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5G 최고 다운로드·업로드 속도 세계 1위, 바레인에 내줘
KT 제외하고 SK텔레콤·LGU+ '5G SA망' 구축하지 않아
글로벌 경쟁력 약화한 삼성전자 파운드리, 시장 곳곳에서 '분사설' 제기
"사업 성장시키고 싶다" 분사 가능성 부인한 이재용 회장
삼성전자 특유의 메모리-파운드리 시너지, 분사는 비현실적이다?
samsung_chip_20241008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및 시스템LSI 사업부 분사에 관심이 없다고 발언했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의 실적 악화, 인텔 파운드리 분사 등의 영향으로 시장 곳곳에서 제기되던 '분사설'을 공식적으로 일축한 것이다. 시장 일각에서는 파운드리 분사설이 애초부터 현실성이 부족한 가설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장 예장치 뛰어넘는 실적, 9월 한 달 매출도 10.9% 증가
스마트 가전제품 매출보다 클라우드네트워킹 부문 매출 크게 늘어
증권가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 전망 조정 중
당초 13조원 전망에서 10조원대로 내려 앉아, 2분기 깜짝 실적 이어지지 않을 것 전망 때문
중국 업체들 진입에 저가 시장 빼앗겨, 고부가 가치 상품으로 서둘러 이전해야 수익성 확보 가능

증권가 삼성전자 3분기 실적 전망이 연일 하향세다. 8일 잠정 실적 발표를 앞두고 증권사마다 메모리 반도체 부분 영업이익을 빠르게 재조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6일 증권사 실적 전망(컨센서스)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분기 매출 81조3천88억원, 영업이익은 11조37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보다 각각 20.6%, 353% 증가할 전망이다. 지난 1일까지만 해도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을 13조원에서 많게는 15조원대까지 내다봤다. 그러나 실적 발표를 1주일 앞두고 대부분의 증권사들이 영업이익 합계를 10조원 대로, 특히 메모리 반도체 부분은 5조원 규모로 예상하는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다.

오픈AI, 은행 대출로 5.3조원 추가 확보, 총 유동성 14조로 증가
AI 투자 늘리는 소프트뱅크, 퍼플렉시티AI 이어 오픈AI에도 투자
5.5G 집중하는 中 주요 통신·기술 기업, 韓 통신장비 기업 활로 찾나
중국 통신 장비 퇴출하는 서방국, 中 내수 시장으로 수요 한정될 가능성 커
국내 기업들의 차세대 통신 장비 개발 속도도 '변수'
CHINA_20241004

중국이 5.5G(5.5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국내 통신 장비 기업들에 돌아올 수혜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글로벌 통신업계 불황으로 성장세가 둔화한 국내 통신 장비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활로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다만 일각에서는 서방국의 중국산 통신 장비 제재, 차세대 통신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미온적 태도 등이 중국 시장 진출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흘러나온다.

KH그룹 '17.87%'로 대양금속 최대주주 자리에
횡령 혐의·계열사 상폐 위기 등 불붙은 인수 자격 논란
‘4.000억대 배임’ KH그룹 배상윤 회장은 인터폴 적색수배
구영배 큐텐 대표 검찰 소환 조사 진행, 사기·횡령·배임 등 혐의
'큐텐 지우기' 나선 큐익스프레스, 300억원 투자 유치 추진 등 독자 경영 박차
애플, 오픈AI 투자 계획 철회하고 AI 기술 독자 개발
'오픈AI 최대 주주' MS는 10억 달러 추가 투자 추진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P2·P3 라인 일부 설비 가동 중단
적자 행진 이어가는 파운드리 사업부, 원인은 첨단 공정 수율 부진?
"삼성도 인텔처럼" 업계에서는 파운드리 사업부 분사 가능성 조명
20240924_samsung_chip

삼성전자가 평택 캠퍼스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생산 라인 내 일부 설비의 가동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3나노 이하 첨단 공정의 낮은 수율로 시장 경쟁력이 약화하며 반도체(DS) 부문의 적자가 누적되는 가운데, 파운드리 생산·투자를 본격적으로 축소해 나가는 모습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파운드리 사업의 부진으로 위기에 몰린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부문 분사 등 강경책을 내놓을 수 있다는 전망이 흘러나온다.

LG디스플레이, 2조원에 마지막 LCD 패널 생산 공장 처분
中 기업들이 지배하는 LCD 시장, 국내 기업들 줄줄이 사업 철수
티몬 매각 의지 피력한 류광진 대표, "두 개 업체와 M&A 논의 중"
지난해 기준 인식된 부채만 1조원가량, 정부 추산 미정산금도 1조2,000억원에 달해
검찰 수사 등 사법 리스크에 따른 '신뢰도 하락' 문제도 여전
TMON_TE_20240927

대규모 정산 지연 사태를 일으킨 티몬이 플랫폼 정상화 및 경영권을 포함한 회사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법원이 회생 계획을 인가하기 전에 인수합병(M&A)에 착수하겠단 게 류광진 티몬 대표의 계획이다. 매각을 통해 자구책을 마련해 보겠단 구상이지만 셀러 미정산금 등 리스크를 감수할 정도의 인수 매력도가 없는 만큼, 티몬의 매각 작업이 성공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7조, 삼성 메모리는 5조~6조 수준
범용 D램 수요 하락세, HBM은 AI 산업 영향으로 강세 유지
SK는 엔비디아에 HBM3E 8단 납품 시작, 삼성은 퀄테스트 통과도 지지부진
sk hynix samsung hbm 20240716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의 영업이익을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스마트폰 수요 악화 등 영향으로 삼성전자의 주력 제품인 범용 D램 가격이 하락한 가운데 고대역폭메모리(HBM)는 여전히 수요가 견조하기 때문이다. HBM은 SK하이닉스의 주력 사업 부문으로 꼽힌다.

위고비·오젬픽 가격, 유럽보다 10배 이상 비싸
샌더스 상원의원 "미국 국민에게 바가지 씌워"
노보노디스크 "높은 가격은 의료시스템 문제"
20240926_senator
보건교육노동연금위원회(HELP) 위원장인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이 24일 위고비 등 비만치료제 고가 논란에 대한 청문회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 등 주요 반도체주 약세, 상장 시 키옥시아 저평가 불가피
키옥시아 결국 상장 철회, 2020·2021년 이어 올해로 세 번째 무산
'밸류에이션'에 발목 잡힌 키옥시아, 상장 계획 '장기화' 우려 확산
kioxia_Gopublic_TE_20240826

글로벌 낸드플래시 메모리 3위 기업인 일본 키옥시아가 내달로 예정됐던 도쿄증권거래소 상장 계획을 철회한다. 경쟁사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하락하는 등 업황 악화가 가시화하면서 자사가 기대하던 수준의 기업가치를 인정받기 어려워졌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상장 후 4조원가량의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기대하던 SK하이닉스도 다음을 기약하게 됐다.

차세대 반도체 '블랙웰' 4분기 출하, "수요도 매우 강력"
한때 결함설 있었지만 HBM3E 12단 채택하며 설계 변경
삼성전자, 해외 지사 감원에 이어 국내 사업부도 구조조정
파운드리 사업부도 2조원대 적자에 TSMC와 격차 벌어져
IDM 부진 속 인텔 파운드리 분사 결정에 삼성도 대책 강구
20240925_samsung_te

최근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사업부의 구조조정을 검토 중이다. 2022년 세계 최초3나노미터(nm) 공정에서 양산을 시작하며 업계 1위와의 격차를 줄이겠다고 선언했지만, 현재까지 대형 고객사가 전무한 데다 지난해 2조원의 적자를 기록하면서 위기에 빠졌다. 최근 미국 반도체 기업 인텔마저 수조원의 적자로 인해 파운드리 사업부를 분사하고 구조조정에 들어간 만큼 삼성전자도 파운드리 사업에 칼날을 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호주 SEA3000에 총력 다하는 조선업계, HD현대중공업도 호주 진출 타진
중국발 군사 위협 증대에 美 오커스 방산 지원↑, 호주 방산 사업 날개
수십 년간 CPU 제왕 군림했지만 기술 경쟁력 잃고 실적 부진
2분기 대규모 적자 등 극심한 경영난, 고강도 구조조정 돌입
한국맥도날드 유상증자로 470억원가량 확보 전망
5년간 누적 순손실 2,500억원, 부채비율도 1,278%에 달해
매각 위해 '외형 확장' 전개한 한국맥도날드, 정작 매각 작업은 실패 수순
McDonald's_TE_20240923

한국맥도날드가 유상증자를 단행해 본사로부터 자본을 들여온 것으로 확인됐다. 거듭된 적자로 인해 불안정해진 재무 상태를 정상화하겠단 취지다. 업계에선 매각을 위해 과도한 외형 확장 정책을 펼친 것이 한국맥도날드의 적자 상황을 악화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덩치 키우기'에 매몰돼 있다 보니 정작 가장 중요한 수익성 개선이 이뤄지지 못했고, 그 결과 고질적인 적자 문제가 유상증자를 단행해야 할 상황까지 심화했단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