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5일(현지 시각) 개최 예정인 애플 연례행사 세계개발자회의(WWDC)로고/사진=애플 올해 혼합현실(MR) 헤드셋 공개를 앞둔 애플이 가상현실(VR)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수 있을지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시장에선 애플의 주력 제품인 아이폰, 아이패드를 AR(증강현실) 및 VR과 접목할 것이라 예상하는 가운데, 기존에 VR 시장을 이끌었던 메타 외에 새로운 빅테크 기업의 진입에 큰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MR 헤드셋의 높은 가격, 게임 외 활용성 한계 등을 문제로 애플이 큰 경쟁력을 가지진 못할 것이라 전망하는 등 상반된 시각을 보이고 있다.
Read More사진=애플 앱스토어 캡처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25일(현지 시간) iOS용 챗GPT 한국 모바일 앱 서비스를 출시했다. 오픈AI는 현재 한국을 포함해 미국, 일본, 영국, 캐나다, 독일 등 46개국에 앱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일주일 만에 50만 건 이상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이번 서비스 출시로 국내 iOS 기기 이용자는 웹사이트와 동일한 챗GPT 서비스를 모바일 앱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단 챗GPT 앱이 영어로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다 국내의 경우 안드로이드 OS 이용자 비중이 높은 만큼 국내 이용자 유치에 대한 회의론도 나온다.
Read More(좌)탐라자율차, (우)달구벌자율차/사진=라이드플럭스,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스타트업들이 운영하는 대구와 제주의 자율주행 여객 서비스에 생활 물류 서비스가 추가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자율주행 기술의 현주소가 ‘조건부’에 머물러있는 만큼, 해당 기업들의 ‘여객-화물 운송’ 확장 전략이 시의적절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자율주행기술의 발전에 따라 ‘라스트마일’에서 새로운 기회를 엿보는 모빌리티 업계의 움직임도 눈에 띈다.
Read More멕시코 원주민족인 사포텍(Zapotec)족 중 약 8만5,000명이 사용하는 사포텍어에 대한 MMS 음성 인식 예시/사진=메타 메타가 4,000개의 언어 식별이 가능하고, 1,000개가 넘는 언어를 음성-텍스트로 상호변환할 수 있는 '대규모 다국어 음성인식(Massively Multilingual Speech, MMS)' 인공지능(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생성형 AI에 많은 경쟁사가 진입하고 있는 만큼 인식 가능 언어 숫자를 크게 늘리고 이를 외부에 공개해 시장 선점 효과를 누리겠다는 전략이다.
Read More마이크로소프트 CEO 사티아 나델라가 '마이크로소프트 빌드 2023'에서 출시 서비스 설명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MS)가 윈도11에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탑재한 ‘윈도 코파일럿’을 출시했다. 전문가들은 기존 윈도가 가진 통합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으로 인해 윈도 코파일럿이 여타 기업 서비스보다 시장 차별점을 가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Read More미국과 일본이 양자컴퓨터 공동 개발에 나선다. 최근 중국이 집중 투자하고 있는 양자캄퓨터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함이다. 앞서 양국은 양자컴퓨터 등에 사용하는 차세대 첨단반도체 양산을 위한 공동 연구도 시작한 바 있다. 차세대 반도체, 양자컴퓨터 분야에서 미국이 일본과 손을 맞잡은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란 소리다. 美·日, 양자컴퓨터 공동 연구 나섰다 17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대와 일본 도쿄대가 양자컴퓨터 공동 연구에 나서기로 했다. 특히 구글과 IBM은 이 연구에 총 1억5,000만 달러(한화 약 2,000억원)를 지원하겠다고 나섰다. 양자기술에 대한 미국의 관심도를 살펴볼 수 있는 대목이다.
Read More사진=민주노총 IT노조 최근 몇 년 동안 정보기술(IT) 업계는 혁신적인 도전과 높은 보상을 약속하며 '꿈의 직장'이란 명성을 얻었다. 하지만 경기 침체와 그에 따른 해고로 인해 업계의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고용 불안에 시달리는 직원들은 노조 결성이라는 전통적인 해결책에 눈을 돌리고 있다.
Read More사진=카카오엔터프라이즈 홈페이지 카카오 자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대규모 구조조정에 들어간다. 적자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 투자 유치에 실패한 탓이다. 이에 따라 1,000여 명이 넘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구성원들은 대부분 카카오 계열사로 이동하거나 퇴사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백상엽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는 12일 사내 공지를 통해 "성장성과 투자 가치가 높은 클라우드 사업 중심으로 회사 전체를 개편하는 활동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성장성·수익성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는 비핵심 사업들에 대해서는 사업 철수·매각·양도를 적극적으로 알아보고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핵심 사업인 클라우드 부문을 제외한 사업을 모두 정리하겠단 의미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