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박창진
[email protected]
지근거리를 비추는 등불은 앞을 향할 때 비로소 제빛을 발하는 법입니다. 과거로 말미암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비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가상자산 소득세 부과, 세율은 지방소득세 포함 22%과세 유예 주장에 정치권은 '묵묵부답', 총선 이후 정책적 관심도↓과세 체제 개편안도 구상 완료 수순, 취득가액 산정에 총평균법 도입될 듯
coin TAX virtual TE 20240712
가상자산 소득 과세가 6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가장자산업계 관계자들은 소득세 부과로 인해 시장 전반이 붕괴될 것을 우려하며 과세 유예를 주장하고 있다. 주식보다 손실 위험이 큰 와중에 세금까지 덧붙으면 가상자산의 유인 동기가 사라진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최근 가상자산에 대한 정치권의 관심이 떨어져 실제 과세가 유예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메신저로 가짜 앱 설치 유도하는 사기 수법 확산, 최대 1억1,000만원 피해 입기도정부합동수사단 꾸렸지만 한계, "해외 기업에 국제 공조 요청해도 회신율 낮아"기업 압박 강화해야 한단 의견↑, "범죄자 색출 위해선 기업과의 협력관계 형성 필수"
tiktokshop fishing TE 20240711
메신저로 대화를 걸어 가짜 앱 설치를 유도한 뒤 수천만원을 편취하는 신종 사기 수법이 횡행하고 있다. 이에 정부와 경찰은 정부합동수사단을 꾸리고 수사 역량을 강화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섰지만, 대책 마련 이후 수사가 지지부진하게 이뤄진 사례가 적지 않다. 해외 기업에 국제 공조를 요청해도 회신이 오지 않는 경우가 빈번한 탓이다.
11번가 강제매각 나선 나일홀딩스, 매각가 5,000억원으로 하향오아시스 몸값이 1조5,000억원? 기업가치 협상 과정 필요할 듯흑자전환에 자신감 보인 오아시스, 11번가 1P 적자 해소가 관건
11st oasis sale TE 20240710
친환경·유기농 상품 소싱 기업 오아시스가 이커머스 기업 11번가 인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제 매각이 이뤄질지는 의문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가치 책정에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양측 모두가 만족할 만한 조건을 찾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란 시선에서다. 11번가가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도 족쇄로 작용할 전망이다.
낮은 성장성에 주가 급락, 에코프로비엠 개인투자자 평균 27% 손실증권가서도 부정적 전망, "기업가치 고평가돼 밸류에이션 부담 크다"


알리바바 한국 시장 공략 본격화, 이커머스 넘어 B2B까지 사업 영역 확대11억 달러 투자 계획 내놓기도, K-브랜드 파워 활용한 신사업 전략 일환


화웨이 5.5G 상용화 전략 발표, 네트워크에 AI 도입하겠다 밝히기도28㎓ 주파수 포기한 통신 3사, 결국 '반쪽짜리'로 전락한 한국 5G


HBM 시장 경쟁 심화 양상, SK하이닉스가 시장 우위 점해12단 HBM3E 최초 개발한 삼성, 엔비디아 테스트는 아직


이노그리드 코스닥 상장 취소 수순, IPO 일정 연기에 난감해진 투자자들1년간 상장예비심사 신청 불가능해진 이노그리드, 결국 주가 60~70% 폭락


산업바이오 투자 이어왔으나, GS칼텍스·GS에너지 매출 각각 17·16% 하락재계 순위도 두 단계 하락, 1~10위 대기업 중 유일하게 공정자산 하락하기도


IPTV 3사 VOD 매출 급락, OTT 시장 장악에 성장률도 하락세새 수익원 찾아 나선 업체들, OTT와 파트너 제휴 맺기도IPTV 설치비 인상까지 나섰지만, 업계 미래는 여전히 안갯속
KT LG SK IPTV TE 20240624
OTT가 시장을 사실상 장악하면서 인터넷TV(IPTV) 3사(KT·SK브로드밴드·LG유플러스)의 유료 VOD 매출이 급락했다. 지상파 방송사도 주중 드라마가 0%대 시청률을 기록하는 등 초유의 사태에 직면했다. 실적과 성장률도 점차 낮아지는 추세다. 말 그대로 위기에 당면한 것이다. 이에 업계는 OTT와의 동침을 시작하는 등 새 수익원을 물색하는 데 사력을 다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실적 개선은 요원하기만 하다.
효성화학 특수가스사업부 매각 '3파전', 경영권 지분 매각 가능성↑성장성 높은 특수가스, "알짜 사업 매각 후 회사 경쟁력 오히려 낮아질 수도"


SK그룹 베트남 마산·빈그룹 지분 매각 본격화, 재무부담 해소 노리는 듯전기차 캐즘에 불황 겪는 SK온, 올 2분기에도 3,315억원 영업적자 전망SK온 부활에 사활 걸었지만, SK이노-SK E&S 합병부터 '난관'
SK liquidate TE 20240621
SK그룹이 베트남 마산·빈그룹 투자 지분 매각으로 재무부담 해소를 노린다. 이를 통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어려움에 빠진 SK온을 부활시키겠단 취지다. 여기에 수익성이 크지 않은 비주력 투자자산을 정리한단 목적도 읽힌다. 실제 마산·빈그룹은 투자 당시보다 여력이 많이 줄었고, 자산 주가 역시 폭락한 상황이다.
SSG닷컴 풋옵션 사태에 흔들리는 신세계, '백기사' 등장에 리스크 해소신세계그룹 내부 역량 부족 가시화, 이마트 적자 등 내부 문제도 산적유통업계 부진 장기화 수순, "풋옵션 리스크 해소에 안도해선 안 돼"
Shinsegae NH KB TE 20240619
증권사 연합이 신세계그룹과 손잡고 재무적투자자(FI)들이 보유한 SSG닷컴 지분을 인수하겠다고 나섰다. 풋옵션(주식매도청구권) 사태에 신세계 측 백기사로 나선 셈이다. 이로써 신세계그룹은 풋옵션 리스크를 벗을 수 있게 됐지만, 당장의 신뢰도 하락 문제는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풋옵션 사태로 내부 역량 부족 문제가 가시화한 탓이다.
대중 제재에 애물단지 된 노후 반도체 장비, 창고 임대료만 매달 수십억원 수준구공정 장비 매각하는 미국·일본 기업들, "국내 기업은 규제 외 장비도 팔기 힘들어"


사업구조 재편 나선 SK이노베이션,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도 중단중국에 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한 SK에코플랜트, 정작 국내 공장 건설은 지연자금 부족에 선택과 집중 전략 내세운 SK그룹, 핵심 미래 먹거리는 'SK온'
nickel_002_TE_20240613
SK이노베이션이 폐배터리 사업 투자를 줄이고 사업구조 재편에 나섰다. 핵심 광물 가격이 급락하면서 관련 사업의 경제성이 하락한 탓이다. 이에 업계에선 SK그룹이 당분간 SK온 살리기에 주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계열사 정리로 자금 실탄을 마련하고 이를 SK온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보릿고개'를 넘길 기반을 마련하겠단 취지다.
신세계그룹-FI 풋옵션 갈등 일단락, 쓱닷컴 지분 제3의 FI에 팔기로기업가치 괴리 심한 쓱닷컴, 새 투자자 찾아낼 수 있을까


분리막 사업 매각 작업 돌입한 도레이, SKIET도 매각 나선다전기차 캐즘에 영업손실 커지는 업계, 배터리 회사 실적도 '악화 일로'


미국도 HBM 경쟁력 제고 본격화, 미 정부도 마이크론 '밀어 주기'HBM 선두 점했던 SK하이닉스, 마이크론 추격 아래 '지각변동' 가능성


개인정보 유출 라인에 일본 압박↑, 개선책 '조기 실시' 요구하기도'라인 탈취' 의혹 기정사실화했지만, "정보 유출에 대한 죗값은 받아야"


현대제철 영업이익 감소했지만, R&D·시설투자는 200억·7,000억원 증가꾸준한 투자에 '전기차용 핫스탬핑 부품 개발' 등 연구 성과도 속속R&D 투자 백안시하는 업계, 현대제철이 '투자 동기' 부여할 수 있을까
Hyundaisteel_RD_TE_20240529
현대제철이 실적 악화 상황속에서도 시설 투자 및 연구개발(R&D) 투자 금액을 늘리며 기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선제적 기술 개발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겠단 취지다. 현대제철의 공격적인 투자 기조에 시장의 관심도 집중되는 모습이다. R&D 투자에 소극적인 국내 철강업계가 현대제철을 통해 투자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다는 시선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