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남윤정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발렌시아가·지방시·베르사체 등, 최대 50% 할인전년 대비 할인율·할인 품목·할인 기간 모두 늘어韓, 고물가에 중고 매매·할인점·아울렛 매출 증가
luxury 20240617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글로벌 명품 시장의 최대 소비국 중 하나인 중국의 소비가 위축되면서 명품 브랜드들이 악성 재고 처리에 고심하고 있다. 이에 발렌시아가, 지방시 등 일부 명품 브랜드는 공개 할인에 나서지 않는다는 원칙을 깨고 최대 50% 할인 제품을 쏟아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명품 시장의 성장세 둔화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글로벌 명품업계의 위기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
美 정부·노조 이해관계 맞물려 강성노조 입김 세져LG·GM 합작법인, 3년간 임금 30% 인상 잠정 합의노조 없던 현대차 美 공장, 이달 중 가입여부 투표
uaw 20240614
사진=전미자동차노조(UAW)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조 바이든 행정부가 노동조합 지지를 선언함에 따라 강성 노조의 입김이 거세지면서 미국에 진출한 국내 배터리·자동차·반도체 기업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산별 노조와의 임금 협상에서 현지 배터리 합작법인 근로자의 임금을 상당 규모 인상해 주기로 했고 현대자동차 현지 공장은 산별 노조 가입을 놓고 노동자 투표를 앞두고 있다.
LS전선 “20년간 1조 투자해 기술 개발, 유출 사실이면 법적 조치”대한전선 “2009년부터 해저케이블 개발, 자력으로 설비 역량 갖춰”


'SFF 2024'에서 'AI 시대 파운드리 비전' 제시AI 반도체 기술·서비스 통합, IDM 장점 극대화나노 공정에선 시기보다는 기술력 확보에 초점
1-1
6월 12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4’에서 최시영 사장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반도체 경쟁력 회복을 위해 파운드리·메모리·패키징을 아우르는 서비스를 일괄 제공하는 'AI 턴키 솔루션'을 제시했다. 원스톱 공정을 통해 TSMC·SK하이닉스·마이크론테크놀로지 등과 차별화되는 종합반도체기업으로의 장점을 극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머스크 "77조원 보상안 투표 큰 차이로 통과 중"2018년 승인 당시와 비슷한 '73% 찬성' 얻은 듯


가장 앞서있다 평가받는 日, 민간투자 54조원韓, 2028년까지 1,000억원 '中의 10%' 수준국내 배터리 3사,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박차
china_20240603
'차세대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한·중·일 3국의 경쟁이 치열하다. 글로벌 전고체 시장에서 일본이 다소 앞선 것으로 평가받는 가운데, 한국은 삼성SDI·LG에너지솔루션·SK온 등 배터리 3사를 중심으로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중국은 사상 최대 규모인 1조원의 재정을 투입하기로 하면서 선두 주자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광산기업 앵글로아메리칸, '드비어스' 지분 85% 매각 추진'랩그로운 다이아몬드' 인기에 천연 다이아몬드 가격 급락


'3조원 투자 계획' 외에 분당에 물류센터 신규 임차 추진광주·제천·김천·대전 등 비수도권에도 물류 인프라 확대


인도에서 기업가치 가장 높은 유니콘 '바이주스'기업가치 220억 달러에서 2,500만 달러로 급락


영업비밀인 '수율' 언론에 공개하며 자신감 드러내엔비디아 독점 공급에 차세대 제품 조기 양산 박차삼성전자, 파운드리·HBM에서 선두와 격차 벌어져
HBM3E_20240523
SK하이닉스의 12단 HBM3E 제품/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이례적으로 인공지능(AI) 반도체의 핵심 부품인 HBM3E(5세대 고대역폭 메모리) D램 '수율(생산품 대비 양품 비율)'이 80%에 근접했다고 밝혔다. 업계에서 예상한 60~70%를 크게 뛰어넘은 수치다. SK하이닉스는 통상 영업비밀에 해당하는 수율을 언론에 공개하며 HBM 시장에서의 경쟁에 자신감을 드러내는 모습이다.
MS "40 TOPS 이상으로 가장 빠른 윈도 AI PC" 소개최신 멀티모달 모델 'GPT-4o' 적용, 실시간 대화 가능삼성전자·델도 'AI PC' 전격 공개하며 본격 경쟁 예고
copilot_20240522
지난 20일(현지시각) 유수프 메흐디(Yusuf Mehdi) 마이크로소프트 최고마케팅책임자(CMO)가 '코파일럿+PC'를
코로나 팬데믹 이후 대중국 화장품 수출 감소세 올해 1분기 LG생활건강 등 '빅3' 中 수익성 개선美·日 비중 증가, 인도·튀르키예·멕시코 등 유망
cosmetic_20240517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화장품 업계가 올해 1분기 일제히 호실적을 이뤄냈다. 대중국 수출 회복세, 북미와 일본 시장에서의 성장 등에 힘입어 실적 반등에 성공하면서다. 팬데믹 이후 중국 시장의 수요가 부진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던 국내 화장품 산업은 최근 미국, 일본을 비롯해 태국 등 동남아시아 시장을 공략하며 성장세로 돌아서는 모습이다.
'제미나이 1.5 프로' 탑재한 AI 검색 엔진 선보여차세대 멀티모달 모델 '프로젝트 아스트라' 공개동영상 생성 기능 '비오', '에스크포토스' 등 시연
googleAI_20240516
14일(현지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뷰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I/O)에서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KT 메타라운지, 신규고객 없어 4월 서비스 종료다른 기업들도 부서 폐쇄, 구조조정 등 사업 축소


中 현지법인 지분 49.9%, 우시 투자社 WIDG에 매각반도체 시장 70% 차지하는 레거시 반도체 시장 공략SK하니익스 "사업 개편에 따른 조치, 사업축소 무관"
Solidigm_SK_TE_20240426
SK하이닉스가 중국에서 운영하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자회사의 지분 절반가량을 중국 우시 지방정부의 투자회사에 매각하기로 했다. 지난달 지분 양도 협의를 시작한다고 밝힌 뒤 한 달 만이다. SK하이닉스는 이번 조치로 중국 현지 기업의 저가 공세에 대응해 고객사를 확보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D램 시장 1위 삼성전자와 격차 좁히기 전략고성능 D램 확보해 HBM 시장 주도권 경쟁삼성전자도 '초격차' 앞세워 연내 양산 선언
samsung_sk_HBM_20240419
SK하이닉스가 10나노미터(㎚)급인 6세대 D램(1c) 개발을 앞당겨 11월까지 양산 준비를 마무리하기로 했다. 이는 점유율 45%로 업계 1위인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조치로, 계획대로 실행된다면 삼성전자보다 한 달 정도 먼저 양산을 시작하게 된다. 앞서 삼성전자도 반도체 초격차를 유지하기 위해 연내 6세대 D램 개발을 마무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트 커머스 플랫폼 '난트' 운영사, 두 번째 투자 유치 성공
곳곳에서 '예술품' 공급 증가, 더 이상 고급 취미 아니다?
투자 시장 잡아먹느냐 AI에 먹히느냐, 엇갈리는 미래 전망
nant-image-20231228
사진=난트
아트 커머스 플랫폼 '난트(NANT)'를 운영하는 콜론30이 씨엔티테크에서 투자를 유치했다고 28일 밝혔다. 2021년 프라이머에서 시드 투자를 유치한 후 두 번째 투자유치에 성공한 것이다. 아트 커머스의 인기가 점차 벤처 업계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관련 사업에 대한 '엇갈린 전망'이 제시되고 있다.
8일 바이오노트는 상트네어바이오사이언에 지분 투자 방식으로 총 210억원을 투자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에스디비인베스트먼트와 함께 초기 투자 시 집행했던 100억에 이은 후속 투자로, 전체 투자 규모는 310억에 달한다.
7일 익명 고민 대화 서비스 '42사이'를 운영하는 루덴씨티가 브이엔티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42사이는 고민이 있거나 우울감을 겪는 '토커'가 선별된 '리스너'와 대화하며 조언과 지지를 받을 수 있는 고민상담 및 대화 플랫폼이다.
3일 퍼스널 아이웨어 스타트업 '브리즘'이 54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기존 투자사인 서울대기술지주의 주도로 진행됐으며 산업은행, 트랜스링크인베스트먼트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