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란, 직전 투자 가치 대비 1/3 토막 난 1,000억원에 투자 유치 나서경쟁사인 머스트잇, 트렌비도 비슷한 처지쿠팡이 인수한 파페치도 수익성 개선 어려운 상태 사진=발란 국내 명품 플랫폼 발란이 생존을 위해 기업가치를 대폭 낮춘 채 투자 유치에 나섰다. 이번에 발란이 제시한 기업가치는 1,000억원으로, 이는 직전 시리즈 C 투자 당시의 3분의 1에 불과한 수준이다. 현재 발란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여 있으며, 100억원 이상의 자금이 필요한 상황으로 알려졌다.
Read More큐텐그룹 국내 핵심 계열사 큐텐 테크놀로지9월부터 시작된 임금체불 끝에 2025년 3월까지 휴업 결정싱가포르 본사도 8월 90명 해고 후 휴업에 들어간 상태티메프 영업 중단 후 사실상 공중분해 상태라는 지적도 큐텐 테크놀로지 휴업 결정문/출처=큐텐 테크놀로지 티몬·위메프(이하 티메프) 대규모 미정산·미환불 사태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큐텐그룹의 국내 핵심 계열사인 큐텐 테크놀로지가 임금체불을 이기지 못하고 내년 3월까지 휴업에 들어간다.
Read More에이블리, 알리바바로부터 1,000억 투자 유치 추진하반기 1차 투자·개인 투자자 지분 매입 등 3차례 걸쳐 진행에이블리 몸값 대폭 낮춘 알리바바, 후속 투자 유치 난항 전망 사진=에이블리 에이블리가 알리바바로부터 총 세 차례에 걸쳐 투자를 유치할 계획인 가운데, 후속 투자 유치가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알리바바가 제시한 기업가치(밸류에이션)에 구주를 내놓을 투자자를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시선에서다. 이번 알리바바 투자를 세 번에 나눠 유치하는 배경에도 구주를 매각할 투자자들을 충분히 모으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Read More티몬 매각 의지 피력한 류광진 대표, "두 개 업체와 M&A 논의 중"지난해 기준 인식된 부채만 1조원가량, 정부 추산 미정산금도 1조2,000억원에 달해검찰 수사 등 사법 리스크에 따른 '신뢰도 하락' 문제도 여전 대규모 정산 지연 사태를 일으킨 티몬이 플랫폼 정상화 및 경영권을 포함한 회사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법원이 회생 계획을 인가하기 전에 인수합병(M&A)에 착수하겠단 게 류광진 티몬 대표의 계획이다. 매각을 통해 자구책을 마련해 보겠단 구상이지만 셀러 미정산금 등 리스크를 감수할 정도의 인수 매력도가 없는 만큼, 티몬의 매각 작업이 성공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Read More한국맥도날드 유상증자로 470억원가량 확보 전망5년간 누적 순손실 2,500억원, 부채비율도 1,278%에 달해매각 위해 '외형 확장' 전개한 한국맥도날드, 정작 매각 작업은 실패 수순 한국맥도날드가 유상증자를 단행해 본사로부터 자본을 들여온 것으로 확인됐다. 거듭된 적자로 인해 불안정해진 재무 상태를 정상화하겠단 취지다. 업계에선 매각을 위해 과도한 외형 확장 정책을 펼친 것이 한국맥도날드의 적자 상황을 악화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덩치 키우기'에 매몰돼 있다 보니 정작 가장 중요한 수익성 개선이 이뤄지지 못했고, 그 결과 고질적인 적자 문제가 유상증자를 단행해야 할 상황까지 심화했단 분석이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