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임선주

[email protected]

미디어의 영향력을 무겁게 인지하고 있습니다. 예리한 시각과 분석력을 바탕으로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만을 전달하겠습니다.

임선주

애경그룹, 유동성 확보 위해 매각 고려 업계, 안정적 실적에도 '밸류업 한계' 보여 상장사·유통업 이중 부담, 홈플·발란 여파 애경그룹이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해 그룹의 캐시카우이자 모태사업인 애경산업 매각에 나섰으나 동종업계의 구미를 크게 당기지 못하고 있다. 화장품 사업은 수익성은 탄탄하지만 중국 시장에 편중돼 있고, 생활용품 사업은 가습기 살균제 피해 구제 문제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Read More
임선주

발란 M&A 가능성 '불투명' 명품업계 불황·쿠팡 약진도 리스크 사업성 이미 훼손, 사태 장기화 우려 사진=발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명품 플랫폼 발란이 기업회생을 신청하면서 인수합병(M&A) 계획안을 내놨지만, 아직까지 인수 의향을 밝힌 곳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Read More
임선주

캐나다인 美 방문, 전년比 23%↓ 유럽인들, 미국 제품 보이콧도 전 세계 반미 감정 고조 연간 미국 방문객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던 캐나다인의 미국 여행이 크게 감소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 및 합병 위협으로 반미 정서가 커지면서 미국 여행을 취소하는 캐나다인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Read More
임선주

성장 둔화에 몸살 앓는 파워반도체업계 독일 인피니언·미국 온세미 등 감원 바람 中 자체 공급망 강화에 직격탄 전기차(EV) 시장 성장세가 둔화하면서 전기차 핵심 부품인 파워반도체 분야에서 구조조정 바람이 일고 있다. 업계 선두 주자인 독일 인피니온 테크놀로지스를 비롯해 미국과 유럽의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인력 감축에 나섰고, 일본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는 투자를 연기하는 등 시장 전반에 위기감이 감도는 분위기다.

Read More
임선주

사이버 명예훼손 등 처벌 강화 사이버렉커에 최대 15년형·15억 벌금 사업자 측에 콘텐츠 삭제 요구 권한도 마련 최근 사이버레커 유튜버들의 행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된 가운데, 이들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연예인과 일반인을 막론하고 개인의 사생활을 무분별하게 폭로해 이득을 얻는 사이버레커에 대한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여론이 높아진 데 따른 것이다.

Read More
임선주

면세점 업황 부진 장기화에 시름 지분 100% 보유 SBTM도 매각 대상 신라스테이 동탄 매각 입찰 '흥행' 신라호텔 서울 전경/사진=호텔신라 호텔신라가 자회사들 매각을 추진한다. 면세점 업황의 부진이 계속되자 본업과의 관련성이 떨어지는 자회사부터 팔아 재무구조를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Read More
임선주

세계 럭셔리 브랜드 '중국 쇼크' 지난해 中 명품 판매 18~20% 감소 중국 소비 경제 위축에 직격탄 사진=LVMH 글로벌 명품 소매업체들이 주요 도시 고급 쇼핑몰에서 매장을 잇달아 폐쇄하며 중국 시장 철수를 가속하고 있다.

Read More
임선주

글로벌 완성차 기업, 내연차 강화 의지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전기차 전환 속도↓ 중국산 전기차 공세, 낮은 수익성도 과제 포르쉐 911 하이브리드/사진=포르쉐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내연기관차와 하이브리드차 신차 출시에 열을 올리고 있다.

Read More
임선주

웅진, 상조 1위 프리드라이프 인수 나서 고령화로 시장 급성장, 선수금 10조 육박 선수금 50%만 은행 예치, 나머지 자금 운용 규제 전무 웅진그룹과 코웨이가 국내 상조업계 1위 프리드라이프 인수에 나선 가운데 10조원에 육박하는 상조기업들의 선수금 관리·감독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상조기업은 가입 고객에게 선수금을 받고, 미래 장례 서비스를 준비한다.

Read More
임선주

트럼프 대통령 "4월 2일 수입차 관세 부과" 미국 내 현대차그룹 견제 분위기에 '긴장' 현지 생산 늘리고 미국 기업 협력 활로 수출 대기 중인 자동차들/사진=현대차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최다 판매 시장인 미국을 겨냥해 현지화 전략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Read More
임선주

AI 생산성 개선, 고령화 충격파 상쇄 의료 등 전문직 대체 가능성 낮지만 사무직은 소득 줄고 직장 잃을 수도 인공지능(AI) 도입으로 우리나라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큰 영향을 받을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전체 근로자의 27%는 AI에 의해 대체되거나 소득이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는 진단이다. 직업군별로 보면 통신 관련 판매직, 비서 및 사무 보조원 등의 사무직 관련 일자리가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Read More
임선주

전기차 캐즘에 발목 잡힌 이차전지 지난해 영업손실 5,100억, 부채비율 250% 기존 발행한 CB 소각하고 새로운 CB로 교체 시가총액 3조원이 넘는 이차전지 섹터 코스피 상장사 엘앤에프가 자기주식을 대상으로 발행했던 교환사채(EB) 일부를 큰 폭으로 할인해 매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Read More
임선주

피스피스, 상장주관사 NH·미래에셋證 510억원 투자 유치, 영업익 200억원대 자금 조달 필요성 낮은데 IPO 왜? 사진=마르디메크르디 여성복 패션브랜드 마르디메크르디(Mardi Mercredi)를 전개하는 피스피스스튜디오가 올해 하반기 기업공개(IPO)에 나선다.

Read More
임선주

미국 이커머스 시장 ‘국경 없는 전쟁터’ 테무 등 C커머스 공습에 공룡 아마존도 긴장 초저가 스토어 '하울'로 테무 정조준 중국 PDD(핀둬둬)홀딩스의 글로벌 할인쇼핑 플랫폼 테무(Temu)가 애플 앱스토어에서 2년 연속 최다 다운로드 무료 애플리케이션(앱) 1위를 차지하며,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의 지형도를 바꾸고 있다. 특히 아마존과 월마트가 주도해 온 미국 시장의 새로운 변수로 급부상한 모습이다.

Read More
임선주

메타 "표현의 자유로 돌아갈 때" 팩트체크 대신 '참여형 수정 모델' 적용 도널드 트럼프 복귀에 발맞춘 움직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운영사 메타가 미국 내에서 제3자 팩트체크(Fact Check·사실 확인) 프로그램을 폐지하겠다고 선언했다. '표현의 자유'를 강조하며 혐오·증오 발언마저 옹호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기조에 메타 운영 정책을 맞추는 모습이다.

Read More
임선주

'구형 D램만 양산' 평가받던 中 업체 정부 지원-내수 수요 업고 시장 확장 DDR5 수준 떨어지지만 경쟁력 확보 중국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스(ChangXin Memory Technologies, CXMT)가 야심 차게 출시한 DDR(더블데이터레이트)5 메모리 칩이 삼성전자의 동급 제품보다 40%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Read More
임선주

리라글루티드· 세마글루타이드 등 특허 만료 FDA, 빅토자·삭센다 제네릭 품목으로 허가 英 히크마 파마슈티컬스에서 복제해 제네릭 승인 삭센다/사진=노보노디스크 1세대 비만 치료제의 복제약(제네릭)이 미국에서 처음으로 승인됐다.

Read More
임선주

국토부, 특화 조성계획 발표 오는 2026년 12월 착공 목표 LH-삼성전자 입주 실시협약 체결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조감도/사진=국토교통부 정부가 용인 반도체 국가산업단지(용인 국가산단) 조성을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했다.

Read More
임선주

中 모듈 업체, CXMT칩 사용한 DDR5 판매 韓 메모리 업계, 4년 만에 DDR5 추격 허용 삼성전자·SK하이닉스 타격 불가피 중국 저장장치 제조사 킹뱅크의 DDR5 판매 페이지에 '국산(중국) 메모리, 거침없는 혁신으로 앞으로 나아가다'라는 문구가 적혀있다/사진=킹뱅크 범용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중국발 저가 공세가 심상치 않은 가운데,

Read More
임선주

내년 1월 갤럭시 S25 출시 샤오미·비보·오포 등 中 업체 맹공 中 추격에 완성도·수익성 과제로 비보 X200/사진=비보(VIVO) 내년 1월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S25'가 출시되는 가운데, 중국 제조사들이 신제품을 출시하며 맞불 작전에 나섰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