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는 디지털 교재 플랫폼 ‘쏠북(SOLVOOK)’의 운영사 북아이피스가 58억원 규모의 시리즈 A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북아이피스의 누적 투자금은 총 80억원으로, 투자금을 통해 쏠북 플랫폼 고도화 및 학습 교재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할 전망이다.

25일 RPG(역할수행게임) 전문 개발사 블랙스톰이 15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전했다. 이번 투자는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한국투자파트너스(KIP)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랙스톰은 이번 시리즈A 라운드를 끝내며 기업가치 400억을 인정받았다.

지난 24일 자가면역질환·암 질환에 대한 면역조절 항체신약을 개발하는 아이엠바이오로직스가 2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아이엠바이오로직 측은 이번 투자금을 현재 개발 중인 'IMB-101'의 미국 임상1상 시험 수행 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최근 투자자의 사전동의권을 인정하는 대법원 판결이 나와 VC 업계는 한숨을 돌렸다. 성장이 불확실한 비상장 스타트업에 투자를 감행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만 판결에 '특별한 사정이 있는 한'이라는 조건이 붙어 안심하긴 이른 상황이다.

대한변호사협회가 온라인 법률 플랫폼 '로톡' 이용 변호사에 내린 징계의 적법성 여부가 20일 오후 법무부 심의를 통해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인다. 지난 3월부터 거듭 미뤄지던 이번 심의 소식에 리걸테크 업계를 비롯한 벤처 업계는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지난 11일 미세조류인 ‘클로렐라’를 활용해 폐배터리에서 리튬을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한 그린미네랄이 50억원 규모의 시리즈A 브릿지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브릿지 투자에는 디쓰리쥬빌리파트너스, GS벤처스, 대교 인베스트먼트, 미래에셋캐피탈, 캐피탈원 주식회사 등이 신규 투자사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4일 투자자들의 사전동의권을 무효로 하는 원심판결이 대법원에서 파기환송됐다. 대법원이 지난 2016년부터 이어져온 7년 간의 지리한 소송전에서 사실상 스타트업이 아닌 벤처캐피털(VC)의 손을 들어준 셈이다.

비행체 안전진단 솔루션을 개발하는 ‘위플로(Weflo)’가 3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전 세계적으로UAM(Urban Air Mobility, 도심 항공 모빌리티) 시장의 급성장이 전망되는 가운데, 위플로가 항공 모빌리티에 필수적인 '안전성'을 견인할 수 있을지 주목되는 바이다.

전 세계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성장세가 점차 위기에 접어들며 기업들의 수익성에 비상이 걸렸다. 전문가들은 OTT 시장의 재편이 이뤄질 것이라며 생존을 위해서는 '오징어게임'과 같은 양질의 콘텐츠 제작에 힘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대한변호사협회의 끝나지 않는 리걸테크 때리기에 ‘로앤굿(Law&Good)’이 3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공개비판에 나섰다. 민명기 로앤굿 대표는 대한변협이 ‘민간 플랫폼 불법성’을 이유로 변호사들을 억지 징계하고 있다며 행정소송까지 감행하겠다고 밝혔다.

3일 대체식품 개발 푸드테크인 인테이크(Intake)가 80억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대체식품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만큼 인테이크는 앞으로 푸드테크 1호 코스닥 상장이라는 목표를 위해 속도를 낼 방침이다.

3일 '그린도트(Greendot)'가 총 30억원 규모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투자자들은 그린도트가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 대응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에 긍정적으로 판단해 투자했다고 밝혔지만, 일각에서는 이미 대기업 전쟁터인 '전기차 충전 사업'에 그린도트가 뛰어드는 것은 자살행위일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CJ CGV의 주가가 1만원 밑에서 거래되면서 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성장에 따른 영화관 사업의 쇠퇴가 드러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별한 일이 없는 한 영화관을 찾는 관객의 발걸음은 눈에 띄게 줄어들었고, 카드 업계 역시 기존 신용카드 혜택으로 영화관 할인 등의 혜택을 부여했던 것을 OTT 서비스 관련 혜택으로 전환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 콘텐츠 제작자들은 3D를 넘어서 오감을 만족시키는 실감 콘텐츠에 주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28일 실감 콘텐츠 제작기업인 엑스오비스가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115억원의 투자를 받았다. 확보한 자금은 뮤지엄엑스 등 실감 콘텐츠 사업 확대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정부가 오는 2035년까지 양자 과학기술에 민·관 합동으로 3조원을 투자해 선도국의 85% 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양자 핵심 인력도 2,500명까지 늘리고 종사 인력도 1만 명까지 양산할 전망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양자 산업 세계 시장 점유율을 10%까지 높이고, 양자 기술을 공급하고 활용하는 기업도 1,200개까지 늘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및 미디어 기업으로 명성 높은 월트디즈니컴퍼니가 창립 100주년을 맞았지만 연이은 콘텐츠 실패로 실적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디즈니가 하반기에 기대작을 내놓지 못하면 이같은 부진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하며 곧 개봉할 의 흥행 여부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지난 4월 27일 벤처기업 육성을 위한 특별조치법 개정안, 일명 복수의결권 제도가 2년 4개월 간의 공방 끝에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정부는 현재 복수의결권에 관한 시행령 제정에 힘쓰고 있으며 시행령 공포 이후 11월부터 본격적으로 제도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식품 B2B(기업 간 거래) 물류·유통 스타트업 스마트푸드네트웍스(이하 SFN)가 16일 400억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로 SFN은 누적 투자액 475억원을 달성했다. 이에 올해부터 외식업 자영업자들을 위해 식자재 유통과 물류에도 뛰어들 것이라고 밝혔으나 업계 관계자들은 유통망 사업은 위험하다며 주시하고 있다.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내연기관차가 아닌 전기차로 갈아타는 시점이 급속도로 빨라지며 중국 현지 전기차 기업이 기존 완성차 업계 강자의 입지를 좁히고 있다. 폭스바겐, GM, 토요타 등 내연기관차 강자로 불리는 자동차 제조사들이 중국 시장에서 점유율 하락을 기록하고 있다.

차세대 유니콘 기업으로 업계의 기대를 온몸에 받던 ‘그린랩스(GreenLabs)’는 지난 2월 경영난으로 고강도 구조조정에 돌입한 뒤 결국 최대 주주 및 경영진 교체, 사업구조 재편 등을 통해 재도약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