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전수빈
[email protected]
독자 여러분과 '정보의 홍수'를 함께 헤쳐 나갈 수 있는 뗏목이 되고 싶습니다. 여행 중 길을 잃지 않도록 정확하고 친절하게 안내하겠습니다.
미국 법원이 AI가 만든 예술 작품은 저작권 보호 대상이 아니라는 판결을 내놨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콜롬비아 지방법원은 AI로 만든 예술작품의 저작권 등록을 거부한 미국 저작권청의 결정을 인정한다고 판결했다.
글로벌 1위 OTT 넷플릭스가 클라우드 게임 사업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넷플릭스는 14일(현지시간) 자사 뉴스 블로그에 “오늘 우리는 TV, 컴퓨터, 모바일 등 회원들이 넷플릭스를 즐기는 모든 기기에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첫걸음을 내디딘다”고 밝혔다.
토스 운영사인 비바리퍼블리카 비상장이 퍼스널모빌리티(PM) 공유업체 더스윙에 '타다'를 매각하지 않겠다고 밝힌 가운데, 매각 결렬의 근본적인 원인이 현금이 아닌 '주식 교환' 방식 M&A 조건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퍼스널모빌리티(PM) 공유업체 더스윙으로 매각이 무산된 모빌리티 플랫폼 '타다'가 운영사인 VCNC(브이씨앤씨)가 요금 인하를 결정했다. 대형택시 업계 최초로 요금을 인하해 이용자 유입을 확대,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8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TV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유플러스(U+)TV 넥스트’를 곧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내 토종 OTT 경쟁에서 밀려난 LG유플러스가 'TV'를 활용해 콘텐츠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는 양상이다.
구글이 원격근무 중인 미국 본사 직원들의 사무실 출근을 장려하기 위한 '숙박 할인 캠페인'을 내놨다. 7일 CNBC에 따르면 구글은 정규직 직원을 대상으로 미 캘리포니아 마운틴뷰 캠퍼스 호텔에서 1박당 99달러(약 13만원)에 묵을 수 있는 '여름 특별 행사'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글로벌 OTT 플랫폼 디즈니+가 튀르키예 국부(國父)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생애를 다룬 다큐멘터리 공개를 취소했다. 이에 분노한 튀르키예 정부는 공개 취소의 원인으로 역사적 분쟁을 이어온 '아르메니아'를 지목, 디즈니+에 '진상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애플의 저축계좌 서비스 '애플통장'이 출시 3개월여 만에 13조원에 육박하는 예금 잔액을 확보했다. 올해 3월 SVB 파산 사태 이후 미국 금융계 전반이 술렁이는 가운데, 애플은 브랜드 신뢰와 파격적인 혜택을 앞세워 소비자의 예금 이동 수요를 매섭게 흡수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메타버스(가상세계)와 함께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은 가상인간 사업이 최근 시장의 외면을 받고 있다. 실제 인간 대비 뒤탈이 없고, 늘 같은 모습을 유지하는 가상인간의 '완벽함'이 오히려 대중의 거부감을 샀다는 분석이다.
올여름 젊은 남성층을 중심으로 일명 ‘반바지 출근룩’이 확산하고 있다. 수평적 기업 문화가 자리 잡은 스타트업계와 대기업은 물론, 최근에는 지자체까지도 직접 나서 반바지를 비롯한 '쿨비즈(시원하고 편안한 여름 비즈니스웨어)' 패션을 독려하는 추세다.
전력 중개 플랫폼 스타트업 브이피피랩이 임팩트투자사인 엠와이소셜컴퍼니(MYSC)에서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1일 밝혔다. 브이피피랩은 소규모 재생에너지 사업자와 전력거래소, 기업, 개인 등 전력 소비자를 연계하는 전력 중개 플랫폼을 운영하는 스타트업이다.
정부가 한국의 '이민 사회' 구축을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민자 유입을 통해 발생하는 경제 효과를 최대한 활용하고, 저출으로 인해 발생한 인력 공백을 메워 성장 동력을 유지하겠다는 구상이다.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민 정책이 사회에 불러올 갈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시중은행들이 알뜰폰, 배달 등을 비롯한 '비금융 서비스'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본업의 ‘이자 장사’ 의존도를 낮추는 한편, 다양한 서비스로 비금융 데이터를 확보해 금융 서비스 질을 제고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OTT를 비롯한 콘텐츠 IP들이 유통업계의 '마케팅 상품'으로 속속들이 변신하고 있다. 인기 게임, OTT 플랫폼의 인기 오리지널 시리즈는 물론 OTT 플랫폼 그 자체까지 실생활 속에서 'IP'로 활용되는 등 관련 경쟁이 치열해지는 추세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지에서 알음알음 인기를 끌던 '공동구매'가 유통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 주요 대형마트가 줄줄이 B2C(Business to Customer) 공동구매 서비스를 출시하며 유통가 내 '최저가 경쟁'에 불을 붙인 것이다.
신용보증기금(신보)의 ‘소상공인 위탁보증’ 누적 부실률이 올 연말 14%, 2027년 최대 30%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소상공인 위탁보증은 2020년 5월부터 시행된 코로나19 팬데믹 피해 소상공인 대상 대출 지원 프로그램이다.
해외 시장에서 주목받는 리걸테크(Legaltech) 사업이 한국에서는 좀처럼 날개를 펴지 못하고 있다. 대한변호사협회가 리걸테크 플랫폼에 대한 반대 의견을 드러내며 징계, 고발 등 견제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에서 글로벌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플랫폼의 시장 독주를 막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캐나다에서는 '온라인 스트리밍법' 제정을 본격화하는 추세이며, 미국·일본 등에서는 글로벌 OTT 플랫폼과의 대등한 경쟁을 위한 '콘텐츠 연합군'이 형성됐다.
전 세계적인 관심을 모았던 메타(구 페이스북)의 새 SNS '스레드(Threads)' 열풍이 한풀 꺾였다. 과도한 인플루언서·마케팅 관련 게시물이 초기 서비스 경험을 해침은 물론, SNS 핵심 기능이 부실해 이용자를 잡아둘 매력이 부족하다는 평이다.
인도가 사상 최초로 애플 아이폰의 '5대 시장'에 진입했다. 18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리서치회사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올해 2분기(4~6월) 인도가 독일과 프랑스를 제치고 미국, 중국, 일본, 영국과 함께 아이폰 5대 시장에 등극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