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남윤정
[email protected]
금융 산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기사를 쓰겠습니다. 경제 활력에 작은 보탬이 되기 바랍니다.
시스템 반도체 수요 증가에 팹리스 시장 빠르게 성장세계 50대 팹리스에 韓 기업은 LX세미콘 단 한 곳뿐


서울시, 중국 온라인 쇼핑몰 제품 144건 안전성 검사총 11건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등 유해 물질 검출해외 직구 안전성 보장 위해 실효성 있는 규제 필요
20240814 ali te
중국 온라인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알테쉬)에서 판매하는 샌들, 모자, 네일, 냄비 등 11종에서 국내 기준치를 훌쩍 초과하는 유해 물질이 다량 검출됐다. 식품 용기의 경우 지난달에도 법랑 그릇 등에서 납, 니켈 등이 검출되는 등 유해 성분이 지속적으로 확인돼 제품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이번에 적발된 제품 대부분이 피부 등에 직접 닿는 제품인 데다 기준치의 299배에 달하는 발암물질이 검출된 경우도 있어 소비자들의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中, 美 수출 규제에 막혀 첨단 반도체 생산 사실상 불가능'과학기술 자립' 위해 예산 확대, 천문학적인 보조금 지원중국산 레거시, 저가공세로 점유율 확대 '시장 잠식' 우려
20240808 china chip
중국이 미국과 서구 동맹국의 첨단 반도체 규제에 대항해 '레거시(범용) 반도체'에서 활로를 찾고 있다. 당국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중국의 반도체 기업들은 빠르게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다. 중국산 레거시 반도체가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면서 2027년 글로벌 시장의 3분의 1을 장악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텍사스 검찰,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메타 제소10년간 얼굴 인식 기술에 고객 사진 무단 사용해


코로나 봉쇄정책, 미·중 갈등 속 中 의존도 낮추는 전략 모색애플의 핵심 공급업체 폭스콘, 인도 벵갈루루에 신공장 건설 베트남 등 동남아에도 생산시설 확대, 새로운 거점으로 부상
20240731 china te
애플이 최신 아이폰 시리즈의 플래그십 모델을 인도에서 생산하기로 했다. 아이폰 생산의 ‘탈중국’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중국의 봉쇄정책과 미·중 갈등 속에서 일찌감치 탈중국화를 모색해 온 애플은 아이폰의 인도 생산량을 두 배로 늘릴 계획이다. 이와 함께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베트남을 비롯해 동남아시아에 대한 투자도 확대할 예정이다.
지난해 반도체 부문 '적자'에도 임원 성과급 수억 원내부에서는 업황에 따라 들쑥날쑥한 지급률도 비판성과급 공정성 두고 불만 누적, 노조 가입률 늘어나
20240730 opi samsung
삼성전자가 23년 만에 성과급 제도 전면 개편에 나섰다. 지난해 반도체 부문 파운드리 사업부 등의 '제로 성과급'을 계기로 노조 등 내부에서도 성과급 제도 개편의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성과에 따른 차등 보상' 기조는 유지하되 업황에 따라 변동이 심한 지급률의 차이가 큰 현행 산정 방식의 투명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둘 방침이다.
중개업체에 알선비 주는 '유료 인턴십' 확산업종·도시·시기 등에 따라 가격도 천차만별글로벌 기업, 국제기구 등 알선비 4배 높아 
20240729 china intership
심화하는 구직난에 중국 청년들이 1,000만원에 달하는 거액을 내고 인턴십에 참여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올해만 대졸자가 1,200만 명에 달하는 등 노동시장의 초과 공급이 발생하자 돈을 주고 스펙을 사는 현상까지 발생한 것이다. 이에 극심한 취업난이 청년층의 무기력과 절망을 깊어지게 만들어 중국 사회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앞선 검색 결과 토대로 후속 질문 처리도 가능WSJ 등 콘텐츠 제휴해 온 미디어 업체와 협력


부동산 침체에 실적 부진, 경영난에 파산하기도직방, 네이버 라이브 커머스로 IoT 도어록 판매 


유료 구독자 수 2.8억 명, 광고 요금제 가입자 34% 늘어매출 95.6억 달러 달성, 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44%↑3분기 매출 증가률 15%로 상향, 신규 가입자는 518만명
20240719 netflix
넷플릭스가 올해 2분기 매출과 순이익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거뒀다. 비밀번호 공유 단속, 광고 요금제 가입 확대 등으로 유료 구독자 수가 증가하면서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광고 요금제는 신규 가입자의 절반 가까이가 이용하고 있어 향후 광고 사업이 넷플릭스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전삼노, 1차 총파업에 이어 2차 '무기한 총파업' 돌입총파업의 목적은 '생산 차질', 참여자 수 확보에 주력사측 "반도체 공정 자동화율 높아, 파업의 영향 미미"
samsung union 20240713
'생산 차질'을 목적으로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 삼성전자 노동조합의 집회 참여자 수가 사흘 만에 90% 이상 급감했다. 이에 노조는 평택·화성 등 중요 생산 라인을 중심으로 파업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홍보 집회를 이어갈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사측은 파업 참여자를 파악하고 대체 인력을 배치하기 위한 근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반도체 공정의 상당 부분이 자동화돼 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은 미미할 것으로 보고 있다.
2월 LIG넥스원·사우디 간 '천궁-II' 4.3조원 규모 수출 계약한화시스템, LIG의 사우디 공급 물량에 다기능레이더 탑재


'가상자산 거래 지원 모범 사례' 공동 적용키로거래 질서 확립과 이용자 보호를 위한 자율규제거래소별로 새로운 심사 요건 따라 재심사 진행
coin 20240702
가상자산 거래소들과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가 건전한 시장 질서 확립과 이용자 보호를 위해 가상자산 거래지원 모범사례를 공개했다. 모범사례가 발표됨에 따라 오는 이달 중순부터 거래소들은 기존 가상자산에 대한 재심사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다만 6개월에 걸쳐 순차적으로 심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일시에 무더기로 상장 폐지가 되지는 않을 것이란 설명이다.
20달러 이하의 중국산 초저가 상품 판매 섹션 신설아마존 첫 화면에 위치, 직배송으로 배송기간 단축알테쉬, 저가 공세로 급성장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 
amazon 20240628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20달러(약 2만7,700원) 이하의 초저가 상품을 판매하는 섹션을 신설하기로 했다. 아마존은 해당 섹션에서 판매되는 초저가 상품을 중국 물류창고에서 미국으로 직접 배송할 예정이다. 최근 미국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는 중국의 이커머스 플랫폼 테무와 쉬인을 겨냥한 조치로 분석된다.
2억 달러 투입해 연내 '수도권 물류센터' 확보 착수 한국을 '물류 허브'로, 5일 안에 전 세계 배송 추진


폭스바겐, 10억 달러 투자해 리비안의 지분 먼저 인수2026년 전기차 아키텍처·SW 공유하는 합작회사 설립투자 유치 소식에 주가 폭등하며 시총 60억 달러 증가
rivian 20240626
리비안의 보급형 SUV R2/사진=리비안
전기차 픽업트럭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생산하는 미국의 스타트업 리비안이 폭스바겐으로부터 수조원에 달하는 투자받게 됐다. 지난 2021년 이후 자금난에 허덕이던 리비안은 이번 투자로 보급형 신차 개발과 출시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美, 사우디·UAE 등 중동 우회하는 대중 수출 규제 강화엔비디아, 카타르 통신그룹 우레두와 대규모 수출 계약미·중 갈등에도 '큰 손' 고객 중동과의 협력 확대 나선다
nvidia 20240625
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중동 기업에 대규모 AI 칩을 판매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미국 정부는 중동을 우회해 중국으로 유입되는 첨단 AI 칩의 유출을 막기 위해 자국 반도체 기업의 대중동 수출을 제한했다. 하지만 중동 국가들이 AI 산업에 천문학적 자금을 투입하면서 엔비디아 등과의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보여 당분간 미국 정부와 반도체 기업 간의 눈치싸움이 이어질 전망이다.
hy 배달앱 '노크', 종합 물류기업으로의 전환과정1인 가구 많은 서울 강서구서 시범 운영부터 진행


창업자 류장수 회장 등 보유지분 24% 취득1952년생 류 회장이 '승계자' 찾던 중 제안컨텍, IPO 공모금 등 '현금 자산' 확보 주력
contec 20240620
컨텍의 지상국 시스템 엔지니어링/사진=컨텍 유튜브
위성 데이터 분석 전문기업 컨텍이 위성통신 단말기 제조기업 AP위성의 경영원을 인수했다. AP위성은 '우주 스타트업 1호 기업'으로 창업주인 류장수 회장이 승계자를 찾는 과정에서 컨텍에 매각하게 됐다. 컨텍의 지난해 매출은 158억원으로 AP위성의 3분의 1 수준이다.
퀄컴·구글·인텔 등 주요 고객사, TSMC에 위탁 생산 삼성, 3나노 양산 3년차에도 여전히 수율 확보 고전파운드리 격차 줄이려 BSPDN·GAA 등 신기술 도입
SAMSUNG_HBM3E_TE_20240507_007
올해 글로벌 팹리스·IT 기업들이 3나노를 주력 공정으로 채택하는 가운데 상당수 기업이 대만 TSMC에 물량을 맡기면서 삼성전자와 TSMC의 점유율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3나노 공정이 수율 측면에서 TSMC에 비해 열세를 보이면서 초반 승기를 빼앗겼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