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이동진
[email protected]
흑백의 세상에서 회색지대를 찾고 있습니다. 산업 현장을 취재한 경험을 통해 IT 기업들의 현재와 그 속에 담길 한국의 미래를 전하겠습니다.
경기도, CJ라이브시티와의 K-컬처밸리 협약 해제CJ라이브시티, "행정적 지원 부족으로 사업 추진 난항"


삼성전자, 매달 첫 월요일 'DS 보안의 날' 운영엔비디아 퀄테스트 이어 파운드리 수율까지도 넘은 정체불명 카더라 유포에 대한 대응 성격
samsung DS TE 001 20240701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전경/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최근 내부 정보 유출과 지라시(루머) 유포 등으로 골머리를 앓으면서 임직원을 대상으로 '입단속'에 나섰다. 특히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아예 'DS 보안의 날'도 정했다.
SK그룹, 계열사 수 줄이는 ‘리밸런싱 작업’ 진행 부진한 배터리 사업 재무구조 개선부터 착수


삼성전자 '최선단 공정' 확대, AI 수요 대응 일환이르면 3분기 내 전환 여부 결정, 가동 시점 관심3·4㎚ 수요 부진에 2㎚ 공정으로 반격 신호탄 
Taylor SAMSUNG 001 TE 20240619 1
삼성전자 미국 테일러 공장 건설 현장/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미국 테일러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정을 4나노미터(㎚)에서 2㎚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엔비디아·AMD·퀄컴 등 핵심 파운드리 고객사가 포진한 미국에서 TSMC·인텔과의 경쟁을 강화하기 위해 최선단 공정을 빠르게 늘리려는 조처로 풀이된다.
EU, 중국산 전기차 관세율 현행 10%→21% 비협조시 38.1%테슬라 "실질적 中지원 적게 받는다" 관세 조정 조사 요청


롯데그룹 화학3사 임원들, 자사주 매입 나서'7만 전자' 탈출 위해 삼성전자도 자사주 매입 카드SK텔레콤 임원들도 회사 권유로 자사주 추가 매입
lottechem_001_TE_20240612
롯데케미칼 여수 공장 전경/사진=롯데케미칼
롯데그룹 화학3사(롯데케미칼·롯데정밀화학·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임원들이 자사주 매입에 나섰다. 이는 책임경영의 일환으로, 롯데 화학군 임원들이 같은 날 한꺼번에 자사주를 사들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美 최대 연기금 이어 노르웨이 국부펀드까지테슬라 주요 주주들 잇따라 ‘머스크 보상안' 반대


한국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 본격 뛰어든 화웨이블루네트웍스와 손잡고 국내 최초 기술 개발에 돌입中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국제표준 전환 작업도
huawei_charger_TE_001_20240610_NEW
중국 내 설치된 화웨이의 초고속 전기차 충전기의 모습/사진=화웨이
화웨이가 우리나라 전기차 충전 사업에 전격 뛰어든다. 그동안 쌓아온 연구개발(R&D) 역량을 십분 활용해 국내 전기차 충전 시장 트렌드에 적합한 충전 인프라를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롯데바이오, 2025년 완공 목표로 송도공장 착공현금성 자산 700억원 그쳐, 모회사에 지원 요청롯데건설, 플랜트 공사로 '캡티브 훈풍' 불까
Lottbio_001_TE_20240606
롯데바이오로직스 송도 메가플랜트 조감도/사진=롯데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가 최근 국내 메가플랜트 착공에 돌입한 가운데 공사비 마련을 위해 자금 조달에 나섰다. 모기업인 롯데지주로부터 1,500억원의 자금을 추가 수혈하면서다. 바이오 사업에 방점을 두고 있는 그룹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지금까지 받은 지원금만 5,700억원에 달한다.
엔비디아 젠슨 황 "삼성전자 테스트 탈락 아니다""삼성전자 HBM은 테스트 중, 인내심 가져야"반도체 우려 해소 '시그널'에 상승 탄력 기대
Nvidia_VE_GTC_20240605_001
사진=엔비디아 홈페이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 테스트 실패설을 직접 부인하고 나섰다. 또한 향후 삼성전자 HBM을 엔비디아 제품에 탑재할 가능성도 시사한 만큼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간 주도권 다툼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xAI', 8조원 규모 시리즈 B 투자 유치몸값 2위 생성형 AI 스타트업으로 부상데이터센터 등 인프라 구축에 총력
Elon-Musk_xAI_Getty_20240529_001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가 60억 달러(약 8조1,78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오픈AI를 비롯한 경쟁사들이 대규모 투자 유치로 AI 개발에 속도를 붙이는 가운데, xAI 또한 ‘쩐의 전쟁’에 나선 모양새다.
티빙-웨이브 합병 본계약 이르면 이달 체결1,100만 명 이용자 확보, 토종 OTT 공룡 탄생하나 주주 구성 복잡성, 공정위 기업결합심사는 변수
tving_wavve_20240522
티빙과 웨이브 합병이 이달 중 마무리될 전망이다. 당초 올해 1분기를 목표로 했지만 세부사항 조율이 길어지면서 예정된 기한을 넘겼다. 양사는 빠르게 협상과 실사를 진행해 본계약 체결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이 넷플릭스를 뛰어넘는 토종 공룡 OTT의 탄생으로 이어질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美 에너지부(DOE)로부터 1,365억원 투자세액공제미국 해저케이블 공급망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


삼성전자, 반도체 에이스로 TF·개발팀 꾸려SK하이닉스-삼성전자, 차세대 HBM 기술 개발에 총력HBM 가격 낮추려 경쟁 유발? '엔비디아의 큰 그림' 분석도
SAMSUNG_HBM3E_TE_20240507_007
삼성전자가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엔비디아에 납품하기 위해 반도체 에이스 임직원 400여 명을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가 특정 고객사를 뚫기 위해 이렇게 많은 인력을 투입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HBM 큰손인 엔비디아를 잡아야 시장 주도권을 거머쥘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회사의 역량을 총동원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구글은 크롬 '시크릿모드'에서 수십억 건에 이르는 수집된 데이터를 일괄 삭제하겠다는 합의를 이날 캘리포니아 오클랜드 연방법원에 제출하며 총 50억~78억 달러(약 6조8,000억원~10조6,000억원)로 전망되던 배상금 폭탄은 피하게 됐다.
반도체 소부장 기술개발에 지원
한국의 AI 분야 G3 등극에 집중
고난도 기술 창업도 단계적 지원
Ministry-of-Trade_VE_20240306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사진 가운데)과 이창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사진 왼쪽)이 5일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반도체 장비 기업 테스를 방문해 장비 제조 과정을 둘러보고 있다/사진=산업통상자원부
과기정통부, 규제 샌드박스 특례 기한 ‘2026년 1월까지’ 연장
실증범위 및 증축제한 등 부가조건도 함께 완화, 50채→500채로 확대
2022년 말 농어촌 빈집 6만6,024호, 2018년보다 70% 가까이 늘어
dajayo_dajayo_20240125
농어촌 지역의 빈집을 활용한 숙박업소 '다자요'의 고산도들집/사진=다자요
정부가 농어촌 빈집을 활용한 공유숙박사업의 특례 적용 기한을 2년 연장했다. 인구 고령화 문제에 더해 농어촌 빈집 증가 속도가 앞으로 더 빨라질 거란 전망이 확산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틱톡, 영업·광고 부문 중심으로 직원 약 60명 해고
대부분 로스앤젤레스·뉴욕·텍사스 오스틴 등 미국 내 근무 직원
미국 내 안보 위협론에 불거진 ‘틱톡 퇴출론’에 대응하려는 시도일수도
틱톡_틱톡_20240124
사진=틱톡
중국의 숏폼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의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일부 사업부문 직원을 감축했다. 바이트댄스는 지난해에도 사업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게임과 부동산 사업 부문을 정리하며 대규모 감원을 단행한 바 있다. 일각에선 미국 내 안보 위협론이 확산하며 ‘틱톡 퇴출론’이 불거지자,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하기 위한 대응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2022년 웹툰 산업 매출 1.9조, 웹툰 플랫폼 매출액도 사상 첫 1조원 돌파
작가 연평균 수입은 '9,840만원’, 수억원 받는 작가도 ‘수두룩’
고수익 올리는 만큼 탈세 의혹 받는 작가들도 있어
연수입_한국콘텐츠진흥원_20240118
2022년 기준 웹툰 작가 연수입/출처=한국콘텐츠진흥원
2022년 웹툰 산업과 플랫폼 매출액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K-콘텐츠의 중심에서 5년 연속 지속 성장한 결과다. 시장 규모가 커지고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전체 평균 수입은 감소했으나, 한해 수억원의 고수익을 올리는 작가들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차 매물의 ‘평가사 촬영 사진, 수리이력’ 등 공개해 정보 불균형 해소
서울·경기 지역 중심으로 시범 도입, 정식 서비스 도입 여부는 아직 미정
완성차 업체까지 중고차 시장 뛰어드는 추세, 경쟁 과열 예상
당근중고차사례_당근_20240116
당근 플랫폼 내 '당근 진단 중고차' 사례/사진=당근
국내 대표 지역생활 앱 당근이 지난해 지역 정비소들과 협력해 중고차 구매 과정에서 진단평가사들을 동행할 수 있도록 한 데 이어, 직접 매물을 점검해 내놓는 인증 중고차 서비스를 시범 도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