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서지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문화예술인 1만500명, 예술 작품 활용한 AI 학습 반대 서명시각 예술부터 음악·무용까지, AI 예술 어디까지 발전하나"AI, 예술가의 유용한 도구 될 것" 일각서는 낙관적 전망도
ai_20241023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일본계 영국 소설가 가즈오 이시구로(Kazuo Ishiguro)를 비롯한 문화예술인 1만여 명이 문화예술 작품을 이용한 생성형 인공지능(AI) 학습에 반대하는 성명에 동참했다. AI가 예술 창작의 영역에서 본격적으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하자, 문화예술계의 반발 역시 점차 거세지는 양상이다.
엔씨소프트, 일부 게임 IP·AI R&D 조직 등 4개 부문 분사 연이은 실적 부진에 희망퇴직·권고사직도 검토 중"과거 분사할 때도 잡음 있었는데" 일각서는 노사 갈등 우려
ncsoft_20241022
게임사 엔씨소프트가 4개 자회사 신설과 함께 고강도 구조조정을 시행한다. 거듭된 실적 악화 상황을 타개하고 개발사업 전문성을 강화해 경영 효율을 제고하겠다는 목표다.
"위고비, 비대면으로 처방받는다" 비대면 진료 플랫폼 이용자 폭증의약업계, 무분별한 비대면 처방으로 인한 약물 오남용 우려 확산


롯데온·롯데면세점·세븐일레븐, 연달아 희망퇴직 단행롯데호텔앤리조트도 4년 만에 명예퇴직 검토 중석유화학 부문 계열사 롯데케미칼, 기초화학 사업 '덩치 줄이기'
lotte_20241018
롯데그룹에 '구조조정 칼바람'이 불고 있다. 업황 부진으로 인해 신음하는 유통 계열사들이 줄줄이 희망퇴직을 단행하는 가운데, 롯데호텔앤리조트·롯데케미칼 등 여타 부문 계열사 역시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는 양상이다.
아마존, 도미니언에너지·에너지노스웨스트 등과 SMR 개발 계약 체결구글·MS 등 주요 빅테크도 원전 투자로 에너지 확보 나서美 정부 산하 연구소는 차세대 원전 기술 개발 착수
ai_nuclear_20241017
아마존이 원자력 에너지 투자를 대폭 확대한다. 세계 1위 클라우드 서비스인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AI 사업을 영위하는 여타 주요 빅테크 기업들 역시 원전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임금 100% 인상해 달라" 첸나이 공장 직원들, 지난달부터 파업1개월 만에 이견 좁힌 노사, 파업 종료 후 작업 재개다가오는 전삼노-삼성전자 임금 교섭, 노조 리스크 재차 불거질까
india_samsung_20241016
한 달 넘게 이어져 온 인도 남부 삼성전자 공장의 파업이 종료됐다. 삼성전자 측이 노동자들을 위한 복지 조치를 제시하며 노사 협의가 마무리됐다는 전언이다. 삼성전자를 짓누르던 노조 리스크가 일부분 해소된 가운데, 시장의 이목은 또 다른 리스크로 꼽히는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와 삼성전자의 임금 교섭에 집중되고 있다.
블랙웰 12개월 치 공급량 매진, 주가 고점 갱신한 엔비디아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 반사이익 누릴까


"비싼데 할 것도 없네" 비전 프로 판매량 부진애플, 2,000달러대 보급형 MR 헤드셋으로 반전 노릴까XR 시장서 '가성비' 전략 채택한 메타, 시장 경쟁 격화 전망
vision_pro_apple_2_20240205
애플 비전 프로/사진=애플
애플의 혼합현실(MR) 헤드셋 비전 프로가 판매 부진의 늪에 빠졌다. 부실한 앱 생태계, 높은 판매가 등으로 인해 시장 수요가 위축된 결과다. MR 시장에서 성장 장벽에 부딪힌 애플은 이르면 내년 중 가격대를 대폭 낮춘 보급형 MR 기기 제품을 출시, 본격적인 승부수를 띄울 예정이다.
삼성전기, AI 시장 경쟁서 밀리며 영업이익 전망치 하향이차전지 제조업체 삼성SDI도 3분기 실적 부진 전망핵심 계열사 삼성전자는 3분기 영업이익 '어닝 쇼크'
20240925_samsung_te
삼성그룹의 전기·전자 부문 계열사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핵심 계열사인 삼성전자가 3분기 '어닝 쇼크'를 기록한 가운데, 삼성전기, 삼성SDI 등의 3분기 실적 전망치도 줄줄이 하향 조정되는 양상이다.
이공계 석·박사 중도 탈락률 상승세, 국내 정착한 박사는 30%뿐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공 들여온 정부, '머릿수 채우기'만 치중했나


젠슨 황 엔비디아 CEO, 블랙웰 '폭발적 수요' 강조오라클·MS·구글·아마존 등 주요 빅테크 기업 수요 뚜렷해시장 달궜던 블랙웰 설계 결함 의혹, 리스크 해소됐나 
Jensen Huang_20241004
젠슨 황 엔비디아 CEO/사진=엔비디아 유튜브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엔비디아의 차세대 인공지능(AI) 반도체 블랙웰의 시장 수요에 대해 언급했다. 많은 기업이 블랙웰의 물량을 원한다며 AI 칩 신제품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내비친 것이다.
국내 게임 개발사들, 대규모 개발비 투입해 '대작' 개발 착수중국산 콘솔 흥행작 '검은신화:오공'이 시장 판도 바꿨다문 열린 중국 콘솔 게임 시장, 국내 개발사 수혜는 불투명
game_20241002
국내 게임업계에서 '대작 경쟁'이 격화하고 있다. 국내 게임 개발사들이 대규모 자본과 인력을 투입해 개발한 트리플A급(2억 달러 이상의 개발비가 투입된 게임을 일컫는 용어) 신작 게임들의 출시를 속속 예고하면서다. 업계에서는 중국산 트리플A급 흥행작 '검은신화: 오공'의 등장이 글로벌 게임업계 전반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는 평이 흘러나온다.
앤트로픽, 올해 초 대비 2배 높은 기업가치로 자금 조달 논의 착수경쟁사 오픈AI와의 동시 펀딩·아마존 투자 참여 여부에 이목 집중대규모 자금 조달 성공 시 오픈AI-앤트로픽 경쟁 격화할 가능성도
anthropic_20240927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최대 경쟁자로 꼽히는 앤트로픽이 300~400억 달러(약 40조~53조원) 규모의 기업가치로 투자 유치를 위한 협상에 나섰다. 올해 초 대비 두 배 이상 뛰어오른 기업가치를 앞세워 대규모 자금 조달에 착수한 것이다.
쿠팡이츠, 배민 겨냥해 "이중가격제 확산은 특정 업체 때문"쿠팡이츠 '저격'에 전면 반박 나선 배민, 법적 대응 시사도"플랫폼끼리 탓하고 있을 땐가" 신음하는 소비자들 
Baedal Minjok_coupang_20240926
외식업주가 매장 가격보다 배달 가격을 높게 설정하는 ‘이중가격제’가 확산하는 추세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업계의 수수료 인상이 이중가격제 보편화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운데, 배달 앱 시장 '양대 산맥'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는 책임 소재를 두고 치열한 공방전을 벌이고 있다.
소프트뱅크그룹 산하 10개사, 디지털 포인트로 급여 지급디지털 급여 지급 플랫폼 1호는 소프트뱅크 계열사 '페이페이'日 캐시리스 결제 비중 증가세, 디지털 급여로 날개 달까
paypay_20240925
사진=페이페이
일본에서 현금 대신 디지털 포인트로 월급을 받는 시대가 열렸다. 근로자에게 우리나라의 카카오페이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페이(PayPay)’ 포인트를 급여로 지급하는 방식이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디지털 급여' 제도가 캐시리스(무현금) 결제 비중을 끌어올리기 위한 현지 정부 전략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글로벌 완성차 기업, 줄줄이 유럽 배터리 투자 줄였다유럽 유력 배터리 기업 '노스볼트'도 구조조정·투자 축소"오히려 배터리 투자 속도 낸다" 동아시아 3국의 정반대 전략
battery_eu_20240924
유럽 배터리 시장이 본격적인 침체기에 돌입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줄줄이 유럽 내 배터리 생산 시설 투자를 축소·중단하는 가운데, 유럽 배터리 시장의 대표 주자인 노스볼트마저 사업 확장 속도를 늦추며 '덩치 줄이기'에 착수하는 모습이다.
냉장고·청소기 등 PB 상품에 공들이는 롯데하이마트유통 마진 높은 PB 상품, 실적 부진 해소할 열쇠 될까


하이브-두나무, 교환 지분 양도 제한 기간 11월에 종료파트너십 체결 이후 3년 동안 양 사 주가 나란히 급락, 손실 막심해"NFT 거품 빠졌다" 양사 합작 자회사, 적자 기업으로 전락
hybe_dunamu_20240919
두나무와 하이브가 3년 전 지분 맞교환을 통해 구축했던 '동맹 관계'가 흔들리고 있다. 양 사의 주가 부진, NFT 합작사의 실적 악화 등으로 인한 손실이 꾸준히 확대된 결과다.
NXP·마이크론 등 글로벌 반도체 업체, 줄줄이 인도에 시설 투자반도체 굴기에 박차 가하는 인도, 12월 중 첫 반도체 생산 예정


미끄러진 범용 D램 가격, 소비자 수요 둔화 영향AI용 '고성능 D램' 시장 급성장, 노 젓는 삼전·SK 본격화한 D램 수요 양극화 현상, 한국 반도체 시장엔 독?
dram 20240619
지난달 범용 D램의 가격이 소폭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버를 중심으로 한 빅테크 기업들의 인공지능(AI) 경쟁에 불이 붙은 가운데, 모바일·개인용 컴퓨터(PC)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하며 범용 D램과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요 양극화'가 심화하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