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수정
애플 '비전 프로', 고가 논란 속에 판매 부진 내부에서 VR·AR 시장성에 대한 우려 높아 메타·삼성·구글은 AR 제품 개발 지속 예정
![](/sites/default/files/styles/large/public/image/2024/12/20241218_vr_te_0.jpg.webp?itok=-7YGEcVM)
애플이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 개발을 전격 중단했다. 애플은 2020년부터 AR 스마트 글래스 개발을 추진해 왔지만 맥(Mac)과의 연동 과정에서 기술적 한계와 사업성의 문제에 부딪힌 상태다. 여기에 지난 2023년 출시한 비전 프로의 판매 부진으로 가상현실(VR)·AR 시장의 수요 문제가 확인되면서 애플 내부에서도 시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 사이 메타와 삼성, 구글 등 경쟁사들은 AR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며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맥과 연동 시도했지만 기대에 못 미쳐
1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은 "애플이 최근 AR 스마트 글래스 개발을 중단했다"며 "VR 및 AR 시장에서 방향성을 재정립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은 2020년부터 'N107'이라는 코드명으로 AR 글래스를 개발해 왔다. 해당 제품은 일반 안경과 유사한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디스플레이 대신 마이크로 프로젝터로 사람의 망막에 직접 투시해 이미지와 정보를 겹쳐 표시하는 기능을 갖출 예정이었다. 앞서 지난 2021년 애플은 이와 관련해 '시선 추적 시스템(gaze tracking system)'을 특허 출원하기도 했다.
애플의 AR 글래스는 대중을 위한 보급형 제품으로 기획된 만큼 초기 모델은 독립기기가 아닌 아이폰과 연동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AR 글래스는 정보의 입·출력과 가공 역할만 하고 아이폰이 애플리케이션 실행과 데이터 저장과 업데이트, 네트워크 연결 등의 기능을 하도록 했지만, 스마트폰의 처리 성능이 부족하고 배터리 소모가 지나치게 크다는 문제점이 확인되면서 개발 방향이 변경됐다. 이후에는 맥과 연동하도록 개발했는데 이 역시 내부 성능 테스트 결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결국 지난주 이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중단했다.
![](/sites/default/files/styles/large/public/image/2025/01/20250106_visionpro_te.jpg.webp?itok=FnhYGmDe)
비전 프로 부진, AR 글래스 개발 중단에 영향
AR 글래스의 개발 중단 결정은 2023년 출시한 애플 '비전 프로'의 부진과 무관하지 않다. 비전 프로는 뛰어난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활용성이 부족하고 가격이 지나치게 높다는 비판을 받으며 판매량이 기대치를 크게 밑돌았다. 이에 애플은 출시 초기 100만 대 판매를 목표로 했으나 지난해 내내 판매 목표를 하향 조정해야 했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말 기준 비전 프로의 판매량이 50만 대 수준에 그친 것으로 추정한다. 애플 내부에서도 실질적인 수요가 크지 않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AR·VR 시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흐름 속에 AR 글래스의 출시 일정도 미뤄졌다. 당초 2024년 출시가 예상됐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업계에서는 출시 시점이 지연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지난해 11월 블룸버그는 AR 글래스 상용화의 조건으로 △가벼운 디자인 △충분한 배터리 수명 △고품질 디스플레이 △합리적인 가격 등을 꼽으면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애플 브랜드로 AR 글래스를 출시할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과제를 감안하면 애플이 AR 글래스를 내놓기까지 약 3~5년이 더 걸릴 것 같다"고 예상했다.
다만 애플은 AR과 관련한 다른 프로젝트들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현재 애플은 차세대 비전 프로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당초 올해 출시설도 있었지만, 현실적으로 2026년이 유력하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동시에 보급형 헤드셋 생산에도 주력하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애플은 현재 저렴한 버전의 '비전 프로2'의 출시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비전 프로2는 애플의 AI 플랫폼 '애플 인텔리전스'를 지원하는 제품으로 늦어도 올해 하반기에는 양산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선두 메타는 올해 하반기 신제품 출시 예정
이런 가운데 메타플랫폼스는 AR 시장에서 보다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메타에 따르면 지난해 유명 안경 제조사 레이밴과 협업해 출시한 스마트 글래스 '레이밴 메타'는 100만 대 이상 판매됐다. 이러한 성과를 토대로 최근에는 AI 기능을 접목해 사용자 경험을 더욱 발전시키고, AR 기술과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결합하는 전략을 적극 추진 중이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사내 회의에서 "앞으로 수십억 대의 AI 기반 스마트 글래스를 판매할 것"이라며 해당 시장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IT 매체 테크레이더에 따르면 메타는 올해 안에 새로운 레이밴을 출시할 예정이다. 지난해 유출된 메타 내부 로드맵을 통해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레이밴이 공개됐는데 일반적인 메타의 신제품 출시 일정을 고려하면 올해 9월이나 10월 출시가 유력하다. 차세대 레이밴은 초기 테스터들이 오리온(페이스북의 AR 스마트 글래스 코드명)을 제어하는 데 사용했던 센서 손목 밴드와 함께 선보일 가능성이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기능이 포함될지는 불확실하지만, 알림 등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뷰파인더는 많은 사용자의 요청이 있었던 만큼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성전자와 구글은 AR 글래스 개발을 위한 협력을 본격화했다. 구체적인 출시 일정과 세부 사양이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노태문 삼성 MX 사업부 사장은 지난달 가진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가능한 한 빨리 우리가 원하는 품질과 준비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해당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삼성전자의 프로젝트 무한(Project Moohan), 구글의 안드로이드 XR(Android XR) 플랫폼에서 운영되는 혼합현실 헤드셋의 도입에 이어 진행된 것으로 2026년 출시를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