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NFT, 연이은 폭락세에 워시 트레이딩까지 ‘암울한 미래’

160X600_GIAI_AIDSNote
크립토 500 NFT 지수, 2년 반 새 90% 넘게 폭락
암호화폐 시장 회복에도 하락세, '동조화'도 옛말
메타콩즈 등 대표 프로젝트 몰락, 기업들도 철수
bayc 20240710
BAYC 이미지/사진=크립토슬램

암호화폐와 함께 가상자산 시장의 돌풍을 일으켰던 대체불가능토큰(NFT) 시장이 몰락하고 있다. 최근 암호화폐 시장이 회복세로 돌아선 상황에서도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하면서 주요 NFT 500종의 가치를 반영한 지수가 2년 6개월 새 절반으로 폭락했다. 심지어 NFT 시장에서 불패 신화를 자랑하던 인기 컬렉션마저 가격 하한선이 무너지며 급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고 인기 상품 BAYC, 최고가 대비 6% 수준까지 폭락

9일 NFT 업계에 따르면 미국 가상자산 데이터 업체 크립토슬램이 제공하는 ‘크립토 500 NFT 지수’는 이날 1,382.21을 기록했다. 지난 2022년 1월 기록한 역대 최고치 33,896.17과 비교하면 무려 96% 하락한 수치다. 크립토슬램은 비트코인을 제외하고 이더리움, 솔라나 등 주요 11개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운영하는 NFT 컬렉션 500종의 시가총액과 거래 현황을 반영한 지수로 2022년부터 산출되고 있다.

NFT 시장의 대표 컬렉션들도 가치가 급락했다. 일례로 이날 보어드 에이프 요트 클럽(BAYC)의 거래가는 2만9,033달러(약 4,100만원)로 2022년 5월 기록한 역대 최고가 47만2,755달러(약 6억5,400만원) 대비 94% 폭락했다. 최근 한 달간 판매량은 22.2% 감소했고 거래 건수도 301건에 불과했다. BAYC는 다양한 표정과 옷차림의 원숭이 이미지를 내세운 프로필 사진 묶음(PFP)으로 2021~2022년 NFT 유행을 이끈 상품이다.

올해 초만 해도 NFT 생태계의 근간인 암호화폐 시장이 회복되면 NFT도 다시 오를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렸다. 하지만 시장의 기대가 무색하게 NFT 동조화 현상은 무력해진 모양새다. NFT 데이터 플랫폼 NFT고에 따르면 NFT 시가총액은 지난 3월 10일 128억1,017만 달러(약 17조7,300억원)에서 이날 58억4,398만 달러(약 8조900억원)로 4개월 만에 반토막이 났다. 반면 비트코인 가격은 같은 기간 16% 하락하는 데 그쳤다.

NFT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 시들해졌다. 블록체인 전문매체 유투데이가 최근 구글 트렌드가 제공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NFT에 대한 글로벌 검색 관심도는 현재 암호화폐 랠리의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3월 구글 트렌드에서 ‘암호화폐’의 검색 질의가 100에 도달했을 때 NFT는 10에 불과한 수준이었고 5월에도 NFT가 실질적인 관심을 끌지 못하면서 같은 추세가 이어졌다.

nft metakonz 20240710
메타콩즈NFT와 쿼드해시 NFT/사진=메타콩즈X, 쿼드해시X

모럴해저드에 흔들린 멋사 생태계, KT 민클도 서비스 종료

국내 사정도 다르지 않다. 한국 NFT 시장을 이끌었던 블록체인 및 IT 교육 기업 멋쟁이사자처럼(멋사)이 조성한 생태계도 흔들리고 있다. 지난 2022년 최저가 3,000만원을 기록했던 ‘매타콩즈’는 프로젝트의 연속성을 잃었고 지난해 6월 등장한 ‘쿼드해시’ 또한 거래가가 30만원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멋사는 쿼드해시를 출시할 당시 아트NFT와 실물을 연계해 그동안 약점으로 지적받았던 유틸리티를 높이겠다고 밝혔지만, 담당 개발자도 없는 상황에서 다시 돌풍을 일으키기엔 무리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때 국내 대표 NFT로 불렸던 메타콩즈는 카카오 크러스트팀이 운영하는 ‘클레이튼(Klaytn)’ 블록체인을 베이스로 하면서 기대를 모았지만 2022년 디스코드 해킹 사태가 재발하면서 신뢰를 잃었다. 이후에도 회사 자금 유용, 임금 체불, 횡령 의혹 등 운영진의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와 프로젝트 로드맵 일정 지연 등 방만한 운영으로 논란이 이어졌다. 여기에 브리딩 등 자기 복제로 유사한 이미지의 메타콩즈 NFT가 연이어 만들어지면서 IP의 희소성과 가치마저 하락해 결국 출시 1년이 채 되지 않아 몰락했다.

올해 3월에는 KT가 NFT 발행·관리 플랫폼 민클의 서비스도 전면 종료됐다. 이로써 2022년 4월 민클을 출시한 KT는 NFT 서비스 시장에 진출 2년 만에 전격 철수하게 됐다. 당초 민클을 앞세워 그룹 내 다양한 자산과 역량을 활용한 NFT 프로젝트로 확대할 계획이었지만 사업을 운영하면서 확장성에 한계를 크게 느낀 것으로 전해졌다. KT 관계자는 “이용자 확보에 실패했고 앞으로 수익성 확보 가능성도 작다는 것이 내부와 외부의 공통된 평가였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롯데홈쇼핑, 현대백화점 등이 올해 관련 서비스를 중단했다.

nft 20240710

NFT 폭락 속에 거래량 속이는 ‘워시 트레이딩’만 늘어

이처럼 NFT 시장이 전대미문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설상가상으로 NFT 시장의 워시 트레이딩이 증가하고 있다. 워시 트레이딩은 개인 혹은 단체가 소유권의 실질적인 변화 없이 동일한 자산에 대해 매수와 매도를 실행해 인위적으로 거래량을 부풀리는 조작 기법으로 투자 활동과 유동성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해 시장을 왜곡한다. 상대적으로 매매가 용이한 암호화폐 시장에서 널리 퍼져 있다.

해외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에디션은 “최근 NFT 시장에서 거래량을 부풀리기 위해 인위적으로 거래에 참여하는 워시 트레이딩이 상당량에 이른다”며 “블러(Blur), 오픈씨(OpenSea), 매직 에덴(Magic Eden)의 데이터가 이러한 경향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고 밝혔다. 코인에디션에 따르면 워시 트레이딩 거래량은 블러가 18.88%로 NFT 마켓플레이스 중 가장 많았으며 매직에덴이 그 뒤를 이었다. NFT 최대 마켓플레이스인 오픈씨는 0.88%로 워시 트레이닝 거래의 비중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한 NFT 컬렉션들도 워시 트레이딩이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BAYC의 거래량 2억4,981만 달러 중 2,462만 달러가 워시 트레이딩 거래로 추정된다. 뮤턴트 에이프 요트 클럽(MAYC) 역시 거래량 1억2,758만 달러 중 워시 트레이딩이 1,208만 달러로 집계됐다. 업계에서는 NFT 등장 이후 끊이지 않고 지속되는 워시 트레이딩이 NFT 시장의 성장과 회복을 발목을 잡는 요인 중 하나로 보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의 급락 이전에 NFT 시장의 각종 사기와 범죄행위 등이 하락세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지적이다.