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플레이가 토종 OTT 업계 1위로 올라서며 국내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스포츠 콘텐츠를 필두로 한 차별화 전략을 펼치는 한편, 이커머스 서비스 쿠팡과의 멤버십 연동 등을 통해 이용자를 빠르게 확보해나가는 양상이다.

SW(소프트웨어) 및 보안 분야 종목들이 IPO(기업공개) 시장에서 줄줄이 흥행에 성공했다. 하지만 화려하게 상장한 이들 기업의 주가는 최근 나란히 우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보안주 흥행이 '거품'이라는 우려마저 일고 있다.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생성된 '랩그론(Lab-Grown) 다이아몬드'가 글로벌 악세사리 시장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 천연 다이아몬드의 5분의 1 수준 가격대로 성분이 완전히 동일한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사실이 소비자 이목을 끌어모은 것이다.

장장 8년간 이어져온 대한변호사협회(대한변협)과 로톡 사이 갈등이 마침표를 찍었다. 26일 법무부는 법률플랫폼 '로톡' 가입 변호사 123명을 징계한 대한변협의 처분에 대해 부적절하다고 판결했으며, 이에 따라 법률 플랫폼을 이용한 변호사에 대한 징계처분이 취소됐다.

"수요가 없으면 공급도 없다" 누구나 알고 있는 당연한 시장 원리다. 콘텐츠 업계에서는 이를 '불법 사이트'의 흥행 원인으로 꼽기도 한다. 콘텐츠 시장의 무료 콘텐츠 수요가 결국 웹툰·웹소설·드라마 등 K-콘텐츠 불법 복제·유통 행위의 원동력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아이폰15 시리즈 실물 최초 판매일이었던 22일, 중국인의 '애플 사랑'이 입증됐다. 애플의 아이폰15 시리즈가 '애국 소비'를 유도하는 중국 정부의 압박을 보란 듯이 꺾은 것이다. 세계 최대 규모 애플 매장인 베이징 산리툰 매장은 물론, 베이징 전역의 애플 매장에서는 예약 상품을 받으러 온 고객들이 인산인해를 이뤘다.

오는 27일 도서 지적재산(IP) 기반의 콘텐츠 정기 구독 서비스 '밀리의 서재(이하 밀리)'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지난해 이미 한 차례 공모 실패의 쓴맛을 본 가운데, 몸값을 낮추는 등 시장 친화적인 공모 전략을 내세우며 IPO 흥행에 성공한 것이다.

KT와 LG유플러스가 정부와의 OTT 음악 저작권료 인상안 관련 행정소송 2심에서 패소했다. 서울고법 행정6-3부(홍성욱 황의동 위광하 부장판사)는 20일 두 기업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상대로 "음악저작물 사용료 징수 규정 개정안 승인 처분을 취소해달라"며 제기한 소송을 1심과 같이 원고 패소 판결했다.

넷플릭스는 지난 18일 보도자료를 통해 "넷플릭스와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가 고객의 엔터테인먼트 경험 향상을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 SK와의 모든 분쟁을 종결한다고 밝혔다.

버추얼 아이돌 그룹 '이터니티'의 개발사 펄스나인은 다음 달 14~15일 경기 광명시 아이벡스 스튜디오 하이퍼홀에서 이터니티의 첫 단독 콘서트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가상인간이 단순 광고, 마케팅 분야를 넘어 본격적인 '아티스트'의 길로 나아가기 시작한 것이다.

국내 택시 회사들이 경영 악화에 시달리고 있다. 요금 인상 이후 택시를 찾는 고객이 줄어들며 오히려 경영 상황이 한층 악화한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개인택시 3부제 해제 이후 법인택시와 개인택시 사이 '밥그릇 싸움'이 심화, 업계 혼란이 가중되는 추세다.

월트디즈니컴퍼니 코리아가 스타벅스 코리아와 협력, 인기 IP '미키 마우스'를 형상화한 푸드 및 MD(Merchandise, 굿즈) 상품을 선보였다. 최근 월트디즈니 본사 창사 100주년을 맞이해 진행 중인 이벤트성 IP 콜라보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클라우드 업체 오라클의 클라우드 사업 부문 실적 및 가이던스(예상 전망치)가 시장 기대치를 밑돌았다. 시장에 '생성 AI' 열풍이 불어든 이후 주가가 빠르게 치솟았지만, 시장 기대만큼 AI 수요가 받쳐주지 못하자 곧장 그 인기가 사그라드는 양상이다.

틱톡이 미국에서 이커머스 서비스인 '틱톡샵(TikTok Shop)'을 공식 론칭했다. 2021년 애플의 앱 추적 투명성(ATT) 정책 이후 인스타그램을 비롯한 SNS 플랫폼들이 속속 이커머스 시장으로 뛰어드는 가운데, 틱톡의 활주는 어디까지 이어질까.

폐쇄된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 '누누티비'의 아류가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다. 정부 감시망을 이리저리 빠져나가며 3개월째 운영 중인 불법 사이트 '티비위키'는 기존 누누티비 운영진 일당이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논란을 빚기도 했다.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스타트업 디폰이 124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12일 밝혔다. 디폰은 2021년 6월 현대자동차그룹에서 분사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 개발 업체로, 기존 차광 방식의 단점을 개선한 '차광 필름'을 개발하고 있다.

‘코로나19 특수’ 이후 수익성 악화 문제에 부딪힌 글로벌 OTT 플랫폼들이 줄줄이 구독료를 인상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적자의 늪'에 빠진 국산 OTT는 이렇다 할 가격 인상 방안을 내놓지 못하는 양상이다.

미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임뷰가 2억 달러(약 2,60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를 유치하며 유니콘 반열에 올랐다. 오토GPT(AutoGPT)의 등장 이후 AI 에이전트 스타트업이 속속 '유니콘' 자리를 꿰차고 있는 가운데, 임뷰는 시장의 선두 주자로 올라설 수 있을까.

국내 OTT 업계의 '후발 주자'들이 시장을 질주하고 있다. 특히 해외 축구 리그를 비롯한 스포츠 경기를 독점 중계하며 스포츠 팬을 끌어모은 쿠팡플레이는 티빙과 '토종 OTT 1위' 자리를 두고 살벌한 경쟁을 이어가는 추세다.

수익성 확보 부문에서 난항을 겪던 디즈니+가 결국 가격 인상을 확정했다. 최근 오리지널 시즈 의 흥행을 기점으로 디즈니+가 겨우 입지를 다지기 시작한 국내 시장은 갑작스러운 가격 인상 소식에 반감을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