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트럼프 관세 할증?’ TSMC, 단가 최대 30% 인상 추진 “삼성 반사이익 얻을까”
Picture

Member for

7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

수정

美 공장 건설비용 및 관세 전가
의존도 큰 美 빅테크 후폭풍
삼성전자 반사이익 여부 주목
사진=TSMC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가 공급 단가를 최대 30%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관세 부과를 예고한 데다, 미국 애리조나 반도체 공장 건설 비용이 늘어나자 고객사를 상대로 인상분을 전가하는 모습이다.

TSMC, 파운드리 단가 최대 30%↑

20일 대만 공상시보는 업계 소식을 인용해 “TSMC가 전체 파운드리 단가를 약 10% 인상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애리조나 공장에서 생산하는 4㎚(나노미터·10억분의 1m) 공정 반도체 가격은 약 30% 인상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내 반도체 생산분은 건설비·인건비·운영비가 대만 본사 대비 훨씬 높다 보니 단가 인상 폭을 크게 잡은 것으로 보인다. TSMC는 이번 인상을 통해 미국 공장 증설에 따른 투자 비용을 상당 부분 돌려받을 수 있게 된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러한 TSMC 결정에 힘을 실어줘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앞서 웨이저자 TSMC 회장을 만난 뒤 “TSMC의 파운드리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면서 “TSMC의 공급 단가는 모든 고객사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엔비디아를 포함한 일부 대형 고객사가 특혜를 받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엔비디아는 현재 TSMC의 차세대 2㎚ 공정을 활용해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생산할 계획을 세웠다. 2㎚와 같은 첨단 공정은 종전 웨이퍼보다 단가가 높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엔비디아와 TSMC 간 가격 논의가 대부분 마무리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엔비디아가 가격 인상에 우회적으로 찬성한 건 TSMC 물량을 우선적으로 확보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현재 엔비디아뿐 아니라 애플, AMD, 인텔, 퀄컴, 미디어텍 등 다른 주요 고객사 역시 TSMC 생산 라인을 선점하려는 경쟁을 펼치고 있어서다.

TSMC 가격 인상에 삼성 파운드리 수혜?

업계는 TSMC의 이 같은 조치가 삼성전자에 일정 부분 반사이익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삼성전자는 TSMC 이외 5㎚ 이하 파운드리 양산이 가능한 유일한 기업이다. TSMC의 가격 인상에 부담을 느낀 고객사들이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면서 삼성전자 파운드리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실제 삼성전자는 앞서 닌텐도의 차세대 게임기 ‘스위치2’에 탑재할 엔비디아의 ‘테그라 시스템온칩(SoC)’을 8㎚ 공정에서 생산하기로 했다. 아울러 삼성전자 역시 연내 2㎚ 공정에 착수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삼성전자가 경쟁력 있는 수율과 가격을 동시에 제시한다면 일부 고객이 삼성전자로 발길을 돌릴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삼성전자 연구원들이 생산된 반도체 웨이퍼를 점검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뚜렷한 양산 이력이 없어 이탈 물량 흡수 어려울 듯

다만 TSMC가 매년 파운드리 단가를 인상해 온 만큼 삼성전자가 큰 이득을 볼 가능성은 미비하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TSMC는 매해 꾸준히 제품 가격을 인상해 왔다. 2022년 15%, 2023년 17%, 2024년 25% 등 인상폭도 증가했다. 더군다나 삼성전자는 현재 텍사스주 오스틴에 파운드리 공장을 운영 중이며 테일러에 또 다른 신규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는데, 오스틴 공장은 65㎚에서 14㎚ 공정 등 범용 반도체를 생산한다.

이런 상황 속 테일러 공장은 고객 확보가 늦어지며 공장 가동 시점이 미뤄지고 있다. 2024년에서 2026년으로 가동이 한 차례 미뤄졌으나 최근 2027년으로 또다시 연기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당초 2, 4㎚ 공정으로 지으려고 했지만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2㎚ 공정에만 집중키로 한 것으로 알려진다. 즉 TSMC의 대안을 찾는 고객사들이 삼성전자로 향하기 쉽지 않다는 말이다.

물론 삼성전자가 올해 들어 4㎚ 공정의 수율을 80%까지 대폭 끌어올린 점은 고무적이지만, 4㎚ 공정은 평택에 위치하고 있다. 반도체 관세 부과가 임박한 가운데 가격 측면에서는 미국에 생산기지를 갖춘 TSMC와 경쟁을 논하기 어려워진다. 이는 TSMC가 배짱 좋게 가격 인상에 나선 이유로 볼 수 있다.

삼성전자가 TSMC와의 기술력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으나, 양산 경험에서 약점이 있어 고객사 이탈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반도체업계 고위 관계자는 "삼성의 3㎚ 수율은 TSMC에 뒤처지지 않는 60~70%로 알려졌지만, 뚜렷한 빅테크 공급이 없다는 점은 아직 신뢰도가 낮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특히 수요가 폭증 중인 AI 분야 파운드리는 가격보다는 성능과 수율이 핵심적인 사업이다. 공급이 지연되고, 가격이 더 높아지더라도 우수한 수율과 패키징 기술(CoWoS), 풍부한 양산 경험을 갖춘 TSMC에 맡기려는 고객사가 많다. 삼성전자가 물량 확보를 위해서는 가격 대신 독자 공정인 GAA(게이트올어라운드)나 2.5D 패키징 기술인 '아이큐브' 등 기술 강점을 부각해야 한다는 지적도 이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TSMC가 첨단 반도체 생산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어 점유율 격차를 좁히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이탈 물량의 흡수에 집중하기보다는 독자 공정의 강점을 활용해 수율·성능이 뒤처지지 않는다는 인식을 굳혀야 한다"고 말했다.

Picture

Member for

7 months
Real name
김민주
Position
기자
Bio
[email protected]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지금 정보의 바다에 살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들이 표류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만 골라 빠르게 전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