 육성과 기초 설비에 초점을 맞추는 등 지방정부들도 발 벗고 뛰어 들었다.

AI 특허 출원량 세계 1위

특히 거대한 내수 시장과 인재 풀은 중국의 AI 발전에 크게 일조했다.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는 중국의 내수 시장은 AI 기술의 테스트베드가 된다. 2024년 기준 중국의 핵심 AI 산업 규모는 6,000억 위안(약 116조원)에 달한다. 매년 배출되는 엄청난 수의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분야 인재들은 연구개발(R&D)의 기반으로 꼽힌다. 올해 박사급 STEM 졸업생만 7만7,000명에 이를 전망이다. 전 세계 최상위 AI 연구자 중 약 26%가 중국 출신으로 알려졌다.

오픈소스 생태계의 AI 발전 기여도 있다. 구글이 공개한 '트랜스포머(Transformer)' 아키텍처 등 AI의 핵심적인 연구 결과들이 오픈소스로 공개되면서 후발 주자가 빠르게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됐다. 중국 기업 역시 이런 공개 기술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중국은 이미 전 세계에 알려진 3,755개 AI 모델 중 40%가 넘는 1,509개를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 오픈소스 방식을 기반으로 한 AI 모델이다. 미국 외교전문지 포린어페어스(Foreign Affairs)는 이를 “미국 AI 기술 통제에 맞서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중국의 계산된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이 같은 중국 정부의 노력은 딥시크 출현뿐 아니라 AI 특허 출원량 세계 1위라는 결실로 나타났다. 중국의 지난해 특허 출원 건수는 1만3,000건으로, 8,600여 건의 미국을 크게 앞섰다. 영국 BBC방송은 최근 중국을 기술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야망 아래 중국 정부가 전기차 배터리와 태양광부터 AI까지 기술 분야에 막대한 투자를 해 온 것이 바탕이 됐다고 짚었다. 미국 경제·혁신 정책 싱크탱크인 정보혁신재단(ITIF)도 보고서를 통해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중국이 이미 AI R&D 분야에서 양적으로 미국을 앞섰다고 분석했다. ITIF는 미국이 기껏해야 몇 년간 선두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Picture

Member for

9 months 1 week
Real name
이제인
Position
연구원
Bio
뉴스의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며 공정하고 균형 있는 시각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꾸준한 추적과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사실만을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