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김서지
[email protected]
매일같이 달라지는 세상과 발을 맞춰 걸어가고 있습니다. 익숙함보다는 새로움에, 관성보다는 호기심에 마음을 쏟는 기자가 되겠습니다.
오픈AI 수퍼얼라인먼트팀 해체, 안전 우려 커져신규 음성 서비스 '스카이', 유명 배우 목소리 모방 의혹 데이터 무단 사용으로 꾸준히 누적된 불신, 어떻게 해소하나
openAI_warning_20240524-1
오픈AI의 안전과 윤리를 책임지던 ‘수퍼얼라인먼트(superalignment)’팀이 해체된 가운데, 곳곳에서 오픈AI의 '윤리 의식'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기존 수퍼얼라인먼트팀을 이끌던 수장들은 물론, 오픈AI의 평직원들마저도 한목소리로 오픈AI가 AI 윤리와 안전에 힘써야 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한 것이다.
1개월째 해고 통지 이어가는 테슬라, 감원 언제까지"이제 자리 잡았으니까" 슈퍼차저팀 인력 수백 명 해고누적되는 시장 악재, 중국산 전기차 관세 폭탄 '빨간불'
tesla_20240523
미국의 전기차 기업 테슬라에 불어든 '감원 폭풍'이 한 달째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시장 악재가 누적되며 테슬라의 1분기 실적이 미끄러진 가운데, 비용 절감을 통한 위기 타파에 총력을 기울이는 양상이다.
넷플릭스 광고 요금제 MAU, 반년도 안 돼 두 배 가까이 성장베이식 요금제 폐지·요금제 혜택 손질 등 전략 먹혀들었다"이제 구독자 수 의미 없다" 넷플릭스의 태세 전환
netflix_ads_20240516
사진=넷플릭스
넷플릭스가 운영 중인 광고 지원형(Advertising-supported) 요금제의 전 세계 이용자가 4,000만 명을 돌파했다. 꾸준한 요금제 혜택 개선, 적극적인 이용자 유인 전략 등이 성장세를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붉은사막 출시 미룬 펄어비스, 1분기 실적 '횡보'8월 '게임스컴 2024'에서 시연 버전 선보일 예정명확히 대비되는 증권가 의견, 실적 개선 가능할까
crimson-desert_20240515
사진=펄어비스
펄어비스의 실적이 답보를 거듭하고 있다. 당초 올해 2월 출시 예정이었던 기대작 '붉은사막'의 출시일이 6개월 이상 미뤄지며 유의미한 실적 성장을 기록하지 못한 것이다. 펄어비스가 오는 8월 붉은사막의 시연 버전을 선보이겠다고 공언한 가운데, 펄어비스에 대한 증권가의 전망은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다.
적자 부담 떠안은 샤프, 일본 내 마지막 LCD 공장 멈춘다가격 경쟁력 앞세워 LCD 시장 과점한 중국


메이디, 롯데하이마트와 유통 계약 체결해 한국 진출"1인 가구 가성비 소비 노린다" 소형 가전 부문에 총력중소기업 대거 분포한 소형 가전 시장, 본격 지각변동 위기
media_20240513
중국 3대 가전사 중 하나인 '메이디(美的集团)'가 국내 시장에 상륙한다. 롯데하이마트와 직접 유통 계약을 체결하며 국내 시장 공략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가전업계에서는 메이디가 1인 가구용 소형 가전 시장을 적극 공략, 국내 영향력을 키워갈 것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구글·메타·MS·인텔 등 줄줄이 '자체 AI 칩' 개발AI 시장 참전 늦은 애플도 개발 움직임 본격화AI 칩 시장 80% 거머쥔 엔비디아, 추후 입지는
AI_chip_202040508
유수의 빅테크 기업들이 줄줄이 'AI(인공지능) 칩' 전쟁에 뛰어들고 있다.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시장 독과점 구조가 AI 칩 품귀 현상을 낳은 가운데, 빅테크 업계의 시장 주도권 경쟁이 거대언어모델(LLM) 부문에서 자체 AI 칩과 중앙처리장치(CPU) 개발 부문까지 확대되는 양상이다.
AI 앱 최적화된 M4 칩, 신형 아이패드에 본격 탑재조만간 노트북·데스크탑 '맥' 제품에도 M4 칩 쓰인다 줄줄이 미끄러지는 주요 기기 매출, AI가 '터닝 포인트'
apple_m4_20240508
사진=애플코리아
애플이 인공지능(AI)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자체 개발 칩 'M3' 등판 7개월 만에 AI 특화 차세대 칩 'M4'를 선보이고, M4를 탑재한 아이패드 신형 모델을 공개하며 시장 주도권 경쟁에 뛰어든 것이다. 업계에서는 애플이 첨단 AI 칩과 관련 기능을 통해 기기 판매량 부진을 극복할 것이라는 전망이 흘러나온다.
4월 디즈니+ MAU, 국내 주요 OTT 5개사 중 최하위'무빙' 흥행 이후 소비자 잡아둘 콘텐츠 부족했다줄줄이 흥행 실패하는 오리지널 콘텐츠, 활로 어디에
disney_plus_falling_20240507
한국 진출 당시 넷플릭스의 대항마로 꼽히던 디즈니+가 국내 시장 영향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용자 수가 꾸준히 감소하는 가운데, 최근 선보인 새 오리지널 콘텐츠 ‘지배종’마저 이렇다 할 시장 반응을 이끌어내지 못하면서다. 디즈니+는 올해 하반기까지 다양한 오리지널 작품을 선보이며 '부활'의 기회를 엿볼 예정이다.
삼성전자 1분기 환입금 규모 2조원 안팎 추산"불황 터널, 끝이 보인다" 메모리 제품 가격 정상화 영향2022년 평가손실 4조4,000억원, 만회 찬스 왔다
samsung_loss-on-valuation-of-inventories_20240503-1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메모리 반도체 재고평가손실 환입금이 2조원을 웃돌았다. 당초 재고평가손실 환입금은 1조원대 수준이었으나, 경쟁사인 SK하이닉스의 실적이 시장 기대를 웃돌자 뒤늦게 환입금 규모를 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낙태 찬성 입력하면 끔찍한 이미지가" MS 엔지니어의 고발
위험성 인지하고도 상품 철수 미룬 MS, 뒤늦은 해명 내놨다
이미지 생성 AI도 피해 가지 못한 '할루시네이션'의 그림자
AI_computer_VE_20240307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인공지능(AI) 기반 이미지 생성기가 '유해 콘텐츠' 논란에 휩싸였다. 해당 제품이 별도 명령어 없이도 유해한 이미지를 생성한다는 내부 폭로가 제기되면서다. CNBC에 따르면 셰인 존스 MS 인공지능 엔지니어는 6일(현지시간) MS 이사회와 리나 칸 연방거래위원회(FTC) 위원장 앞으로 MS의 이미지 생성기 '코파일럿 디자이너(Copilot Designer)'의 이용 등급을 성인용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하는 서한을 보냈다.
방송통신위원회, 통신사 '번호이동 지원금' 경쟁 발판 마련
통신사 이동 시 최대 50만원까지 지원 가능, 실효성은 '글쎄'
ARPU 하락으로 신음하는 통신사들, 관망세 유지할 가능성 커
phone_subsidy_20240306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번호이동(Mobile Number Portability, 기존과 다른 통신사로 이동통신 회선을 이전하는 것)' 고객 유치 경쟁 발판이 마련됐다. 정부 고시에 따라 번호이동 지원금을 지급할 수 있게 되면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시행령 개정안에 신설된 ‘예외 조항’에 따라 번호이동 지원금을 최대 50만원까지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시 제정안을 행정예고했다고 5일 밝혔다.
샘 올트먼이 약속 어겼다? 일론 머스크 CEO 고소장 제출
"오픈AI는 MS 자회사" 사명 위반한 영리적 움직임 지적 
MS-오픈AI 견제하는 EU, 머스크 소송이 규제 불붙일까
Elon-Musk_Sam-Altman_20240304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샘 올트먼 오픈AI CEO를 고소했다. 올트먼 측이 인간의 이익을 위해 AI를 개발하는 비영리 연구소를 설립하겠다는 '약속'을 위반했다는 것이다. 머스크의 변호사들은 해당 소송이 머스크와 테슬라의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밝혔으나, 업계에서는 머스크 측이 오픈AI의 사업 확장에 제동을 걸기 위해 법적 다툼을 '만들어냈다는' 분석이 흘러나온다.
'핸들·페달 없는 자동차' 꿈꾸던 애플, 10년 만에 프로젝트 폐기
전복된 애플카, '완전 자율주행' 기술 개발 중 한계 부딪혀
"현재 기술력으로는 무리다" 자율주행 외면하는 완성차 시장
apple_car_stop_20240229
애플의 ‘애플카’ 프로젝트가 중단 수순을 밟는다. 완전 자율주행 전기차를 향한 애플의 야심이 10년 만에 꺾인 것이다. 27일(현지 시각)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이날 내부적으로 애플카 개발을 전면 취소한다는 소식을 밝혔다"며 "(애플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2,000여 명의 직원 중 다수가 사내 인공지능(AI) 부서로 이동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LG전자 찾아온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회동 기정사실화
AI·XR·메타버스 등 첨단 사업 관련 논의 이뤄질 가능성 커
XR 분야 협력 확정될 시 두 기업 모두 호재, 논의 향방은
meta_lg_xr_20240227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가 LG전자를 본격 방문한다. VR(가상현실) 헤드셋 '퀘스트' 시리즈를 필두로 한 글로벌 XR(확장현실) 시장 경쟁에서 든든한 '조력자'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업계에서는 메타 측이 탄탄한 하드웨어 기술력을 보유한 LG전자와 본격적인 우호 관계를 형성, XR 시장 내 '윈-윈' 관계를 구축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SK텔레콤, 도이치텔레콤·소프트뱅크 등과 AI 동맹 창립
글로벌 통신사 이끌고 AI 개발 박차 가하는 소프트뱅크
통신업계 AI 활용도 급증 전망, 패권 경쟁 불붙었다
SK하이닉스 주력 AI반도체 'HBM3E' 경쟁에 대한 관심도↑
AI반도체 경쟁 격화 속 추가 투자금 필요하다는 지적도
SK텔레콤이 해외 통신사들과 함께 인공지능(AI) 합작 법인을 설립한다.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글로벌 AI 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본격적으로 시장 경쟁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IP 우회' 요금 절약 꼼수 안 먹히나? 6개월마다 국적 확인
"6개월마다 우회해 로그인하면 그만" 심드렁한 소비자들
고가 요금제 질타 이어져도 가격 인하는 없다? 유튜브의 저력
Youtube_venture_20240226
유튜브가 프리미엄 멤버십 구독료를 절약하기 위해 국적을 속이는 '디지털 망명자' 단속 강화에 나섰다. 스트림플레이션(스트리밍+인플레이션)으로 프리미엄 멤버십 가격이 인상되자, IP 우회를 통해 요금 절약에 나선 이용자가 급증하면서다. 높은 멤버십 요금에 대한 국내 소비자 불만이 꾸준히 누적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유튜브가 가격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은 사실상 낮다는 분석이 흘러나온다.
정부, 중소기업창업지원법 개정 통해 '국외 창업' 지원 근거 마련
"외국 기업은 혜택 없다"? 국내 시장 기여하는 기업 한해 지원 예정
내수 시장 중심으로 움직이는 국내 벤처업계, 해외 진출 시작되나
korean_startup_global_20240221-1
해외창업(국외창업) 기업에 대한 지원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개정된 '중소기업창업지원법'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20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창업지원법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돼 국외 창업기업의 지원 근거가 마련됐다고 밝혔다. 새 법률은 오는 27일 공포되며, 6개월의 유예 기간을 거쳐 8월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중소벤처기업부·VC 협회, 'VFS' 고도화해 투명한 정보 공개한다
얼어붙은 벤처투자 시장, IPO 시장 위축되며 VC 투자금 회수 난항
표준화된 정보 공개 소식에 '세컨더리 펀드' 활성화 기대 실려 
secondary_fund_20240220
중소벤처기업부와 한국벤처캐피탈협회(이하 VC 협회)가 '벤처투자펀드 운용정보시스템(VFS)'을 고도화한다. 벤처투자 업계 구성원에게 보다 투명하고 표준화된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구상이다.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며 IPO(기업공개) 등 투자 자금 회수 기회가 급감한 가운데, 업계에서는 명확한 정보 공개를 통해 또 다른 자금 회수처인 '세컨더리 펀드'가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실린다.
EU 집행위원회, 인앱결제 강제한 애플에 5억 유로 '철퇴'
미국·유럽 중심으로 거세지는 '앱 마켓' 반독점 압박
국내 규제는 아직도 제자리걸음, 애플·구글은 "과징금 못 낸다" 
apple_appstore_20240219
유럽연합(EU)이 애플에 수천억원대의 과징금 부과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앱결제(앱 자체에서 유료 콘텐츠를 결제하는 행위) 수수료를 중심으로 불거진 애플의 유럽 시장 독점 논란이 사실상 종지부를 찍은 것이다. 1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은 EU 집행위원회 반독점 규제 당국은 다음 달 초 애플에 약 5억 유로(약 7,200억원)에 달하는 과징금 부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