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전체 매출 12.5% 증가, 영업이익 비용 절감 등 영향
광고· 클라우드 부문 아마존 주요 수익원으로 자리 잡아
구글·MS도 예상 넘는 호실적, 인공지능 덕분에 웃었다
Amazon_20240502_TE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 뉴욕증시를 주도하는 빅테크 그룹, 이른바 ‘매그니피센트7’의 1분기 실적 발표가 이어지는 가운데, 아마존을 비롯한 클라우드 사업 기업들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빅테크들이 클라우드 사업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하면서 수요가 되살아난 영향이다.

5분기 만에 흑자전환 성공한 삼성, 12단 HBM3E 제품 양산도 가시화
삼성 HBM3E 기술력, SK하이닉스도 넘어섰다? "시장 주도권 되찾을 수도"
미국에 위치한 한 식당이 비디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인 줌(Zoom)을 이용해 인건비를 절감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인건비가 비교적 저렴한 필리핀 등지에서 카운터 직원을 고용하고, 줌 화상 통화를 통해 미국 현지 손님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조치한 것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낸드플래시 시장을 두고 경쟁을 벌일 전망이다.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전력 효율성이 경쟁력의 척도로 부상한 데 따른 것이다. 업계에선 기업용 QLC 수요 증가에 가장 큰 수혜를 받을 기업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기업용 SSD에서 QLC 제품 인증을 받은 업체가 SK하이닉스의 자회사인 솔리다임과 삼성전자뿐이기 때문이다. 기업용 SSD 시장 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선두체제가 더욱 공고화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SK하이닉스가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과 두 번째로 많은 영업이익을 거뒀다. AI 붐에 힘입어 AI 서버에 활용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첨단 D램 시장이 활성화된 영향이다. 이렇다 보니 SK하이닉스의 솔리다임 인수에 대한 재평가도 속속 이뤄지는 양상이다. 당초 업계에선 솔리다임 인수는 실패한 M&A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SK하이닉스가 급증하는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사실상 건설이 중단됐던 청주 소재 신규 생산공장의 건설을 재개하기로 했다. SK하이닉스는 청주 신규 팹을 D램 메모리 공장으로 전환하고 장기적으로 20조원(약 145억 달러)을 투자해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차세대 D램의 생산능력(캐파)을 확대할 계획이다.
미국 연방 상원에서 중국의 동영상 공유 앱 ‘틱톡’ 강제 매각 법안이 통과됐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해당 법안에 신속하게 서명할 것을 예고한 가운데 틱톡이 매각될지, 매각이 불발돼 미국에서 틱톡 사용이 금지될지 틱톡의 운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연이은 실적 부진과 주가 폭락 등으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겪고 있는 엔씨소프트가 비개발·지원 조직의 저성과자 등을 중심으로 한 인력 감축에 돌입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70% 가량 급감하자 인건비 등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사업구조 효율화로 수익성을 회복하려던 이마트의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신세계그룹과 핀테크 기업 토스(비바리퍼블리카)가 1년여간 진행해온 SSG페이(쓱페이)·스마일페이 매각 협상이 결렬된 탓이다. 다만 토스도 협상 결렬에 적잖은 손해를 입을 전망이다. IPO를 준비하는 토스 입장에서 쓱페이·스마일페이 인수는 저변 확장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를 뛰어넘기 위해 미국 AMD, 인텔 등과 손잡고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당분간은 주도권을 빼앗기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인텔은 엔비디아를 잡기 위해 가우디3를 내놨으나 여전히 HBM2E 등 2세대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데다, AMD 역시 삼성전자의 HBM3E를 사용하지만 AI 가속기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미한 수준이다. 이런 가운데 SK하이닉스 또한 대만 TSMC와 HBM4 개발 협력을 발표하면서 또다시 한발 앞서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가 최고 적층(저장공간인 셀을 쌓아 올린 것) 단수인 286단을 적용한 ‘9세대 V(vertical·수직) 낸드플래시’ 생산에 들어갔다. 286단은 기존 제품(236단)보다 50단 높은 것으로 현 기술로 구현할 수 있는 최고 단수다. 삼성전자가 메모리반도체 경쟁력 저하에 대한 우려를 떨쳐내고 ‘기술 초격차’에 재시동을 걸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화시스템이 블록체인 사업에서 완전히 철수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2018년 개발한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H-체인'이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한 채 '돈 먹는 하마'로 전락하면서다. 실제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미국 소재 르네상스 법인을 청산한 상태다.
네이버와 구글 간 국내 검색시장 점유율 경쟁이 치열하다. 네이버의 점유율은 한때 80%를 넘어설 정도로 절대적이었지만 최근 50%대로 하락하면서 2위 구글과의 격차도 줄어들었다. 향후 검색시장의 흐름을 좌우할 요인으로는 인공지능(AI)이 꼽히는 가운데 양사 모두 AI 검색의 실용성을 개선하고 이용자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제고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특히 네이버는 빅테크 기업과의 경쟁을 위해 한국어 특화 서비스와 비영어권 시장에 주력한다는 전략이다.
한국판 ASML로 불리는 반도체 소부장(소재·장비·부품) 업체 HPSP가 매물로 나왔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시장의 기대가 한껏 달아올랐지만, HPSP는 지분 매각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공시했다. 이에 시장에선 섣부른 보도를 내놓은 언론에 볼멘소리를 내놓는 모양새다. 다만 일각에선 HPSP의 지분 매각이 그리 멀지 않은 이야기일 수 있다는 언급도 나온다. 반도체 호황으로 주가가 오른 지금이 차익 실현을 위한 적기기 때문이다.
티빙이 지난해 매출의 40%를 넘는 금액을 프로야구(KBO) 온라인 중계권 취득에 쏟아부었다. 대규모 투자가 집행된 만큼 시장에선 회수 가능성에 관심을 모으고 있다. 티빙은 프로야구 중계를 유인책으로 삼아 유료 구독자수를 획기적으로 늘려 매출을 성장시킨다는 목표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올해 1분기에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시장ㅇ서의 AI 반도체의 수요 증가가 TSMC의 호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넷플릭스 가입자 수가 올 1분기에만 900만 명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이익도 약 3조원을 넘어서면서 지난해 1분기보다 70% 이상 늘었다. 넷플릭스가 막대한 수익을 거둬들이는 동안 티빙·웨이브·왓챠 등 토종 OTT 3사는 총합 6,173억원의 매출을 올리는 데 그쳤다. 국내 OTT 시장이 포화 상태에 접어든 가운데 갈수록 어려워지는 업황 속 3사가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다.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메모리(HBM) 부문에서 대만 TSMC와 협력을 강화한다. 차세대 HBM으로 꼽히는 'HBM4 생산·패키징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각 업계 1위 기업이 손을 잡은 것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차후 HBM 시장 내 '선두 경쟁'이 한층 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흘러나온다.
삼성전자에 글로벌 스마트폰 1위를 자리를 뺏긴 애플이 폴더블 스마트폰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애플의 핵심 시장인 중국 시장 점유율이 떨어지면서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입지가 흔들리자, 돌파구로 폴더블폰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0년 사이에 한국 시가총액 100대 기업의 시가총액과 영업이익이 대만 100대 기업에 역전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국을 대표하는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의 실적이 뒤집히며 관련 지표 역시 눈에 띄게 변화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